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12/19 15:02:36
Name 포프의대모험
Subject [질문] 오피스텔 전세 입주시 융자 소멸?
안녕하세요. 이번에 오피스텔 전세계약 준비를 하고 있는데요
들어갈려는 집에 먼저 들어가 사는 세입자가 있고.. 전세이후 근저당이 일부 설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전세가가 최근에 많이 뛴 지역이라.. 앞세입자는 1억쯤 들어갔을거같고 근저당 5천쯤 잡혀있을걸로 보이고...
제가 1.5억정도 정도 주고 전세를 들어갈거같은 상황입니다

다만 계약서에 잔금치른날 근저당 소멸시키는식으로 기입해서 최종적으로는 근저당없이 계약을 할거같다고 하는데 이게 문제가 없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매직
19/12/19 15:12
수정 아이콘
계약서에 근저당을 즉시 소멸시키지 않으면 계약금 몇 배 물어내고 계약 취소 이런 조항 넣으시면 좀 낫긴 한데 만약 일이 잘못되서 집을 경매로 팔고 남는 돈이 전세가 만큼 안되면 다 못 돌려받는 경우는 있죠. 근저당 먼저 없애는 조건 + 잔금 치른 후 다음날 전입신고 행정처리 완료시 까지 근저당 잡지 않기 로 조건을 넣어달라고 하고 반응을 보셔도 될 듯.
바닷내음
19/12/19 15:25
수정 아이콘
아마 잔금치룬거 가지고 근저당 소멸을 하려고 하는 것 같은데 근저당 소멸이 잔금 뒤인게 불안하시면
계약서에 중도금 과정을 넣으셔서 중도금 얼마를 주는데 그 즉시 근저당을 소멸한다는 조건을 주면 어떨까 싶기도 합니다
19/12/19 16:26
수정 아이콘
계약서에 명시하면 괜찮습니다
잔금후 아마 부동산에서 등기뗘서 소멸된거 확인시켜줄꺼에요
19/12/19 18:29
수정 아이콘
명시하면 부동산에서 소멸 시키는 거 같이 갈거에요.
그래서 부동산에 복비를 주는 의미가 있는거죠
Justitia
19/12/19 18:45
수정 아이콘
사실 이건 믿고 하실 수밖에 없습니다.
장난치려면 일단 말소하더라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임차인의 대항력은 전입신고하고 다음날 0시가 되어야 효력이 발생하는데, 근저당권 순위는 근저당권설정등기가 기입되는 바로 그 시간에 발생하거든요.
그래서 가끔 깨끗한 등기 믿고 계약했는데 잔금 치르고 입주한 그날, 돈이 급한 집주인이 (후순위라고 생각하고) 융자 땡기는 바람에 황당해지는 사건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경매에서 임차인이 은행에 순위가 밀려버렸지요. 물론 그 사건에서 집주인이 일부러 그런 것은 아니고 법을 잘 몰라서 발생한 사태이긴 합니다만, 악용도 가능하다는 것이지요.
포프의대모험
19/12/19 19:0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집주인이 임대 사업자 등록하신 분이라고 하는데 특약걸수 있다고 하니 큰문제는 안될거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0580 [질문] 컴퓨터 사양 질문 다시 한번만 할게요 [4] 네버스탑4207 19/12/20 4207
140579 [질문] 서울 가성비 마사지숍 추천해주세요 [11] 삭제됨7913 19/12/20 7913
140578 [질문] 윈도우10 홈? 프로? [7] One Eyed Jack4992 19/12/20 4992
140577 [질문] 영어학원 추천해주세요 썰렁마왕4306 19/12/20 4306
140576 [질문] 혹시 이 피부증상이 어떤건지 아시는분 있나요?(사진있어요) [3] 달달합니다4051 19/12/20 4051
140575 [질문] 노트북 구매예정인데 선택 부탁드립니다 [7] 회전목마4232 19/12/20 4232
140574 [질문] 요거트 만드는데 냉동시킨 요거트 이용해도 되나요? [1] 삭제됨3614 19/12/20 3614
140573 [질문] 살면서 가장 불편하게 느끼는 것은 무엇인가요? [31] F.Nietzsche7721 19/12/20 7721
140572 [질문] 여러분의 고민은 무엇인가요? [23] F.Nietzsche4109 19/12/20 4109
140571 [질문] 전세금 만기전 미리 돌려받나요? [6] 다이어트4741 19/12/20 4741
140570 [질문] 서울시내 예산 4~4.5억 정도로 매매할 만한 아파트 어디 있을까요? [16] 궁금해요궁금해5015 19/12/20 5015
140569 [질문] 그래픽카드 선택 질문드립니다 [10] 정지연4310 19/12/20 4310
140568 [질문] 데탑이 절전모드에서 안깨어나요.. [4] moqq3603 19/12/20 3603
140567 [질문] 윈도우 마이그레이션 질문입니다. [7] 바보탱이4711 19/12/20 4711
140566 [질문] 빌트인 인덕션 설치 관련해서 질문 [2] 삭제됨3564 19/12/20 3564
140565 [질문] pgr글 찾고 있습니다. [2] Albert Camus3060 19/12/20 3060
140564 [질문] 제모스트립 닦아내는 기름종이에 묻어있는 기름 사제로 못만드나요? [1] 삭제됨4154 19/12/20 4154
140563 [질문] 4인용 원목식탁 구입 문의 [3] 체리과즙상나연찡3397 19/12/20 3397
140562 [질문] 택배가... 잠수? 라고 해야되나 멈춰버렸어요 [7] 파트리크4945 19/12/20 4945
140561 [질문] 피곤할때 잇몸 욱씬거림, 잇몸에 좋은 영양제 [6] 기나4565 19/12/19 4565
140560 [질문] 서피스 관련 [2] EventheShadow3343 19/12/19 3343
140559 [질문] 관악구에 일요일 여는 인쇄소가 있을까요? [5] 루트에리노4866 19/12/19 4866
140558 [질문] 평일 낮 남산 데이트 코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2] En Taro3404 19/12/19 34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