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10/29 08:25:50
Name 연애잘합니다
Subject [질문] 저 돈관리 하고 있는데 이르케 하는거 맞나요?
올해 30 아재입니다.

세후 170? 그정도 받고 있는데요

제 또래 중에서도 많이 받는편인지 잘 모르겠지만

적금 하나는 제가 많이 내고 있...을거 같네요 하하

적금 월 150씩 넣고 있고 나머지 20 정도는 제 생활비로 나가요

보험료, 공과금 등은 같이 사는 부모님이 대신 내시고

폰요금+생활비 등등은 제가 내구요. 그거들은 얼마 안나가요

오히려 지출이 없어서 돈 조금씩 남는 정도네요.

취미도 없고 사고싶은거두 없어가지공 하핫...

다른 분들이 보시기엔 어떤지 궁금해서 글 올려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어찌하리까
19/10/29 08:27
수정 아이콘
대단하시네요.. 반성합니다.
츠라빈스카야
19/10/29 08:30
수정 아이콘
이렇게 하는게 맞는건진 모르겠지만 저축율 하나는 존경합니다. 어후....
윌모어
19/10/29 08:35
수정 아이콘
안쓰는게 최고의 재테크죠~ 대단하시네요
19/10/29 08:35
수정 아이콘
급여대비 저축율은 아마 동년배 최고수준이 아니실까 싶네요...
바둑아위험해
19/10/29 08:37
수정 아이콘
폰요금 + 생활비 20이 가능한가요..!? 덜덜.....
좀 반성하고 아껴써야겠네요...
회전목마
19/10/29 08:44
수정 아이콘
20으로 사신다는건 연애는... ㅜㅠ
싸이유니
19/10/29 08:47
수정 아이콘
급여대비 저축금액이 70% 이상이면 대단한겁니다...
대단하십니다.. 정말
19/10/29 08:50
수정 아이콘
나름 절약충이라고 자부하며 살고 있는데 글쓴분은 못따라겠네요.
19/10/29 08:54
수정 아이콘
일단 부모님 지원없이 혼자살경우

월세 50 식비 30추가
보험료 공과금 20추가
각종 소모품류 10만원추가

그냥 생각없이 대충계산해도
도합 110만원 더 나가네요

부모님이랑 살때 열심히 모으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화이팅!!
맷데이먼
19/10/29 08:56
수정 아이콘
네.. 받고 계신 급여로 현재 만큼 저축 중이신거면 상위 1% 이실 것 같아요..!
19/10/29 08:56
수정 아이콘
근데 어떻게 월 20으로 연애를 잘 할수가 있죠?
19/10/29 08:57
수정 아이콘
닉값 하셔야할텐데.........
양현종
19/10/29 09:00
수정 아이콘
대단하시네요
리듬파워근성
19/10/29 09:02
수정 아이콘
존경합니다 선생님
운빨로간다
19/10/29 09:11
수정 아이콘
30살에 월20만원예산으로 남길 수가 있군요 덜덜..
수입의 90%를 저축하는 사람은 정말 드물거 같습니다.
나물꿀템선쉔님
19/10/29 09:21
수정 아이콘
월 20만원가지고 폰 요금과 교통비가 해결되시나요? 다른 모든 비용이야 안 쓸 수 있지만 저 두가지는 안 쓸 수가 없는 비용 같은데...
150 저축은 존경합니다만, 생활비/보험을 1원도 안내신다는건 결국 부모님께 비용을 전가하는 거라고 봐서 결국 미래에 연애잘합니다 님에게 돌아올 비용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연애잘합니다 님의 집안 사정을 제가 모르니 얘기하기가 조심스럽긴 한데, 적금 비율 좀 줄이시고 부모님 부담을 조금 줄이시는건 어떨지요.
인스네어리버
19/10/29 09:22
수정 아이콘
20으로 생활이 되시나요???? 먹는거만 해도 20넘던데.. 대단하시네요
19/10/29 09:24
수정 아이콘
부모님이랑 사시니 식비 0원 소모품 0원이고
핸드폰이야 저가 통신사 쓰면 2,3만원에 해결되고
(저같은경우)겜붕이라 집에서 롤만하거나 계정비 2-3만원에
아싸라 술먹을일 없으면 20만원도 충분하죠

