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11/20 00:00:41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이직 조언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묵리이장
19/11/20 00:07
수정 아이콘
이직 원인이 돈이라면 1번 아니면 2번
대보름
19/11/20 00:32
수정 아이콘
어떤 직업교육인지는 모르겠지만, 취업이 보장된게 아니라면 무조건 2번입니다.
일이 없으면 급해지게 되고 좋은 직장을 구하기 보다는 일자리 구하기가 바빠집니다. 현 직장을 유지한 상태에서, 냉정하게 현 직장보다 좋은 직장으로 이직하는 것이 좋습니다.
콩사탕
19/11/20 01:00
수정 아이콘
퇴산데 어떻게 실업급여를 받죠? 부정수급이라도 계획하시나요?
StayAway
19/11/20 01:47
수정 아이콘
자진 퇴사라도 회사에 기여한게 있으면 적당한 선에서 권고사직 처리해주는게 그리 드문일은 아닐텐데요..
절름발이이리
19/11/20 02:51
수정 아이콘
뭐 그게 부정수급이지요.
콩사탕
19/11/20 07:02
수정 아이콘
그게 부성수급인데요.
StayAway
19/11/20 11:30
수정 아이콘
부정수급인건 당연히 알죠. 근데 그거야 본인과 현 회사가 선택할 문제고
범법 행위라 하더라도 이번 질문 내용에서 따져야 될 문제냐는 거죠.
콩사탕
19/11/20 13:41
수정 아이콘
고용보험을 내는 입장에서 못 마땅하니까요.
StayAway
19/11/20 13:49
수정 아이콘
의료보험은 어떻게 내세요? 동네 병원만 가도 부정수급자 널렸고, 대학병원이나 한방병원에 안 아픈 환자 널렸습니다.
그렇다고 전수조사해서 환수하자니 환수 비용이 더 들죠.
옳고 그름을 떠나서 부정수급 문제를 일부는 떠 안고 갈수 밖에 없는게 현실입니다.
그걸 글쓴분에게 따져봐야 무슨 실익이 있습니까
콩사탕
19/11/20 14:13
수정 아이콘
나쁜일 하는 인간 욕 할 수는 있죠.
검정머리외국인
19/11/22 00:08
수정 아이콘
제가 외국에서 체류하고 있어서 실업급여 체계가 완전히 다릅니다.
Supervenience
19/11/20 02:05
수정 아이콘
집에서 도움받을 수 있으면 1번, 아니면 2번이죠
껀후이
19/11/20 08:53
수정 아이콘
2번입니다~
우려되는 부분은 경제적으로 쪼들릴 경우 원치 않는 회사에 급하게 입사하실까봐..
지금 직업을 버리고 새로운 직업을 가지시는 건데 초석을 잘 놓아야 할듯 싶습니다
여유롭게 준비할 수 있도록 조금 힘드시더라도 지금 직장을 유지하면서 준비하시는 것이 나아보이네요
이오니
19/11/20 08:54
수정 아이콘
단순 이직이 아니라 직종을 바꾸려는 상황이시잖아요.
저도 같은 상황인데요. 1번 택하고 사직서 냈어요.
자금 상황은 딱 1년간 굶어죽지 않을 정도구요.
고스트
19/11/20 08:58
수정 아이콘
1번 해봤는데 결국 2번이 최고입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9/11/20 09:04
수정 아이콘
현직장에 1분 1초도 있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라면 1번, 그게 아니라면 2번.
이로치
19/11/20 09:06
수정 아이콘
재취업이 용이한 직종이라면 그냥 퇴사하시고 진행하면 되겠지만 요즘 취업시장이 생각보다 녹록치 않아서, 보통 퇴사하고 뭘 하려는 주변인들한테는 무조건 자리보전하고 다른 일을 도모하라고 충고하고 있습니다. 맘만 먹으면 1주일 내에 바로 다른 직장 잡아서 출근 가능한 직종이 아니라면 무조건 2번 추천드립니다. 요즘 취업시장 정말 얼어붙었어요.
서낙도
19/11/20 09:10
수정 아이콘
훈련 후 입사가 확실한 직종이라면 1번, 아니라면 2번요.
확실하지 않는데 1번은 너무 위험합니다.
곤살로문과인
19/11/20 09:25
수정 아이콘
1년 병행하다가 결국 때려치기로 했습니다 전
아웅이
19/11/20 10:52
수정 아이콘
본인이 생각하기에 독한사람이면 1, 아니면 2
19/11/20 11: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어제 퇴사의 기로에 서있어서 고민이 많은데 2번을 많이들 말해주시네요.
