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11/03 19:19:11
Name Skyfall
Subject [질문] TV수신료를 내는 국가가 얼마나 있는건가요?
이번에 독도 특종 논란의 대부분 댓글이 수신료 가치가 없다 등등인데

문득 궁금해져서...질문해봅니다. 일단 일본은 엄청 구시대적인 방식으로 납부하는걸로 알고 있고 일단 내는걸로 아는데

다른 국가들은 어떻게되나요? 솔직히 저는 대체 왜 내야하는지 이해가 안가고 대부분의 1인 가정이 그렇게 생각할텐데 요즘 티비보는 젊은세대가 얼마나 있다고

저희 집은 원룸인데 원룸 자체옵션에 인터넷TV가 포함이라 연결도 안해놨는데 모니터가 있다는 이유로 강제로 내고있습니다.

뭐 안내려면 집주인분한테 수신기 반납하고 한전에 검사받으면 되겠지만 귀찮고 집주인분들 귀찮게 하기싫어서 그냥 내고있는데요. 다른 국가들은 어떤지가 궁금합니다.

개인적으로 시대가 변하면서 이제는 낼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데 말이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타츠야
19/11/03 19:23
수정 아이콘
독일에 살고 있는데 라디오만 있어도 내야 합니다. 여기에서도 이걸로 꾸준히 논란은 있는데 폐지 못 하는거 보면 그걸로 들어오는 수입을 포기 못 하는게 크지 않을까 싶네요.
19/11/03 19:27
수정 아이콘
아일랜드도 티비만 있어도 내야한다고 하더라구요
닉네임을바꾸다
19/11/03 19: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공영방송을 운영하는 나라들 중에는 비슷하게 걷는 나라들은 꽤 있을걸요...명색의 공영이라곤 하지만 국가세금에 백퍼 의존해버리면 정권에 따라 너무 오가기 쉽고 상업광고를 많이 붙이는것도 좀 그렇다보니...
꺼무위키 보니까 독일은 인터넷이 되거나 스맛폰만 있어도 알짤 없이 걷는다더군요 클클...
뭐 그 수신료중 한 70원은 EBS로 가고 EBS의 예산중 수신료의 비중이 5.9퍼정도라지만...뭐 자이언트 펭TV에 일부 도움은 되었겠...응?(EBS는 결국 수능책 팔아서 나머지를 채우죠 클클...)
회전목마
19/11/03 20:27
수정 아이콘
일본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정지연
19/11/03 21:14
수정 아이콘
영국 bbc도 수신료 낸다고 하네요.. 광고 안 내보내는 채널은 세금 아니면 수신료를 받아야 유지될테니 어디건 있지 않을까요
19/11/03 21:40
수정 아이콘
일본 NHK 한달에 1300엔정도... 두달에 한번 청구되서 2500엔정도 빠져나갑니다.
누구도 내고 싶어하지 않고요 일본 사람들도 피할수 있으면 필사적으로 피합니다.
저도 몇번의 위기가 있었지만 안내고 살고 있고요...초인종 눌리면 무조건 무시했습니다. 택배는 택배박스에...
타워맨션에 이사오고 시큐리티 때문에 드디어 해방됐네요 크크크
티비는 물론이고, 핸드폰, 노트북. 컴퓨터, 타블렛 어느 한종류만 있어도 내야 한다고 강압적으로 이야기 하구요
자꾸 집 안으로 들어와서 확인하려고 하는데 딱 거절하고 못들어오게 하면 강제로 진입할 권한은 당연히 없기때문에
집에 아무것도 없습니다. 돌아가 주세요라고 침착하게 뻔뻔하게 대응하면 그런 기기를 구입하시면 꼭 신고해 주세요 어쩌고 하면서 돌아갑니다.
19/11/03 22:34
수정 아이콘
와 일본에 비하면 한국은 선녀나 마찬가지네요...크크 얘기는 많이들었는데 두달에 2500엔이나 할줄은;;
BibGourmand
19/11/04 01:25
수정 아이콘
영국 BBC 연간 수신료는 20만원이 넘습니다... 저는 TV 없다에 체크하고 안 냈습니다만 (실제로도 없었고), 그런 사람들 중 무작위로 뽑아서 가끔 검사하러 쳐들어 온다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9221 [질문] 그래픽카드 인식문제입니다 [4] 위미2244 19/11/06 2244
139220 [질문] 빠삭 스노우방 징 쉽게 확인하는법 있나요? [7] 피스~4506 19/11/06 4506
139219 [질문] 강남에서 뭐하면서 시간보낼까요? [7] 너는나의헛개수3869 19/11/06 3869
139218 [질문] 마우스 패드 고정할 방법 아시는분 [30] F.Nietzsche13110 19/11/06 13110
139217 [질문] 조정지역 해제가 무슨 뜻인가요..? [18] 비싼치킨5273 19/11/06 5273
139216 [질문] 기계식 키보드 물흘림 [2] 톰슨가젤연탄구이5204 19/11/06 5204
139215 [질문] 2011년 조립컴에 rtx 2060슈퍼 적용 가능할까요? [4] 신류진2876 19/11/06 2876
139214 [질문] 인천에서 30-40명 환갑 잔치(?)할만한 식당 추천좀 해주세요~ [1] 마포대교2800 19/11/06 2800
139213 [질문] 지금 단풍구경 어디가 좋을까요? [12] HBKiD2626 19/11/06 2626
139212 [질문] 건강검진결과를 받았는데요.. [4] 곰비3655 19/11/06 3655
139211 [질문] 와알못도 와우 클래식 해볼만한가요? [16] 시그마3660 19/11/06 3660
139210 [질문] 천체망원경 입문용 질문 드립니다. [7] 우엉2106 19/11/06 2106
139209 [질문] 초고층, 초대형 주상복합을 짓는다면 어떨까요? [14] AKbizs3752 19/11/06 3752
139208 [질문] ios 버전 다운그레이드/롤백 가능한가요? [5] RookieKid3520 19/11/06 3520
139206 [질문] MSI 보드 불량 의심으로 질문 드립니다. [7] Sona7695 19/11/06 7695
139205 [질문] 병원 영문진단서가 많이 희귀한 건가요? [7] 프로미스나인5059 19/11/06 5059
139204 [질문] 항공권 취소 및 환불 문의입니다. [6] 송해나3766 19/11/05 3766
139203 [질문] 크롬 질문.. [1] Dwyane3110 19/11/05 3110
139202 [질문] 갤럭시탭 s5e 세일해서 샀는데 활용방법좀 알려주세요 [5] 진리4950 19/11/05 4950
139201 [질문] 파닭 어떤 방식으로 드세요? [8] 포이리에3680 19/11/05 3680
139200 [질문] 디아블로 시리즈가 연령대별로 바뀐 분이 있나요? [21] 아싸라비아똥구멍5664 19/11/05 5664
139199 [질문] 동네 헬스장 vs 번화가 헬스장 [24] 삭제됨5207 19/11/05 5207
139198 [질문] 피지알 음악학원 도와주세요! (노래를 찾습니다2) [3] 김유라2608 19/11/05 26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