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10/25 19:52:04
Name 안철수
Subject [질문] 에어 매트리스 혹은 저상형 침대 쓰는분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부모가 3살 아이와 함께 쓸 침대를 찾고 있습니다.

요즘 에어 매트리스가 유행인거 같은데
일반 침대에 비해 가격이 너무 저렴해서
허리에 나쁜게 아닐까 싶은 걱정이 들어 구매가 망설여지네요.

에어 매트리스나, 다른 가족용 저상형 침대 쓰고 계신 분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다들 그렇듯 침대가 반 놀이터라 좋은거 사서 오래쓸 엄두는 안나는게 제가 오락가락하는 큰 이유이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10/25 19:56
수정 아이콘
에어 매트리스 쓴지로 지금 10달 가까이 됐습니다. 괜찮긴 한데..오래 쓸만한 물건은 못되는 것 같아요 확실히. 허리에 좀 안 좋은 것 같습니다.
안철수
19/10/25 20:0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돈을 조금 더 쓰는 쪽으로 생각해봐야겠네요.
19/10/25 20: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희도 저상형 많이 고민하다가 그냥 퀸사이즈랑 싱글 매트리스만 붙여서 사용합니다. 사용하다보면 밀리는게 좀 짜증나긴 한데 그냥저냥 쓰고 있습니다. 매트리스는 이케아에서 두번째로 싼건가 구매했을거에요.
안철수
19/10/25 21:07
수정 아이콘
저도 왠지 이렇게 될거 같아요
19/10/25 20:42
수정 아이콘
매트리스는 슈퍼킹이랑 슈퍼싱글 붙여서 가로 3미터, 세로 1.8미터 되고
침대프레임은 매트 딱맞게 들어가서 안밀리고, 높이 별로 안높아 떨어져도 안다치고, 각진부분 없고 폭신한 커버 씌어서 부딪혀도 안전하게 맞춤제작 했습니다
프레임 제작은 100들어갔네요, 매트는 제가 허리가 안좋아서 좀 좋은걸로...
안철수
19/10/25 21:05
수정 아이콘
그 놈 복붙하고 싶네요. 대단하십니다
19/10/25 22:09
수정 아이콘
처음엔 프레임없이 바닥에 매트깔고 살았습니다.
애 만2세 정도까지는...
그 높이도 떨어져서 머리 박으면 울더라고요
요즘은다더 높지만 떨어져도 그냥 혼자 올라옵니다
19/10/25 21:38
수정 아이콘
몇가지 팁을 더 드리자면 맞춤형 매트리스 패드중에 가로 250까지 제작해 주는데가 있으니 매트리스 2개 사이즈 맞게 패드 제작해서 씌우면 따로따로 잘 안움직일거고요. 폭 좁은 접이식 매트 세워서 벽쪽에 두면 헤드보드 대용으로 쓸만합니다.
오늘 뭐 먹지?
19/10/25 22:01
수정 아이콘
매트리스 퀸 + 싱글,
프레임은 이케아 매트리스베이스 두개 붙였습니다.
매트리스는 퀸은 씰리, 싱글은 가로폭 사이즈 때문에 이케아고요.
벽 한쪽으로 붙여서 사용하고, 아이는 벽 쪽에서 잡니다.
나중에 아이 독립하면, 싱글 떼어서 주려고 이렇게 설계했는데,, 과연??
19/10/25 22:06
수정 아이콘
독립? 어림없지!
