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13/09/24 23:14
지명타자가 수비슬롯에 들어가면 지명슬롯이 사라지고 투수가 타석에 들어가야 합니다.
두번째는 가능할 것 같은데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자세한건 아랫분이..
13/09/24 23:15
1번의 상황이면 지명타자가 없어지는거고 3번타자가 투수로써 타석에 서게 됩니다. 그 후 다른 투수로 교체돼도 그 투수가 타석에 서야 합니다..
유격->투수, 지명->유격으로 가면 선발투수가 설 포지션이 없어지기 때문에 선발투수는 교체되어 벤치로 간 상황이 되고 따라서 그 경기에서는 더이상 나올수가 없습니다.
13/09/24 23:11
1. 가능합니다. 다만 지명타자 슬롯은 사라집니다.
2. 지명타자 슬롯은 사라집니다. 타순은 투수로 간 유격수가 지명타자의 타순에, 유격수로 간 투수가 유격수의 타순에 들어갈 겁니다.(이 부분은 룰북의 해석이 조금 헷갈리네요).
13/09/24 23:22
다시 규칙을 읽어 봤는데 제가 틀린 듯합니다. 유격수로 간 투수가 지명타자의 타순에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지금 아이패드라 타이핑이 어려우니 컴퓨터를 켜고 보충하겠습니다. ⓔ지명타자가 소멸되었을 경우의 타순 ⓓ항에 따라 지명타자가 소멸되었을 때의 타순은 다음과 같은 규칙에따른다. 동시에 2명 이상의 교대가 이루어져 타순의 선택이 필요할 경우 감독은 각각의 타순과 수비 위치를 정해 주심에게 통고해야 한다. ①지명타자가 수비에 나갔을 때는 지명타자의 타순은 변경하지않고 이와 관련된 교체로 물러난 야수의 타순에 투수가 들어간다. ②등판 중인 투수가 다른 포지션으로 수비 위치를 바꿨을 때는 야수로 변신한 투수 및 새로 등판하는 구원투수는 이와 관련된 교체에 따라 물러선 타순에 들어간다. ③대타자, 대주자가 그대로 투수가 되었을 때는 그 타순에 들어간다. ④등판 중인 투수가 지명 타자의 대타자 또는 대주자가 되었을 때는 지명타자의 타순에 들어간다. ⑤타순표에 기재된 야수가 투수로 되었을 때는 새로 경기에 출전하는 야수 또는 야수로 변신한 앞의 투수가 지명타자의 타순에 들어간다. 단, 이와 동시에 지명타자가 수비로 나갔을 때는 새로 경기에 출전하는 야수 또는 야수로 변신한 앞의 투수는 이와 관련된 교체로 물러난 야수의 타순에 들어간다. 저는 ⓔ-②만 보고 타순이 바뀐다고 생각했는데, 본문의 경우는 ⓔ-⑤에 해당하므로 유격수가 된 투수는 교체로 물러난 야수, 그러니까 지명타자의 타순에 들어가게 됩니다.
13/09/24 23:18
1. 가능하고 DH는 사라지며 선발투수는 교체처리 됩니다. 타순에 변화는 없습니다.
2. 가능하고 DH는 사라지며 지명타자는 교체처리 됩니다. 투수가 된 유격수는 그대로 3번 타순, 유격수가 된 투수가 5번 타순에 나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