여러분 이렇게 게임이 좋은 취미입니다
머여내놔요
19/10/29 09:27
수정 아이콘
체크카드는 쓰시되 신용카드만 안 만드시면 성공하실겁니다!!
Sebastian Vettel
19/10/29 09:42
수정 아이콘
저도 5 6년간 급여의 70 80프로정도 저금하면서 살아왔는데 어느순간부터 돈이 돈같지 않고 그냥 숫자라고만 느껴지더라고요
숫자 늘어나는 재미는 있었습니다
19/10/29 10:30
수정 아이콘
170에서 150저금하는데 돈이 남는다고요?????
대박!!!!!!
손연재
19/10/29 10:56
수정 아이콘
와.. 대단하십니다 진심으로요
김성수
19/10/29 11:0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부모님이더라도 성인 이후에는 생활비 분담하는 게 옳다고 보아서.. 수입이 적다고 생각하면 적더라도 비율에 맞게 말이죠. 어쨌거나 열심히 사시는 것 같아 보기 좋습니다. 흐흐 (그렇다고 방탕한 생활이 잘못 됐다고 생각하지 않지만요.)
19/10/29 11:10
수정 아이콘
의료실비보험과 청약저축은 하세요
들깨수제비
19/10/29 12:08
수정 아이콘
의료실비 보험과 청약저축 받고, 증권사에서 운용하는 연금펀드도 드시는 걸 추천합니다.
월급네티
19/10/29 12:14
수정 아이콘
부럽네요.
부모님 집에서 나오니 고정비만으로 얼마나 나가는지...
연애잘합니다
19/10/29 12:21
수정 아이콘
음 저 같은 경우는

1. 폰요금은 5~6

2. 식비는 회사에서 제공 및 집에서 식사

어쩌다 저녁땐 햄버거정도? 아무튼 야식 잘 안합니다

3. 의류비는 제일 많이 나가는데 신규시절때만 많이 나가고

이후는 거의 안나갑니다

4. 취미 아예 전무합니다 현질도 안하고...

5. 연애고수라면 여친이 데이트비용 다 내주는거 아닙니까? 는 쿰이고 현재 연애 못하고 있네요 ㅜㅜ

그러니 지출 거의 없는편이긴해요.

의외로 반응이 뜨겁네요 그래도 좋게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차기백수
19/10/29 12:25
수정 아이콘
닉값하면 적금을 줄이셔야할수도.........
달달합니다
19/10/29 12:40
수정 아이콘
일말고 뭐하고 사시는지.,,,,?
언뜻 유재석
19/10/29 13:47
수정 아이콘
글쓰신분과 반대 비율로 저축하고 소비하고 있는데...

반성합니다.
F.Nietzsche
19/10/29 14:08
수정 아이콘
질문을 하셨으니 냉정하게 말씀드리면 굉장히 잘못된 돈관리로 보입니다.
먼저 수입자체가 너무 적습니다. 티끌 모아 티끌인 상황에서 돈관리는 의미가 없어요.
지금 저축보다 중요한건 자신의 미래에 대해 얼마나 투자를 하는가 입니다. 세미나를 듣든 자격증을 따든, 심지어 책만 사도 한 달에 십 만원씩은 나갑니다.
자기투자금을 늘려 전체 수입을 늘릴 생각을 하는게 훨씬 좋은 돈 관리 방법입니다.
19/10/30 01:04
수정 아이콘
이 댓글에 동의합니다

