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8/18 12:33:52
Name 카서스
Subject [질문] 인덱스 펀드와 적금?
인덱스 펀드의 경우 수익률이 괜찮고 위험부담도 적은 상품으로 알고있는데요.

주변에 물어보면 대부분 적금을 좀더 선호하더라구요?

인덱스펀드의 수익률이 대략 6~8%정도로 알고있는데

그럼 왠만한 적금보다 수익률이 훨씬 좋은것 아닌가요?

근데 왜 대부분 적금을 좀더 선호할까요?

역시 적긴 하지만 리스크가 있다는 측면 때문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볼레로
19/08/18 12:47
수정 아이콘
코스피 지수가 2007년에 2000이 넘었는데 지금 1900대입니다.
10년을 참아도 손해볼 수 있다는 얘기죠.

그리고 폭락했을 때 갑자기 돈이 필요해서 매도하면 엄청 손해볼 가능성도 있으니까요.
카서스
19/08/18 12:4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지구사랑
19/08/18 12:49
수정 아이콘
인덱스 펀드는 주식입니다.
장기적으로 연 5% 이상 나올 것으로 기대할 수 있지만, 그것은 기대일 뿐입니다.
단기적으로 어떻게 될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마이너스 50% 가 되고, 원금 회복에 10 년쯤 걸려도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주식류의 변동성은 아무리 인덱스라고 해도 절대 작지 않습니다.
잘 알아보세요.
닉네임을바꾸다
19/08/18 13: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점쯤에 잘 들어간거 아니면...아무래도 물론 주가지수는 장기적으로는 우상향하는 편이긴하지만....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좀 박스권에 갖힌지라...
마술사
19/08/18 13:21
수정 아이콘
인덱스펀드가 6~8프로를 보장한다고하면 당장넣지요..근데 정말입니까?
던져진
19/08/18 13:23
수정 아이콘
인덱스 펀드 하려면 미국에서 해야죠.

인덱스 펀드가 괜찮다는건 한국에서 통용되지 않는 이야기 입니다.
19/08/18 13: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국이나 미국이나 다를게 없습니다.
좋지 않은 시기에 들어가면 10년 넘게 개고생하는건 미국도 똑같아요. 어느 나라든 다 비슷합니다.


평범한 직장인 기준으로 가장 최적의 전략은 장기 적립인것 같습니다.
매수를 오랜기간동안 하고, 매수 집행이 끝난 후 보유기간 또한 장기간 지속하는 전략이죠.

적립식 매수는 저점에서 시작하면 좋지 않고 정체의 기간이 한참 남았을때 시작해야 가장 최적의 조건이 됩니다.
예를들어 10년간 매월 얼마씩 산다고 했을때, 저점에서부터 고점까지 10년동안 사면 수익률이 그다지 좋지 못하게 나옵니다.
10년 중 정체기 7년 + 회복 초기 3년 정도로 조합되면 매수단가가 아주 유리하게 맞춰지고 이후 수익률도 극대화됩니다.
혹은 그냥 정체기의 시작에서부터 끝까지가 매수 기간이 되는것도 좋습니다.

그렇게까지 매수를 지속하기에는 개인적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크다면 매수기간을 좀 짧게 설정하는 것이 좋을텐데, 기간이 줄어들수록 운이 중요해집니다.

그냥 일시에 전액 매수를 집행하는 방식은 웬만하면 안하는게 좋습니다.
1년이나 2~3년 정도는 '기간'이라기보다는 '일시'에 가깝다고 받아들여야 합니다.
'어떤 한 시점에 매수한다'고 했을때 그 '시점'이라는 것은 실제 '점'이라기보다는 최소 1년여 정도의 특정 시기를 두고 '일시'라고 한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예를들어 '1960년대 후반에 어느 나라의 주식을 매수했다'고 했을때, 그 1960년대 후반이라는것은 '매우 짧은 특정 시기'를 말합니다. 그리고 집행기간이 1967~1969 정도라고 한다면, 길게볼때 그 기간은 '일정시점'이 됩니다.
아무튼 정말 짧게 잡더라도 1년 정도로 잡아야죠. 돈이 아주 많아도 일부러라도 그렇게 나눠서 사는게 좋습니다. 물론 매수를 시작하고 얼마안되서부터 가격이 너무 빠르게 오르던가 한다면 기간을 더 길게 잡아야 하구요. 그 이후의 등락과정까지를 하나의 턴으로 활용을 해야합니다.
하필이면 딱 그때부터 큰 조정없이 수년 이상의 상승이 계속 진행된다면 그건 운이 없는거긴한데, 그거야 뭐 어쩔 수 없죠.
카서스
19/08/18 14:25
수정 아이콘
장기적립식으로 할까 고민중이긴 합니다.
아직 공부중이라 잘 몰랐는데 미국비중을 높이고 전체적으로 적금비율을 올려야겠네요
김유라
19/08/18 14: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ETF 가 괜찮다는 건 한국에서 통용되지 않는 이야기입니다(2). 얘네도 결국 펀드사들이 팔아먹는 펀드들 생각하면 중위험군~고위험군의 투자상품입니다. 5000만원 한도 내에서 원금이 보장되는 적금이 생각보다 괜찮은 상품인거죠.

