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10/29 09:18:23
Name 조율의조유리
Subject [질문] 취준생인데 저는 어떤 직업을 가져야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중경외시 대학중 한곳의 졸업예정자 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아직 저는 무슨 직업을 가져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전공과는 상관없이 말이죠

학점은 좋지 못하지만 이공계이긴 합니다

토익 컴활 한국사는 다 어느정도 있습니다

제가 원하는 직장은

월급 상관없이

주 52시간 지켜지고

수도권이든 지방이든 상관없이

사무직 또는 그 비슷한것을 하는것입니다

술 담배 안하고 싫어합니다

고민이네요 어떤 직업이 좋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Equalright
19/10/29 09:20
수정 아이콘
교직원이네요.. 야근해도 52시간은 오버 안되고, 급여 낮지만 안정적인
조율의조유리
19/10/29 09:20
수정 아이콘
그거 되기 엄청 힘든거 아닌가요?? ㅠㅠ
Equalright
19/10/29 09:22
수정 아이콘
지금은 취직이 다 힘든 시대라....ㅜㅜ 이공계시니 그 쪽으로 가시는게 취직은 조금이라도 더 편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조율의조유리
19/10/29 09:23
수정 아이콘
뭘 준비해야 할까요?? ㅠㅠ
Equalright
19/10/29 09:38
수정 아이콘
그건 대학마다 다릅니다.. 국립대가 요새 많이 뽑으니 국립대 위주로 기출 파악해서 준비해보세요
조율의조유리
19/10/29 10:08
수정 아이콘
오오감사합니다ㅠㅠ
피해망상
19/10/29 09:25
수정 아이콘
지방순환의 위험은 감수해야하지만 공기업?
조율의조유리
19/10/29 09:26
수정 아이콘
지방 상관없습니다 ㅠㅠ
피해망상
19/10/29 09:52
수정 아이콘
공기업은 일단 문이과 뽑는편이고...
문과는 보통 사무직, 이과는 보통 기사시험 자격증을 요구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이과는 아예 모르니 뭐라 코멘트를 못하겠습니다만)
문과 기준으로만 코멘트 해드리면 일단 가지고 계신 스펙은 거진 갖고 계십니다. (토익 850이상이라는 가정하에)
여기서 공기업 중 NCS는 거진 기본으로 보고, 여기에 추가로 공기업에 따라 전공을 보는곳도 아닌곳도 있습니다.
조율의조유리
19/10/29 10:09
수정 아이콘
전공보는 공기업많더라고요 ㅠㅠ
피해망상
19/10/29 10:23
수정 아이콘
먼저, 일단 공기업 설명회 영상 유튜브에서 찾아보시는거 추천드립니다.

NCS만으로는 가면 갈수록 힘들겁니다...(선택지가 줄어드는 문제 등)
코레일, 한국수자원공사 등이 2020년 전공도입이 예고되었습니다.
만약 사무직으로 마음정하실거면 적어도 단일전공이든(대표적으로 경영학, 경제학, 행정학 등)
통합전공이든(경제+경영+법+행정학, 다만 단일전공보다 그 깊이와 난이도가 낮습니다. )
적어도 전공은 정하고 지원기업 리스트를 추리시는게 나을겁니다.
Elden Ring
19/10/29 09:30
수정 아이콘
공기업
아웅이
19/10/29 09:31
수정 아이콘
이공계신데 전공 상관없이 생각이 가능할까요?
조율의조유리
19/10/29 09:32
수정 아이콘
네 저는 딱히 전공 아니어도 됩니다 ㅠㅠ
아웅이
19/10/29 09:35
수정 아이콘
전공과 연관하지 않고 생각하기 힘들다는 얘깁니다..
R&D로 가시면 대부분 사무직이긴 하겠네요.
19/10/29 09:35
수정 아이콘
회식안해도되고 = 상사눈치 안봐도되고
52시간 지키고 = 야근없고

딱 공기업이네요. 원하는게 높은수준이니 그만큼 노력만 하시면됩니다.
안희정
19/10/29 11:38
수정 아이콘
공기업이...상사눈치를 안보다니요ㅠ

