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1/23 07:38:47
Name Aiurr
Subject [질문] 개인 퇴사 상담이 노무사님의 업무 범위에 들어가나요? (수정됨)
이직을 하든 새 길을 찾든 퇴직을 하려 합니다.

하고자 하는 퇴사 절차 진행에 대해 법에 저촉됨이 없는지, 퇴직금이 어느 정도 나와야 정상인지 등등을 여쭙고 싶습니다.
이런 개인의 퇴직과 관련한 상담이 노무사님의 업무범위에 들어가 의견을 여쭐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만약 상담이 가능하다면, 당장은 작년 월급명세서와 회사 취업규칙을 준비해두긴 했는데 더 필요한 부분이 있을지 경험자분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1/23 08:00
수정 아이콘
퇴사 상담이 어떤의미인지 모르겠는데, 퇴사를 하냐 마냐, 퇴사후 어디로 갈것인가 같은건 노무사가 다루지 않습니다.
퇴사하는 과정에서 회사 규정이나 제도 등을 살펴서 법에 위배되는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청구하겠다...정도면 노무사들이 하긴할겁니다. 자주 있는 계약형태가 아니라 그렇지.
20/01/23 08: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앗 아닙니다 아닙니다. 설명이 다소 빈약했군요. 본문에도 추가하겠습니다.

하고자 하는 퇴사 절차 진행에 대해 법에 저촉됨이 없는지, 퇴직금이 어느 정도 나와야 정상인지 등등을 여쭙고 싶습니다.
20/01/23 08:13
수정 아이콘
근로자 입장에서 퇴사 절차를 따질일은 없는데...혹시 퇴사하기 며칠전에 퇴사통보할것이나 문제인가요? 사직서를 쓰냐 안쓰냐도 아닐거 같고..
20/01/23 08: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인수인계 기간을 얼마나 거쳐야 할지, 후임이 올해 초 들어오긴 했는데, 만약 신규 인원 채용을 해야 한다면 그것까지 기다려야 할지 등등입니다.. 맘같아선 31일 땡 하자마자 바로 그만두고 싶어서요 ..
20/01/23 08:24
수정 아이콘
근로계약서나 취업규칙에 명시되어 있으면 그 기간을 따르면 되고,
정해진게 없다면 최초 퇴사 통보한 날 이후로 두번째 월급날부터 자유롭게 퇴사가 가능합니다.

레퍼런스 체크를 신경쓰신다거나 도의상 책임을 지겠다 하실경우 기한을 정해서 미리 회사에 통보하시면 되구요.
20/01/23 08:27
수정 아이콘
오오... 정함이 있으면 따르고 그렇지 않으면 두 번째 월급날이군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_ _)
두딸아빠
20/01/23 10:12
수정 아이콘
제일 먼저 법적으로 말씀드리면 언제든 퇴사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오늘 퇴직의사를 밝히고 내일부터 안나와도 무관합니다.
그 다음으로 판단하실 부분은 근로계약서입니다. 여기에 퇴사통보의 절차 (예로 1달전 통보) 등이 있는지 보고 이를 안따르면 손해배상의 의무가 생깁니다. 1달을 통보하게끔 협의했으나 이를 이행하지 않아 발생한 손해는 민사를 통해 받을 권리가 생깁니다.
보통 1달정도를 관례상 통보기간으로 두지만 이건 통상적인 것이지 법과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1531 [질문] 4월 중국 경유 비행기.. 위험할까요? [14] 다시마두장4097 20/01/24 4097
141530 [질문] 전화 키판에서 '0'의 위치말이죠. [16] 엘바토3847 20/01/24 3847
141529 [질문] 뉴스 어떻게들 보시나요? [2] monkeyD2389 20/01/24 2389
141528 [질문] 아이폰 스크린락 기능이 없나요?? [2] 그린티미스트3189 20/01/24 3189
141527 [질문] 부동산앱에서 허위매물 고르는법 질문드립니다. [8] 나스이즈라잌3520 20/01/24 3520
141526 [질문] 와고가 일베 멀틴가요? [7] 콩사탕4270 20/01/24 4270
141525 [질문] 롤 역사상 최고op 탑3는 뭘까요? [32] 톰가죽침대4975 20/01/24 4975
141524 [질문] 작업용 고글은 어디서 파나요? [6] 의미부여법3619 20/01/24 3619
141523 [질문] 컴퓨터 견적 문의 드립니다 (린필드 탈출) [20] 11hertz4613 20/01/24 4613
141522 [질문] 컴퓨터 견적 문의입니다 (컴퓨존) [7] lobotomy6571 20/01/23 6571
141521 [질문] 우울할 때 볼 만한 영화 하나 추천 부탁드립니다. [20] Night Watch3704 20/01/23 3704
141520 [질문] 정부 지지자들의 정부 정책 실천 운동 같은게 있을까요? [1] SaiNT3207 20/01/23 3207
141519 [질문] 인터넷 위약금 지원 관련 문의 입니다. 볼리베어2679 20/01/23 2679
141518 [질문]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6] 대왕세종4507 20/01/23 4507
141517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드립니다. [17] NeoLife76736 20/01/23 6736
141516 [질문] 오픽 OPIC 학원 질문드립니다. [10] 스핔스핔4803 20/01/23 4803
141515 [질문] 급질 종로3가 소주집이요! 더미짱3837 20/01/23 3837
141514 [질문] 가솔린 준중형 차량 떨림 정도 질문 [6] kissandcry4265 20/01/23 4265
141513 [질문] 제가 유별난걸까요? [48] 잔 향7245 20/01/23 7245
141512 [질문] 급성(독성) 간염에는 항생제를 안 쓰나요...? [11] 비싼치킨3957 20/01/23 3957
141511 [질문] 해외여행/출장시 esim 써보신분 있나요 [3] 진리3127 20/01/23 3127
141510 [질문] 하몽 햄 맛에 대한 질문 [36] 밴가드5133 20/01/23 5133
141509 [질문] 헬스 보충제 마시는거에 대한 질문입니다 [8] 1등급 저지방 우유3552 20/01/23 35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