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1/05 12:45
(수정됨) 하드디스크만 2테라 이상으로 올리시면 될거같아요
ssd 쓰시면 부팅속도가 엄청빨라진걸 느끼실겁니다 . 저도 저 제품 써요 가성비 탑급.(ssd) 하드 1테라는 좀 적긴합니다 스팀겜이나 다른용도로 사용조금이라도 하시면 1테라는 적을수도 있어서 있고 하드를 다 사용하지 않아도 약간은 비워둬야 좋긴합니다 다만 ssd 용량도 있으니 상관없다면 그대로가셔도 무방합니다. 7.번 문제로 봣을땐 확실히 깔끔하고 좋은견적 같아요
20/01/05 12:57
램은 다다익램이긴 한데, 지금 하시는 작업 생각하면 충분하긴 합니다. 욕심 있으시면 다른 제품에서 타협보시고 16GB*2개로 가시면 될거 같구요.
하드 용량은 개인 환경마다 차가 커서 조언 드리기 힘든데, 지금 사용하시는 용량 보면 충분할거라 생각하구요. 개인적으로는 HDD에서 나는 소음 굉장히 싫어해서 HDD안달고 SSD+클라우드로 해결하려는 편입니다.
20/01/05 13:17
고용량 작업 하는것도 아닌데 3900x 다는게 이해가 안가네요.
저라면 3600 or 3700x + 1660ti or 2060 or 2060s + 32gb로 갈거 같습니다. 본체값을 낮추고 모니터,키보드,마우스,의자 등에서 좋은걸 사세요.
20/01/05 13:39
(수정됨) 200을 다 써야겠다고 생각하면 괜찮은 구성인것같습니다.
3600or3700x+b450이 가성비로는 좋을것 같긴 합니다. ssd hdd 활용은 언급하신대로 사용하는게 보통입니다
20/01/05 14:20
(수정됨) 업그레이드가 용이한 것 : 메모리,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가 용이하지 않은 것 : CPU 여서 3900X를 추천드렸었구요. 그래픽카드는 나중에 마음에 드는 찾았을 때 좋은 거 사셔도 늦지 않습니다. (1년 안에 그러한 고사양 게임을 찾을 수 있다는 확신이 든다면 현재 선택하신 그래픽카드를 사셔도 무방) 현재 용도 생각하면 3600 + 16GB + 1660 조합으로 가셔도 충분합니다.(150 이하) 이제는 나온 정보 취합해서 타협하실 거 타협하시고, 욕심 부릴 수 있는 것은 욕심 부리시면 됩니다.
20/01/05 14:51
(수정됨) 양쪽 다 납득이 가는 견적이군요. 일단 부품 구성면에서 더이상 깔 부분은 없고요.
아래 구성으로 조립하실 시에 메인보드의 SSD 방열판이 빠지게 되므로 SSD의 발열 해소를 위해 http://prod.danawa.com/info/?pcode=6573102 이런 SSD 방열판을 하나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위 견적을 선택하신다면 그대로 출발하셔도 무방하고, 아래 견적으로 결정하신다면 비디오카드는 같은 회사 같은 제품의 한등급 상위인 http://prod.danawa.com/info/?pcode=8454207 이걸 한번 고민해보셔도 좋습니다. 5% 정도 성능향상이 있고 비디오램이 2기가 추가되는데. 2060이 욕을 먹은 부분 중 하나가 40~50만원 받아쳐먹으면서 비디오램이 6기가라는 부분이거든요. 물론 꼴랑 5% 성능 잡겠다고 5만원을 더 쓸 이유가 없기도 하기에, 그대로 가셔도 무방합니다. 이제 위냐 아래냐 고민하시고 지르시면 되겠네요. 고생하셨습니다.