공기업만큼 보수적인곳이 없는디ㅠ

여전히 공기업들은 술잔돌리는데....
19/10/29 16:10
수정 아이콘
바쁜 곳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공기업은 상사눈치"만" 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일텐데....
주중에 눈치보며 컴퓨터하다가 저녁에 상사눈치보며 회식..
슬기랑아이린
19/10/29 16:41
수정 아이콘
공기업 다녀보셨나요?
19/10/30 17:08
수정 아이콘
위에 나온조건들에 부합하는곳이 공기업보다 더 적합한곳이 있나요?
큐브님
19/10/29 09:37
수정 아이콘
포스코 딱이네요 포스코 지원하쉴? 반 공기업 느낌입니다
조율의조유리
19/10/29 10:09
수정 아이콘
포스코 공기업보다 가기 힘든곳 아닌가요?? ㅠㅠ
큐브님
19/10/29 10:28
수정 아이콘
지방근무 상관없으시고 학벌 저정도면 포스코 엔지니어 중 최상위권입니다 지원만 하면 붙으실 것 같은데...
19/10/29 09:44
수정 아이콘
뭔가 공기업이 잘 맞을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드는군요.
공기업도 다들 들어본 그런 큰 기업(~공사)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조금 작은 기관들(~원) 이런 곳들도 이공계 계열 갈만한데 꽤 있으니 잘 알아보세요
조율의조유리
19/10/29 10:10
수정 아이콘
알겠습니다ㅠㅠ 이런데는 전공시험 보나요?
19/10/29 10:47
수정 아이콘
기관마다 다른데 큰 회사들이 아니다보니 조금 간소화되어있는 편입니다. 전공시험보는데는 잘 없고 보통 인적성이나 논술정도 봅니다.
금주전사
19/10/29 09: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기술쪽 공기업은 남초라서 술잔돌리고 군대문화라서...술에서 걸리네요.
여자 많은 공공기관 쪽이 나을 것 같네요.
아니면 연구원... 저희쪽 관련된 연구원들은 사내문화 다 좋고 술도 안먹고 하더라구요.
조율의조유리
19/10/29 10:10
수정 아이콘
그러면 사무직쪽 공기업이 좋겠네요??
금주전사
19/10/29 11:25
수정 아이콘
뚫을 수만 있다면야 금융공기업이 좋죠.
사무쪽 공기업이 어디있나 기억이 안나는데 거의 공공기관일 겁니다...
아무래도 시장형 공기업보다 연봉이 좀 낮은 편이죠.
EPerShare
19/10/29 10:04
수정 아이콘
주 52시간은 어지간하면 다 지켜줘요. 정말 주 52시간을 바라는지, 아니면 주 40시간을 바라는지는 한번 생각해보세요. 전자면 진짜 그냥 아무데나 사무직으로 지원하면 됩니다.
조율의조유리
19/10/29 10:1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EPerShare
19/10/29 10:17
수정 아이콘
매일 저녁 8~9시에 퇴근해서 집 도착하면 9~10시인게 주 52시간이에요. 주 40시간 챙기고 싶으시면 윗분들처럼 공기업 추천드립니다. 돈도 아주 적은 건 아니고, 워라밸도 보장됩니다. 단지 커리어가 완전히 단절될 뿐이구요.
19/10/29 13:17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52시간 채우려면 주 40시간회사기준으로
월요일~금요일 모든요일 쉬지않고 9 to 6 (8시간) + 1시간 [저녁시간] + 7~9시 야근[2시간] > 퇴근후 10시 집 도착해도 50시간이죠..흐흐
빡빡하게 풀52시간은 거의 워커홀릭인생으로 사는거라봐도 무방한듯해요
마술사
19/10/29 10:08
수정 아이콘
대기업이면 52시간은 지킬텐데요..
레필리아
19/10/29 10:15
수정 아이콘
공기업이 사기업보다 훨씬 더 딱딱한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던데, 생각 잘 해보세요
52시간은 대기업이면 다 지킵니다. 회식도 마찬가지구요.

