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3/09/26 13:17:16
Name 아사
Subject [질문] 지르텍 약 관련 질문좀 할께요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어서 요즘같은 환절기는 참 괴롭습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코를 훌쩍훌쩍 하면서 좀 참아볼까 하다가 결국 지르텍 한알 먹고 편하게 지내는것을 선택하게 됩니다.
지르텍이 꽤 잘 받아서 한알 먹으면 하루종일 편하거든요

근데 요새 이약을 좀 자주 먹는게 아닌가 싶어 걱정이 됩니다.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살수 있는 약이라 부작용이 크거나 하진 않을꺼 같은데 조심해야 할점이 있나요??
또 약 용량 제한 같은게 있는지.. 하루에 2알이라고 써있긴 한데 보통은 하루 한알 만 먹어서 별로 신경 안썼는데 장기가 복용하면
안된다던가 하는 게 있는지 아시는분 좀 알려주세요.
한 2주간 7~8알정도 먹은거 같거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9/26 13:26
수정 아이콘
답변은 아니지만 저도 궁금하네요;;
저도 중학생때부터 비염을 달고 살다가 고등학생 때 정도부터 지르텍을 거의 하루에 한알씩 먹었었습니다. 오죽하면 대입과 군입대시 가장 걱정되던게 비염이었으니..
그러다 지르텍을 하도 먹어서 약효를 보는건지 요즘은 비염이 크게 터지지 않고 훌쩍거리는 정도로만 터지더군요.. 한창때는 하루에 두루마리휴지 2통은 가볍게 썼었는데요.
이렇게 호전된게 지르텍 덕분일지 저도 궁금하네요.
레지엔
13/09/26 13:28
수정 아이콘
약 안먹고도 지금 괜찮다면 약때문이 아닙니다. 항히스타민제는 현재 증상을 개선하는 약이지 질병의 원인을 교정하는 약이 아닙니다.
레지엔
13/09/26 13:27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항히스타민제(지르텍류의 약을 총칭하는 말입니다)는 복용시마다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나 장기 복용에 의한 장기적인 부작용은 유의하게 보고된 바가 없습니다. 흔한 부작용은 졸음, 두통, 입마름 증상이고 약이 배설되면 부작용도 해결됩니다. 단 비염에서 자주 쓰이는 약 중 슈도에페드린계의 약물은 장기 복용(2-3주 이상)을 하지 않는게 원칙입니다. 드시는 정도로는 뭐... 운전 안하고 낙상의 위험이 있는 곳만 안 가시면 되겠습니다.
13/09/26 13:38
수정 아이콘
혹시..약간 과민 증상 같은것이 나타날 수 있나요??
평소엔 그러지 않았는데 오늘 좀 약을 먹고 민감해진 느낌이 들어서 좀 걱정이 됩니다.
지르텍 노즈 약을 먹었는데 이 약에는 지르텍+ 현재 콧물을 멈춰주는 약이 있다는데 혹시 이 성분이 그런건 아닌지요..
13/09/26 13:51
수정 아이콘
콧물 멈추는 약이 나잘 스프레이 같은 코 점박에 뿌리는 제품인가요?
이런 혈관 수축 스프레이 같은 경우 장기 복용하면 내성이 생기는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설명서에 보면 횟수와 기간에 대해서 잘 나와있습니다.
의사가 처방 할때도 너무 자주 쓰지는 말라고 이야기 해줍니다.
13/09/26 13:56
수정 아이콘
나잘 스프레이는 아니고 지르텍이 약국에서 구매할때 2종류가 있더라구요 그냥 지르텍과 지르텍 노즈 가 있는데
지르텍 노즈에는 세티리진염산염이라는게 더 들어있네요 혹시 이 성분이 과민작용을 하는게 아닌지 여쭈는거예요..
13/09/26 14:01
수정 아이콘
항히스타민제가 히스타민을 분해해서 진정을 시키는 약품이라면 그 성분은 보통 콧물 감기 걸렸을때 쓰는 약에 많이 들어가는 성분입니다.콧물을 멈추는 효과 있습니다.
도라귀염
13/09/26 13:57
수정 아이콘
노즈 한알에 슈도에페드린 120mg가 함유되어 있을겁니다 지르텍으로도 효과 보셨다면 구지 노즈로 안바꾸셔도 될텐데요
13/09/26 14:01
수정 아이콘
전 처음부터 지르텍 노즈만 먹었어요.. 첨엔 몰랐는데 약국에서 첨부터 지르텍 노즈를 줬더라구요. 그래서 계속 그걸 먹고 있었는데
오늘 좀 과민증상이 느껴져서 여쭙고 있습니다.
레지엔
13/09/26 14:29
수정 아이콘
지르텍 노즈가 슈도에페드린이 들어간 약이고, 장기복용하지 않는게 원칙입니다. 과민증상이라는게 어떤 걸 말씀하시는지 애매하네요.
13/09/26 13:47
수정 아이콘
지르텍은 복용 후 졸음이 오는것 이외에 다른 부작용은 없는것으로 알려진 가장 안전한 알레르기 약입니다.
알레르기가 심한 분들중 매일 한알씩 몇년간 장기 복용하고 사람도 많이 있지만 특별히 알려진 부작용이 없는것보면 검증되어진 약품이라 생각됩니다.
karlstyner
13/09/26 13:52
수정 아이콘
질문과는 별 상관없는 이야기지만...