20/01/05 14:53
(수정됨) 최종버전 진짜최종 기대합 읍읍
뭐 이거 한번 사면 그카나 바꿔가면서 5년이상 쓸꺼고 그만한 지출도 힘들다하면 한도 꽉꽉 채우시는 걸... 옛날에 오버도 안할거면서 데빌스캐넌 달고 그카만 바꿔가며 지금까지 혹사중이니까요 저같은 경우는 크크
20/01/05 16:21
정말진지하게 지금 고사양게임 얼마나 하는건지
아니면 하고싶은건지 생각해 보시길 특히나 직장인이신거 같은데 제생각엔 백으로도 충분한데다 그걸로 오년넘게쓰실거 같은.. 뭐 만족감 채우는 것도 용도 못지않게 중요한 사양의 이유라고생각합니다. (사실 게임도 플레이 할려고 사는거아니잖아요 모으려고 사는거지)
20/01/05 16:55
음. 조언은 다 해드렸고, 저한테 위 아래 어느거살래 물어보신다면 전 아래로 가겠습니다.
30만원 넘게 차이가 나고, 하시는 일은 전부 다 최고의 효율로 하실 수 있고, 초기불량만 아니라면 만족하실 만큼 오래 쓰실 수 있을것이며, 게임에서는 위 아래 크게 의미있는 차이가 안나올겁니다. 막 프레임 띄워놓고 1프레임 떨어지면 호흡곤란 오는 컴덕이 아닌 다음에야 말이죠.
20/01/05 19:50
부끄럽지만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질문드립니다 ㅠ.ㅠ....
회사에서는 컴퓨존에서 주문하길래 저도 거기서 할까 했더니 재고가 없더라구요.. 그래서 블루아이티라는 회사에서 주문을 하려고 했는데, 이엠텍 지포스 RTX 2060 STORM X Dual OC D6 6GB 가 없고 이엠텍 xenon 지포스 RTX 2060 STORM X Dual OC D6 6GB 만 있네요 8_8... 두 제품은 동일 제품일지 여쭙습니다 .
20/01/05 20:22
(수정됨) 아 맞다 컴퓨존이 이엠텍 그래픽카드 취급을 안 하더군요.
네 동일 제품 맞습니다. 어짜피 PALIT이라는 회사 제품을 OEM으로 가져와서 자기네 상표만 달아서 파는 거거든요. PALIT이랑 게인워드(PALIT의 자회사입니다) 제품 검색해보시면 상표랑 패키지 상자 디자인 빼고 완전히 똑같이 생겼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이엠텍이 선호되는 이유는 PALIT 제품은 STCOM이, 게인워드 제품은 디앤디컴이 수입을 하는데, 디앤디컴은 AS를 CS 이노베이션이라는 좀 평 안좋은 곳에 위탁해서 하고있기 때문에 똑같은 제품임에도 선호되지 않는 겁니다. STCOM은 평이 괜찮았는데 이번에 2070슈퍼 관련으로 V2버전이 원가절감 버전이라는거 숨기고 팔았다가 욕을 좀 많이 먹었습니다. 이엠텍은 AS는 괜찮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컴퓨존에서 PALIT 버전은 팔고 있네요. http://www.compuzone.co.kr/product/product_detail.htm?ProductNo=531840 STCOM은 AS 관련으로는 평이 괜찮으니 이걸로 구매하셔도 됩니다. 영 찜찜하다 하시면 다른 곳에서 이엠텍 제품 구매하셔도 되고요. 컴퓨존에서 저 PALIT 제품 넣고 다나와 견적가랑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한번 확인해보세요. 다나와 견적가가 컴퓨존보다 더 비싼 경우가 종종 있더라고요.
20/01/07 01:53
하시는거에 비해 3900은 에바고 오버해도 3700x구요 솔직히 한글하시는거면 3600x or 갓성비의 3600쓰겠습니다 겜차이라면 3700이랑 2프로도 차이안난답니다 평도 좋구요 그돈으로 2070슈퍼살듯 아니더라도 충분히 예산절감되구요
저라면 3700x+긱바450어로스나 3600+b450쓰겠습니다 스스디도 그냥 병행말고 사시구요 저게 평이 영 안좋더라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