이직 어렵더라구요. 묻어가는 질문 하나 드립니다.
지금까지 9년 회사생활에서 번아웃이 되고 집안사정으로 조금 쉬어도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퇴사후 재취업까지 시간이 좀 걸릴텐데 그래도 나중에 발목이 잡힐까요?
검정머리외국인
19/11/22 00:10
수정 아이콘
저도 번아웃해서 퇴사한 적 있는데요. 그냥 1개월 정도 푹 쉬었고 2-3개월 정도 남는 돈으로 가까운 나라에 여행 가본 다음에 돈의 중요성을 다시 깨달아서 조금 더 취향에 맞는 직장을 얻게 되었습니다. 퇴사해도 어느정도 금전적인 여유가 있고 나이가 막 30대 중, 후반이 아닌 이상 나름 괜찮다고 생각됩니다.
19/11/22 09:53
수정 아이콘
모은 돈은 좀 있고 결혼은 안했고 집은 부모님집에 얹혀살고 있지만 30대 중반에 들어서서 30대 중반 이라는게 걸리는군요.. 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9727 [질문] 욕실 샤워기 수전교체 관련 질문입니다. [12] 1절만해야지3234 19/11/22 3234
139726 [질문] 보디빌더 황철순씨 인성이 안좋은가요? [5] 리니시아7593 19/11/22 7593
139725 [질문] 이미지 길게(?) 이어붙이는법 [7] 아웅이2915 19/11/22 2915
139724 [질문] [LOL] 큐베 vs 더샤이 [33] carpedieem6785 19/11/22 6785
139723 [질문] 컴퓨터가 자꾸 꺼집니다. 도와주세요ㅠㅠ [17] 아이유_밤편지3656 19/11/22 3656
139722 [질문] 이반엔 안경 질문입니다. [5] 연애잘합니다3533 19/11/22 3533
139721 [질문] 유게 글 보고 - 어릴 때 기억이 안나는게 정상인가요? [15] 저격수3599 19/11/22 3599
139720 [질문] 아이폰 11 프로 충전 뭐가 바꼈나요? [7] Dwyane3644 19/11/22 3644
139719 [질문] 2010년대의 KBO FA 가치 상승 및 선수 수급 시장에 관한 질문 [17] Purple3550 19/11/22 3550
139718 [질문] 잠을 깊게 자지 못합니다 . . [12] poocang4748 19/11/22 4748
139717 [질문] 대출과 신용등급에 대해서 잘아시는분 [7] 달달합니다3251 19/11/22 3251
139716 [질문] 겨울왕국 2 겨울왕국 1 안본사람도 즐길 수 있나요? [5] 파란마늘3740 19/11/22 3740
139715 [질문] 임플란트 후기 질문 [3] 삭제됨2952 19/11/22 2952
139714 [질문] 사회복지 공무원, 보호직 공무원 진로 상담 부탁드립니다. [4] 밴더4779 19/11/21 4779
139713 [질문] 더뉴그랜저 lpi, 하이브리드 선택도와주세요. [8] 여유를갖자6741 19/11/21 6741
139712 [질문] 해외에서 한국으로 이직하신 분들 계신가요? [2] 농심신라면3334 19/11/21 3334
139711 [질문] 지금 근무하시는 회사의 근태규정은 어떠한것들이 있나요..? [13] 할부지상어4469 19/11/21 4469
139710 [질문] 태블릿을 하나 살려고 하는데 뭘사야 할까요..? [30] 피지알맨3834 19/11/21 3834
139709 [질문] 플스용 모니터 구매 질문글 캐로2927 19/11/21 2927
139708 [질문] 가설 검정 결과에서 왜 가설이 기각됐는지 모르겠어요 [3] 이츠씽2789 19/11/21 2789
139707 [질문] 예전에는 인기가 많았으나 현재는 그렇지 않은 스포츠는 어떤 이유가 있을지요...? [7] nexon4251 19/11/21 4251
139706 [질문] 경제 솔로우 모형 관련 질문입니다. [4] Fim5097 19/11/21 5097
139705 [질문] TV에 연결해서 4K영상을 재생하는 컴퓨터의 그래픽카드에 관한 질문 드립니다 [4] limitedaccess5475 19/11/21 54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