저축하는 능력은 탑인데

미래에 대한 투자는 부족해보여요 요새 세후 200은 보통 많이받던데 조금 자기개발에 투자하는것도 좋은방법인거같습니다
dfjiaoefse
19/10/29 14:43
수정 아이콘
출퇴근을 걸어서 하시나보네요
통근버스가 있다던지
19/10/29 16:24
수정 아이콘
닉이 사실인가요... 20으로..
LinearAlgebra
19/10/29 19:04
수정 아이콘
20으로 연애를 잘 하시다니... 존경합니다 형님!
This-Plus
19/10/29 20:06
수정 아이콘
이분은 나중에 결혼하고나서
용돈이 오히려 늘어날수도...?-_-
19/10/30 02:25
수정 아이콘
아니... 이건 진짜 대단한거 같은데요. 미래에 대한 투자.. 말은 참 좋은데 이게 투자대비 성과가 안 난다면 그냥 돈 쓴거밖에 안되니까요. 굳이 시간과 돈을 투자하면서까지 앞으로 꼭 해보고싶다 정도가 아니면 그냥 이정도 비율로 저축하시는 것만 해도 충분히 대단하십니다. 반성하고 갑니다.
클로이
19/10/30 14:19
수정 아이콘
170버는데 150 저금...와
19/10/31 17: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엄청나네요.

초반 습관이 잘 잡혀있어서, 유지하시면서
연봉도 높아지고 연애도 결혼도 내집마련도 다 성공하시길.

30살에 이정도 저축률과 재테크 관심도면 괜찮은편입니다.

자기계발을 통한 연봉상승 꾸준히 하시고
책사고 강의듣는거에 돈 아끼지 마시라는 얘기입니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돈에 관련된 것들도 꾸준히 공부해 나가세요~
ㅡ내용돈 15 애아빠 드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9037 [질문] 작업용 모니터 (오토캐드, 스캐치업, 포토샵) VA패널하고 IPS패널 고민입니다. [9] 맛초킹7759 19/11/01 7759
139036 [질문] [컴견적] 휴스턴! 이륙허가 요청합니다 [15] 리듬파워근성4408 19/11/01 4408
139035 [질문] 자유게시판에 여러장 사진 업로드 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6] InYourHeart2656 19/11/01 2656
139034 [질문] 페이팔 어드레스가 무슨 뜻입니까? [2] 이호철3389 19/11/01 3389
139033 [질문] 유튜브 포맷 지금 방금 바뀐 건가요? [7] wook984258 19/10/31 4258
139032 [질문] 프로토스 대 저그전 질문입니다. [7] F.Nietzsche3469 19/10/31 3469
139031 [질문] 피지알 음악학원 도와주세요! [2] 김유라2846 19/10/31 2846
139030 [질문] 주택 흰색 벽지관련 질문입니다. 마스쿼레이드2013 19/10/31 2013
139029 [질문] 왜 여성용 수분크림은 펌프형이나 튜브형이 드물까요? [6] 샨티3675 19/10/31 3675
139028 [질문] 둘이서 할 수 있는 협동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중학교일학년4440 19/10/31 4440
139027 [질문] 잡뉴스 솔로몬서치란 헤드헌팅 업체에서 연락이 왔는데 아시는 분? [2] 캬라3115 19/10/31 3115
139026 [질문] 어제 코딩용 노트북 질문에 이어서 몇 가지 더 질문하고 싶습니다. [31] 삭제됨4512 19/10/31 4512
139025 [질문] 노트북 추천좀 부탁드려요. [7] mandubest2995 19/10/31 2995
139024 [질문] 서울 괜찮은 호텔 추천부탁드려요. [18] 교자만두3803 19/10/31 3803
139023 [질문] 문명5 질문입니다. [5] 블루레인코트3996 19/10/31 3996
139022 [질문] PGR 댓글은 왜 랙이 그렇게 많나요? [9] 솔지3868 19/10/31 3868
139021 [질문] 아이폰 11 vs 11pro vs Xr 질문입니다 [19] 보름달이뜨는밤에3681 19/10/31 3681
139020 [질문] 롤 프레스티지 스킨 질문입니다. [8] 대통령3980 19/10/31 3980
139019 [질문] 프로포즈용 호텔 추천 받습니다. [18] 싸이유니6908 19/10/31 6908
139017 [질문] 포트와인 추천좀해주세요 [7] 불대가리6109 19/10/31 6109
139016 [질문] 회사직원 결혼식 불참시 축의금 전달 질문입니다. [13] 삭제됨11576 19/10/31 11576
139015 [질문] 혹시 소장에 가스 차는 증상에 대해서 아시는 분 계신가요? [2] 10년째학부생2359 19/10/31 2359
139014 [질문] 삭제 예정인 글들을 삭제 해야 할까요? [10] 붉은종이달3561 19/10/31 356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