ETF를 할거면 좋은 시점부터(이상적으로는 2009년이 되겠네요) 꾸준히 적립식으로 S&P 500 이나 나스닥 관련 ETF 매수했을 때가 좋은 수익률이 나오지, 코스피/코스닥 위주의 ETF 장기투자했으면 십중팔구 보합이나 손실입니다.
19/08/18 15:1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인덱스펀드, 적금 둘다 추천하지 않습니다.
19/08/18 22:34
수정 아이콘
적금은 왜요?
flowater
19/08/18 15:4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인덱스 펀드는 단타용입니다 단타하실거면 하세요
19/08/19 08:06
수정 아이콘
적금 = 보장 하지만 이율이 낮음
펀드 = 비보장 이율은 적금보다 높음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로우리스크 로우리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6701 [질문] [연애] 저녁메뉴 어떤게 좋나요? [4] 연애잘합니다2775 19/08/21 2775
136700 [삭제예정] 회사를 상대로 내용증명을 보낼때 수신자는... [7] 김철(34세,무좀)4728 19/08/21 4728
136699 [질문] 노트10 구입방법 질문드립니다. [12] 원탑임팩트4350 19/08/21 4350
136698 [질문] 야외에서 자유롭게 뒤를 보고 싶습니다 [4] 짐승먹이3319 19/08/21 3319
136697 [질문] (팩트체크) 지금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접속 가능하신분? [7] 매일푸쉬업3481 19/08/21 3481
136696 [질문] 팟플레이어 업데이트 되시나요? [2] Dwyane2438 19/08/21 2438
136695 [질문] 노트8 쓰시는 분들 괜찮나요? [9] 청자켓3500 19/08/21 3500
136694 [질문] 일본 수출규제 관련하여 매출액, 수출액 등의 자료를 조회해보고자 합니다. 라도비드3400 19/08/20 3400
136693 [질문] 서울,일산쪽 야간 찜질방을 찾고있어요! [8] 태연­3116 19/08/20 3116
136692 [질문] Fm용 노트북 질문입니다. [6] 어빈5730 19/08/20 5730
136691 [질문] 구글 게임 환불 가능할까요? [9] 슬숑3507 19/08/20 3507
136690 [질문] 축구 해설자도 토토하면 불법인가요? [8] dongkyo6016 19/08/20 6016
136689 [질문] (수정)개인 종신연금을 가입하려 합니다. [25] 똘빼4621 19/08/20 4621
136688 [질문] 논문쓸때 유료번역서비스 쓰는거 문제 없는건가요? [9] 진리3194 19/08/20 3194
136687 [질문] 풋살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6] XabiAlonso3130 19/08/20 3130
136686 [질문] 영어 문법 매우 짧은 문제 질문드립니다 [10] retrieval2835 19/08/20 2835
136685 [질문] 치핵수술 해야하나요? [14] 이르4017 19/08/20 4017
136683 [질문] 일본의 방사능 관련 관리 현황과 위험성 어느정도 위험한 것인가요? [16] LG의심장박용택2742 19/08/20 2742
136681 [질문] 초등 1학년이 할 만한 학습어플이 적당한게 있을까요? [3] 修人事待天命1827 19/08/20 1827
136680 [질문] 학진연구비가 어떤 의미인가요? [5] 사악군2768 19/08/20 2768
136679 [질문] 4만원 이하 호텔뷔페가 있을까요 ... ? [44] Aiurr6760 19/08/20 6760
136678 [질문] 영양제 복용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4] Demi2790 19/08/20 2790
136677 [질문] 외국에서 친척분이 들어오는데 2주정도 유심이나 포켓와이파이중 뭐가 더 좋을까요!? [4] mcu2475 19/08/20 24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