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1/08 22:04:42
Name 나이는무거운숫자
Subject [질문] 수영은 혼자서 배우기 불가능할까요?
예전부터 수영을 배우고 싶은 마음은 계속 있었는데... 쉽지가 않네요.
이사올때 집근처에 시에서 운영하는 체육시설에 수영장이 있어서 이젠 배울수 있겠다고 좋아했는데 막상 알고보니
배우려는 사람은 너무 많은데 기존회원들이 거의 그만두질 않다보니 가뭄에 콩나듯 뽑더군요.
회원접수하는데 아침 6시까지 오라기에 뭐지 하고 맞춰서 가보니 언뜻 봐도 제앞에 오십명 이상 서있길래 깜짝 놀랐고...
그 전날부터 기다렸다는 얘기도 들려서 더욱 놀라고... 아니 무슨 수영배우기가 이렇게 경쟁이 치열하구나 하고 탈락...

수영말고 다른 운동하러 갔는데 아예 여기 오지말고 훨씬 먼 다른 곳으로 가시라고 크게 써놨더군요.
헛웃음이 나더군요. 아니 바로 집앞에 수영장을 놔두고 배우자고 멀리멀리 가야하나...
그래서 생각해보니 강습받는 회원이 되는게 어려운거지 일일 이용하는건 가능하니까 혼자 해볼까 생각을 했네요.

근데 저는 수영을 배운 적도 없고 아예 못하는데 그렇게 가봤자 물장구만 치고 끝날 것 같아서
네이버를 보니까 혼자 배우는건 무척 어렵다고 답변들이 줄줄 달려있더군요.
고민입니다. 집 앞 수영장가서 어떻게든 혼자 해볼까 아님 멀어도 배울수있는 데를 찾아서 다녀야하나...