저는 비염 심할 때는 자기 전에 먹고자면 잠도 푹잘 수 있고 아침에 콧물 막 나지도 않고 좋더라고요.
설탕가루인형형
13/09/26 13:58
수정 아이콘
저도 자기 전에 먹고 자는게 가장 좋더라구요.
하지만 이제 거의 나은거 같아서 안먹고 자면 다시 아침에 심해서 먹게 되고...-_-
13/09/26 14:03
수정 아이콘
잘 때는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아요. 약을 안먹어도 보통은 아침에 자고 일어나면 증상이 시작되거든요.
그리구 이유는 모르겠지만 전 지르텍 먹고 졸려본적이 없어요..
난 애인이 없다
13/09/26 14:00
수정 아이콘
자기 전에 먹는게 다음날 졸음 걱정 안해서 좋죠..
심할때만 먹던 때는 낮이건 밤이건 지르텍 먹었었는데 낮에 먹으면 기면증 있는게 아닐까 싶을정도로 갑자기 정신을 잃었었거든요..
지금은 매일 자기 전 한알씩 먹습니다.
미래권력
13/09/26 14:30
수정 아이콘
지르텍이 진리인것 같아요.
레지엔
13/09/26 14:31
수정 아이콘
지르텍(염산세티리진)은 2세대 항히스타민제라서 사실 별로 그렇게 졸린 약은 아닙니다. 드물게 아주 예민한 사람들이 있는 것이고... 진짜 항히스타민제 중에 졸린 건 페니라민같은 약이죠. 참고로 증상이 심한 사람의 경우 1세대 항히스타민제를 먹어도 별로 안 졸립니다. 저같은 경우 아토피가 좀 심한 편이라서, 1세대 항히스타민제 4알 정도 먹어도 별로 잠오는 부작용을 못느꼈던 적도 있습니다(다행히 요새는 증상이 줄어서 이 정도는 아닙니다만). 자기 전에 먹는게 보통 좋다고 하지만 아침에 잠깨는게 좀 더 힘들어질 수 있어서 선호하지 않는 사람도 있습니다.
설탕가루인형형
13/09/26 14:39
수정 아이콘
요즘엔 지르텍 말고 알지엔이라는 약을 주로 먹는데 고등학교 다닐때 먹었던 시노카 라는 약은 정말 죽음이었습니다.
약을 안먹으면 하루에 휴지 한통을 써대고..
약을 먹으면 반나절을 멍때리게 되고...
레지엔
13/09/26 14:46
수정 아이콘
알지엔은 지르텍하고 같은 성분으로 알고... 시노카는 뭔지 몰라서 찾아보니 1세대네요. 1세대에 과민한 분들은 먹고 하루를 날리기도 하죠. 그러나 저처럼 증상이 심한 사람은 1세대를 증량해서 먹어도 공부를 할 수 있다는 불편한 진실(..)
설탕가루인형형
13/09/26 14:49
수정 아이콘
넵, 알지엔은 지르텍하고 같은 성분인데 액상으로 되어있어서 그런지 효과가 더 빠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르텍은 너무 비싸요 ^^:

1세대를 증량해도 멀쩡할 정도라면, 정말 계절마다 고생이 많으셨나봐요..OTL
레지엔
13/09/26 14:58
수정 아이콘
비염과 아토피를 모두 앓는 남자입니다(..)
13/09/26 15:34
수정 아이콘
병원 처방 받을 때도 장기 복용해도 문제 없다고 들었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2581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5601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5539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8636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0747
181601 [질문] 상간현장을 바로 확인 시에 무엇을 해야할까요? OcularImplants388 25/09/05 388
181600 [질문] 공포영화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2] 신성로마제국367 25/09/05 367
181599 [질문] 낚시 커뮤니티는 어디가 유명한가요? 짧게짧게무새363 25/09/05 363
181598 [질문] 흰고봉 쌀밥 vs 흰큰밀빵 어느게 더 해롭나요? [2] 깐부582 25/09/05 582
181597 [질문] 부모님폰으로 아이폰 어떠할까요? [12] 기뉴12682 25/09/05 682
181596 [질문] 어디서 여자 만나는 시도를 해보는게 좋을까요? [15] 고민시935 25/09/05 935
181595 [질문] 스트랩 너비가 작은 손목시계가 있을지요...? nexon288 25/09/05 288
181594 [질문] 발리 풀빌라 가족여행을 가고 싶은데 패키지말고 방법이 있을까요? [8] Red Key804 25/09/05 804
181593 [질문] 라이브어라이브 리메이크, 지금 시대에 어떤가요? [7] 카오루3159 25/09/04 3159
181592 [질문] 한글2010 설치 후 한글문서 불러오기 깨짐 [5] 너이리와봐2747 25/09/04 2747
181591 [질문] 제가 모르는 사람이 저를 수취인으로 해서 물건을 구매중인데요 [25] nekorean4811 25/09/04 4811
181590 [질문] 에어컨 실외기 누전 어떻게 해야 될까요? [6] 모나크모나크3074 25/09/04 3074
181589 [질문] 2024년 연말정산을 지금 할 수 있나요? [4] 파이버드3263 25/09/04 3263
181588 [질문] 안 빨간 파무침 드셔본 적 있나요? [7] 밥과글1131 25/09/04 1131
181587 [질문] 은행 예금 네이버 이자계산 질문입니다 [4] BlueSKY--1084 25/09/04 1084
181586 [질문] 카본화 신어도 괜찮을까요?(+구매 관련 질문) [11] 친친나트1033 25/09/04 1033
181585 [질문] 애플워치(gps모델)에서 애플뮤직 재생잘 되시나요? [2] 앙금빵699 25/09/04 699
181584 [질문] 교회 사이비인지 구부하는 법이 있나요? [30] 선플러1752 25/09/04 17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