그리고 이공계 특히 공과계열이 취업시 조금 더 유리한 이유가 전공에 따른 전문성을 인정받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면, 이공계 졸업생이 전공빼고 취업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kindLight
19/10/29 10:46
수정 아이콘
생각나는건 공무원, 교사, 군무원, 공기업 정도있네요..
하루사리
19/10/29 10:53
수정 아이콘
조금 큰 병원 행정직도 괜찮겠네요. 총알퇴근 하거든요.
19/10/29 11:10
수정 아이콘
이공계시면 공기업은 사내 문화나 분위기 좀 알아보고 가시는거 추천드립니다
whysoserious
19/10/29 11:37
수정 아이콘
월급 상관없다면 국민연금공단이나 건강보험공단도 괜찮으실거 같아요~
회전목마
19/10/29 12:23
수정 아이콘
조건만보면 건설업 중소기업인 저희회사랑 맞네요 크크
서울 사무직 5시반 칼퇴 크
근데 토요일 1,3,5주 근무라는 함정이...
새강이
19/10/29 12:29
수정 아이콘
공기업 중에서 여자많은 부서로, 이왕이면 사무직으로 가시면 딱입니다(통합전공 공부하세요)
19/10/29 13: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소모되는 약간의 버리는 시간제외하고 52시간을 주마다 매번 풀로채우면
워커홀릭처럼 산다고 느끼실거에요
40시간을 칼같이 지키는 회사를 선호하실거같은데
어떤 종류의 기업과 관계없이 alio.go.kr가셔서 공기업 전체리스트 보신후
맞는 적성 및 진로 확인하고[사실상 관계없이 본인이 끌리는 곳] 그 기준으로 채용공고뜨면 싹 다 쓰시면서 가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F.Nietzsche
19/10/29 14:09
수정 아이콘
중견 스타트업 가세요. 워라밸 죽입니다.
19/10/29 15:32
수정 아이콘
공무원이요~
19/10/29 16:13
수정 아이콘
운이 좋아야.. 전 그냥 중견 사기업인데 40시간이네요 거의
근데 같은 회사에 있었는데 초반 5년은 안 그랬고 후반 5년은 그랬네요
그냥 운인 듯
윌모어
19/10/29 16:45
수정 아이콘
교직원 가셔야죠~ 학과사무실 직원은 방학 중에 오후 3~4시 퇴근하기도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9032 [질문] 프로토스 대 저그전 질문입니다. [7] F.Nietzsche3467 19/10/31 3467
139031 [질문] 피지알 음악학원 도와주세요! [2] 김유라2846 19/10/31 2846
139030 [질문] 주택 흰색 벽지관련 질문입니다. 마스쿼레이드2013 19/10/31 2013
139029 [질문] 왜 여성용 수분크림은 펌프형이나 튜브형이 드물까요? [6] 샨티3671 19/10/31 3671
139028 [질문] 둘이서 할 수 있는 협동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중학교일학년4438 19/10/31 4438
139027 [질문] 잡뉴스 솔로몬서치란 헤드헌팅 업체에서 연락이 왔는데 아시는 분? [2] 캬라3115 19/10/31 3115
139026 [질문] 어제 코딩용 노트북 질문에 이어서 몇 가지 더 질문하고 싶습니다. [31] 삭제됨4509 19/10/31 4509
139025 [질문] 노트북 추천좀 부탁드려요. [7] mandubest2994 19/10/31 2994
139024 [질문] 서울 괜찮은 호텔 추천부탁드려요. [18] 교자만두3803 19/10/31 3803
139023 [질문] 문명5 질문입니다. [5] 블루레인코트3996 19/10/31 3996
139022 [질문] PGR 댓글은 왜 랙이 그렇게 많나요? [9] 솔지3866 19/10/31 3866
139021 [질문] 아이폰 11 vs 11pro vs Xr 질문입니다 [19] 보름달이뜨는밤에3679 19/10/31 3679
139020 [질문] 롤 프레스티지 스킨 질문입니다. [8] 대통령3980 19/10/31 3980
139019 [질문] 프로포즈용 호텔 추천 받습니다. [18] 싸이유니6908 19/10/31 6908
139017 [질문] 포트와인 추천좀해주세요 [7] 불대가리6108 19/10/31 6108
139016 [질문] 회사직원 결혼식 불참시 축의금 전달 질문입니다. [13] 삭제됨11575 19/10/31 11575
139015 [질문] 혹시 소장에 가스 차는 증상에 대해서 아시는 분 계신가요? [2] 10년째학부생2359 19/10/31 2359
139014 [질문] 삭제 예정인 글들을 삭제 해야 할까요? [10] 붉은종이달3561 19/10/31 3561
139013 [질문] 닌텐도 스위치를 구매 했습니다.(주변기기& 게임타이틀 추천드립니다.) [17] 나를찾아서4984 19/10/31 4984
139012 [질문] 페이스북에서 자꾸 계정복구 코드 메일이 날라옵니다. [3] 光海5608 19/10/31 5608
139011 [질문] 신챔프 세나에 대한 의견 한번.. [7] Knightmare2888 19/10/31 2888
139010 [질문] 육아휴직, 출산휴가라는 용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71] 마약남생이4641 19/10/31 4641
139009 [질문] 공유기 관련 질문입니다. [6] 블루데이2628 19/10/31 26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