답변 달아주실 분들께 미리 감사드리고 요근래 수영을 계속 알아보면서 배우기 무척 어려운 운동이란 느낌이 많이 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1/08 22:12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 이유로 돈을 더 주더라도 1:1 레슨을 받아볼까 고민중입니다.
20/01/08 22:13
수정 아이콘
조금 귀찮더라도 완전 초짜시라면 강습 받는 편이..
평영이나 크롤영법 기초는 강습으로 잡고 나서 25m정도는 완주가능할 때 집 앞 수영장 이용하면서 연습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아예 생초짜면 다른사람들이랑 같이 쓰는 레인에서 연습하기 불편할거에요
20/01/08 22:36
수정 아이콘
좀 귀찮더라도 멀리 다녀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20/01/08 22:45
수정 아이콘
저는 1:1 로 받아도 물에 못뜨겠더라구요 크크...
그러다가 못하고있는데 나중에 다시 시도해볼려구요..
곰돌이푸
20/01/08 23:20
수정 아이콘
네.. 꼭 강습 받으셔야합니다.
20/01/08 23:21
수정 아이콘
저도 전에 다니던 수영장 처음 접수할 때 5시부터 기다려서 번호표 받고 등록 했던걸로 기억하네요.
혼자 배우기는 매우 어렵고 운동도 안 되며 다치기도 쉽습니다. 일단은 어느정도 수준까진 배우셔야 혼자서 뭘 해도 조금이나마 할 수 있어요.
Costa del Sol
20/01/08 23:47
수정 아이콘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르지 않으면 혼자 하시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젊은 남자라면 반년정도 배우면 혼자 할 정도는 충분히 되니 가까운 곳 당첨될 때까지 멀리 다니시는 것도..크크
20/01/08 23:48
수정 아이콘
처음 배우시는 입장에서는.. 자유수영 레인 들어가면 뭐 이런 선수(...)들이 다 있나 할정도 일수도 있어요..
번거롭더라도 영법 다 배울때까지는 강습받으시는게 좋아요
네파리안
20/01/08 23:50
수정 아이콘
일단 수영은 강습이 필수라고 보고 강습없이 하면 일단 자세가 잘 안잡히니 속도가 안나와 몸도 힘들고 재미도 없고 민폐도 되고 여러가지 문제가 있는데 가장 큰 문제는 다칠수가 있습니다.
저도 수영 오래쉬다 가끔 하면 나도 모르게 힘들어가서 자세틀어지면 목과 어께가 무리가 오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건강을 위해 시작한 운동이 건강을 해치게끔 하면 안되니 강습을 받으시길 권해요.
일단 시에서 운영하는곳에 개인강습을 하는지 문의해보시고 저는 시에서 운영하는곳에서 개인강습 해줘서 사촌들 3명 모아서 강습 받았었는데 이런 시스템이 있나 알아보시고 없다면 먼곳에서라도 초급 1달~2달이면 자유영정도는 배우니 딱 짧게 자유영만 배워와서 자유수영하시면서 대기 기다리는게 좋아보입니다.
라라 안티포바
20/01/09 00:45
수정 아이콘
혼자 자유영가능해지는 레벨까지는 무조건 강습 필요하다고 봅니다.
칠리콩까르네
20/01/09 02:26
수정 아이콘
물에 뜨는 요령만 알면 수영은 금방 배웁니다. 그런데 그 요령과 그에 따른 자세를 스스로 습득하기엔 어렵습니다.
20/01/09 04:41
수정 아이콘
저는 혼자서 배운 케이스라... 가능합니다
자세가 뭔가 어설프지만, 자유형, 배영, 평영 비스무리하게 따라는 가능하고, 접영은 안되더군요 ㅡㅡ;;;
평영(이라 쓰고 개구리수영...) 먼저 연습하시면서 물에 뜨는 연습 해보세요
제발요
20/01/09 09:23
수정 아이콘
유튜브에 강의 많아서, 혼자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어느정도 수준이상은 강습을 받아야 늘지만,
기본적인 수영은 혼자가 낫습니다.
강습반 들어간다고 해서 자세히 가르쳐주는 것도 아니구 케바케에요.
중요한건 조급하지말고 천천히 하시는게 ...
기타쟁이
20/01/09 10:59
수정 아이콘
전수영강사입니다 솔직히 끈기와 노력만있음 안될껀없지만 아무래도 효율성을 따지면 한두달간만이라도 강습을 받고 배우는걸 추천드립니다^^
삼성전자
20/01/09 12:38
수정 아이콘
전 유튜브로 접배평자 다했습니다.
어릴때 배영까지만 배운적은있어요
다시마두장
20/01/09 12:46
수정 아이콘
요즘은 온라인에 정보가 워낙 많이 있다보니 어느 분야든 독할을 못 할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독학을 하면서 잘못된 습관이 몸에 밴다든가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뭐든 처음 배울땐 전문 강사한테 배우는게 좋지 않나 싶어요.
추적왕스토킹
20/01/09 13:42
수정 아이콘
강습 2주차만에 나도 물에 뜰수 있다는걸 배운 입장에서 진짜 강습은 필요하다고 생각됨...
Tyler Durden
20/01/09 14:30
수정 아이콘
혼자서 유툽보고 그 다음날 바로가서 물뜨는거 하루만에 익히고 숨참고 전진하는거 한 25m까지는 했습니다만...
발차기나 팔동작이 어설퍼서 그런지 속도가 느리고, 일단 숨 돌리기 익히는게 많이 힘듭니다.
숨 돌리기 익히는데 강습해도 물 많이 먹는다고 아는데...
일단 전 수영자 물이 생각보다 많이 더럽고, 물먹으면서 하는게 싫어서 일찍이 포기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1184 [질문] 사무용 컴퓨터 이륙 검토 요청입니다. [3] 득이4185 20/01/12 4185
141183 [질문] (사회학?) 이걸 뭐라고 부르나요? (완료) [3] 롯데올해는다르다3349 20/01/12 3349
141182 [질문]  맥으로 프린터를 연결하려는데 드라이버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요한3855 20/01/11 3855
141181 [질문] 부동산 잔금 치루기 전 누수 문제가 있다는 점을 알게됐습니다. [2] holland4989 20/01/11 4989
141180 [질문] (스포)세키로 사자원숭이 질문입니다. [2] 찬양자3745 20/01/11 3745
141179 [질문] 갤럭시 워치 lte 사용방법 질문입니다 [3] 웃음대법관6612 20/01/11 6612
141178 [질문] 여성분 끼여있는 4명 피시방 가면 뭘해야할까요 ㅠ [26] 다이어트4869 20/01/11 4869
141177 [질문] 혹시 워터 로잉머신 쓰시는 분 계실까요? 관리법 좀 알고 싶습니다. 2005110308334119 20/01/11 4119
141176 [질문] 겨울에도 입을 만한 트레이닝 바지 추천 좀 부탁드려 봅니다,, [8] 구경남b3508 20/01/11 3508
141175 [질문] (사진추가)샤시 창문 빼는법.....ㅠ [2] 하나둘셋4827 20/01/11 4827
141174 [질문] 중국어 아시는분 대만마구마구 관련 번역 부탁드립니다 [3] 웅진프리2712 20/01/11 2712
141173 [질문] 알리익스프레스 직구 관련 질문 드립니다. [2] wersdfhr3205 20/01/11 3205
141171 [질문] 효과음을 찾습니다 알파고2221 20/01/11 2221
141170 [질문] 부동산에서 소개시켜주는 대출상담사 믿을만하나요? [7] 6594 20/01/11 6594
141169 [질문] 주담대 상환방식과 기간 선택.. [21] 친절겸손미소6917 20/01/11 6917
141168 [질문] 이직 문제 조언 부탁드립니다. [11] DoubleB4729 20/01/11 4729
141167 [질문] 연예인 항공정보 유출은 누가 하는/할수있는 것인가요? [31] 삭제됨7719 20/01/11 7719
141166 [질문] 건강검진 결과 관련 질문입니다 [5] Tzuyu3969 20/01/10 3969
141165 [질문] 피지알 마리당배달비 글 아시는분 [11] 형리4979 20/01/10 4979
141164 [질문] 피지알에 유튭영상 링크걸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4] 퀵소희3990 20/01/10 3990
141163 [질문] 자동차 관리 질문입니다 [14] 삭제됨4239 20/01/10 4239
141162 [질문] 오픈월드..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7] 조말론5058 20/01/10 5058
141161 [질문] 연말정산시 전직장 원천징수영수증 누락? [7] Liverpool FC5995 20/01/10 59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