착한아이
19/10/26 07:28
수정 아이콘
이번에 이사하면서 저희도 똑같이 고민했는데(평소 저희침대 옆 범퍼침대에 재우는데 어른 키에 안맞는걸 사서..ㅜㅜ) 그냥 범퍼침대 한쪽 지퍼를 열고 주변을 베이비룸 중고 닦아서 두른 다음에 저희 퀸사이즈 옆에 붙이기로 했어요. 침대에서 부모랑 같이 자는건 낙상이나 질식 위험을 고려했을때 아직 위험하다고 생각했고(아이가 자면서 참 잘 움직입니다. 근데 저도 잘 움직이고.. 같이 자면 영원히 고통받을 남편), 저렴한 매트리스는 교대근무 남편의 야간근무 수면 용으로 샀다가 후기는 믿는게 아니라는 교훈을 다시 한번..ㅜㅜ 싱글침대에 가드는 침대비용이 너무 아깝고요. 커서 꼭 그 싱글침대 쓴다는 보장이... 저상형도무조건 안전한게 아니라 가드 할바에야 안사는게 낫겠더라고요. 알집매트 패밀리 범퍼침대가 튼튼하고 180 이상 남자도 눕기 좋은데 가격이 고민되더라고요. 결국 있는거 재활용입니다. 근데 불편하면 저 패밀리 범퍼사기로 했어요. 아 바이럴 아닙니다. 이미 유명업체죠. 아무튼 그렇습니다 ㅜㅜ 어렵네요
안철수
19/10/26 09:46
수정 아이콘
답변 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8952 [질문] 디스코드 서버 후원이 뭔가요? [2] 깐딩5025 19/10/29 5025
138951 [질문] 올해 방영한 한국 드라마 중에 1개만 꼽는다면 [33] 키류4533 19/10/29 4533
138950 [질문] 피아노 조율 문제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1] 꿀꿀꾸잉1863 19/10/29 1863
138949 [삭제예정] 이 과자 어디 건지 아는 분 계신가요? [9] Quasar4163 19/10/29 4163
138948 [질문] 부기영화 피키캐스트 연재분 어디서 볼 수 있나요? [5] 훈타14055 19/10/29 14055
138945 [질문] 혹지 지금 nvidia 녹화기능 되나요? 윤정2469 19/10/29 2469
138944 [질문] 스팀 할로윈 세일에 살만한 공포게임 뭐가 있을까요? [19] 드라카3710 19/10/29 3710
138943 [질문] 모바일 게임 하나만 찾아주세요! [1] UGH!3694 19/10/29 3694
138942 [질문] 컴퓨터 파워 케이블 질문 [11] 콰트로치즈와퍼3863 19/10/29 3863
138941 [질문] 취준생인데 저는 어떤 직업을 가져야 좋을까요? [46] 조율의조유리5641 19/10/29 5641
138940 [삭제예정] 전세금 안(못) 돌려주는 집주인 대처 관련 질문드립니다. [10] 타는쓰레기5345 19/10/29 5345
138939 [질문] 저 돈관리 하고 있는데 이르케 하는거 맞나요? [39] 연애잘합니다4935 19/10/29 4935
138938 [질문] 화정체육관 콘서트 1열 관람해보신분 계신가요? [1] Venom3022 19/10/29 3022
138937 [질문] 돈 관련 부탁을 할 때 어떤 방식으로 하는 것이 좋을까요? [18] 앎과모름의차이4916 19/10/28 4916
138936 [질문] 신림역 혹은 인천공항쪽에 링피트 구매가능한 곳이 있을까요? [3] Et Cetera3263 19/10/28 3263
138935 [질문] 갤럭시노트10에서 삼성계정 바꾸는법 아시는 분 계신가요? [2] 정나사랑해♡3111 19/10/28 3111
138934 [질문] 키크론 무선 기계식 키보드 사용하시는 분 계신가요? F.Nietzsche3568 19/10/28 3568
138933 [질문] 스타1 리마스터 사양 [7] 바람의 빛4048 19/10/28 4048
138932 [질문] 돈을 빌려주는 것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21] 앎과모름의차이4563 19/10/28 4563
138931 [질문] 모바일 게임 켜면 저 동그라미가 뜹니다. [1] 쌍테아린3133 19/10/28 3133
138929 [질문] 요즘 핸드폰 어떻게 사나요? [7] 체르마트3478 19/10/28 3478
138928 [질문] 누구나 알법한 명대사 추천부탁드립니다! [37] Part.34230 19/10/28 4230
138927 [질문] 시작페이지가 표시 안됩니다 [2] 틀림과 다름2243 19/10/28 22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