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8/07 17:42:10
Name 재지팩트
Subject [질문] 풀대출...영끌해서 아파트 매매 vs 전세 (용인수지) (수정됨)
안녕하세요

12월 결혼예정입니다.
(내용 조금 수정)

여친이 다른건 몰라도 무조건 아파트라고 합니다.
저도 어느정도 동의합니다. 둘다 원룸에 4~5년을 살았어요. 이제는 벗어나고 싶습... TT
(직장위치가 각각 저는 서울 중구, 여친 수지 동천역)

상현역 광교상록자이 혹은 경남아너스빌이
많은 조건을 충족하는 아파트이구요.

재정 상태는...
광교상록자이는 25평이 7억 정도던데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70%이상 대출입니다.
연봉은 둘이 합쳐 세전 1.2억 정도입니다.

만약에 대출이 된다하더라도 저정도의 리스크?와 대출비용을 감수해가면서
(월 350만원 정도 이자+원금 예상되네요)

좀 더 조건들을 내려놓고...구축 전세로 시작하면서
돈을 모으자라고 해봤지만...이것도 이거대로 아닌것 같고,

이정도로 무리할 정도의 조건의 아파트는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걸까요,

결혼준비하면서 제일 힘든 부분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azellnu
19/08/07 17:53
수정 아이콘
등기치고 하면 비용이 더 듭니다.
입주 5년이 넘었으면 손봐야 할 곳도 있을거구요.
일단 그것에 대한 정확한 금액 조사가 먼저 필요합니다. 그리고 대출이 어떻게까지 가능한지 가까운 은행 방문해서 정확히 알아보구요.
srwmania
19/08/07 17:54
수정 아이콘
대출금 제외 한달 350 정도로 생활이 가능하냐는 건 순전히 본인이 판단하실 문제입니다.
전 그거보다 적은 비용으로 애 키우면서 잘 살고 있거든요 (...)

그리고 10년이 지났는데 7억에서 8억이 못 될거라고 생각되는 아파트라면 그냥 전세 사시고,
다른 아파트를 전세끼고 사시는게 훨씬 낫습니다.
덴드로븀
19/08/07 17:57
수정 아이콘
힘들어보입니다.
19/08/07 17: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오른다는 확신 있으면 풀대출 10년 거치로 땡긴다음에 이자만 내고 기도하면서 10년안에 팔고 나가면 될거 같은데요...
집값 안오르면 진짜 망하는 거구요.
몽실이
19/08/07 18:00
수정 아이콘
왠만하면 실거주 매매는 고고를 외쳐드리는데

이건 좀 무리로 보입니다..
재지팩트
19/08/07 23:08
수정 아이콘
수지구청역 근처 구축 매매는 4억 정도던데
여기는 어떨까요..답은 아무도 모르겟만
변동은 없을것 같아서요.
19/08/07 18:04
수정 아이콘
기도메타..
강남권 출퇴근이시고 조달이 힘드시면 차라리 구성남을 알아보시는게..
19/08/07 18:05
수정 아이콘
다른 분들 말씀처럼 제 생각에도 좀 무리로 보입니다. 5억 정도 매매 매물을 찾아보시거나 아니면 그 매물 전세로 들어가는게 낫지 않나 싶습니다..
재지팩트
19/08/07 18:16
수정 아이콘
처음에는 전세만 생각햇는데요...
이러다가 집값 더 올라가면...더 힘들것 같아서요.

정말 무리해서라도 내집마련을 해야될것 같기도하구
서울이 아니면 20년쯤 되가는 아파트는 맘에 들지가 않네요
19/08/07 18:07
수정 아이콘
현재 월 300이상 모으고 있다면,
그 300 대출로 쓴다고 치면 가능할듯요
그런데 대출이 저만큼 나오는지부터 확인해야할듯요.
하우스
19/08/07 18:11
수정 아이콘
대출이 된다면 모르겠는데... 일단 요즘 엥간한 곳은 투기 제한 구역 묶여서 주담대 60% 안나오지 않나요 ?
재지팩트
19/08/07 19:34
수정 아이콘
대출 잘 모르는데, 호갱노노로 봤을때는 LTV 60% 라고 보입니다
19/08/07 18:49
수정 아이콘
일단 필요한 돈은 7억2천 정도라고 생각하는게 좋을듯 하긴 한데 수지 광교쪽이 더 오를지는 좀 고민이 필요 할 듯 합니다.
은행에서 대출 가능할지 확실히 확인 해 보시고 가능하면 매매로 가는걸 전 추천합니다
3분맛카레
19/08/07 19: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 가능은 할거 같은데. 우선 집값이 오를까. 라는 생각이 들고
대출이 나올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느낌상 난 1억 5천 있으니 5억 5천의 대출을 20년으로 3%로 빌리면 월 300정도 되겠다.
라고 접근하신듯 합니다. 다만 수지의 경우 부동산조정대상지역이니 LTV60%나올꺼고
7억의 아파트라면 퍼센트 비율대로 하면 담보 대출이 4억정도 나온다는 이야기겠죠.

담보대출 안되는 부분은 신용대출로 빌려야 하는데 3%로 나머지 한도만큼
빌릴 수 있으면 다행입니다만 보통은 우량직군외에는 쉽지 않습니다.

또한 보통 7억 아파트면 취등록세 이사비용 기타 인테리어 가전제품 잡으면 최소 3 ~ 5%이상
매매가에서 추가로 더 잡으셔야 됩니다. 이런거까지 다 계산해보시고 접근하시는게 좋고.
우선은 은행 등 대출기관에 확인해서 대략적인 금액 한계를 알아보고 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저도 17년 후반기에 분당 집 살때 대출 문제로 꽤나 애를 먹어서. 술김에 덧글달아봤네요.;;
재지팩트
19/08/07 19:48
수정 아이콘
윗분들도 그렇고...들어갈 비용에 대해
좀 더 깊게 봐야겟네요. 이제 막 알아보는 단계라...
제가 잘 몰랏네요. 가능은 하더라도 무리가 크고
인서울 분양 아파트도 아닌지라 리스크도 잇네요.
근데 전세 시작 - 돈 모으고 - 내 아파트 구입
이게 가능할지 모르겟어요.
19/08/07 19:55
수정 아이콘
너무 무리하시는것 같습니다...
"전세 시작 - 돈 모으고 - 내 아파트 구입, 이게 가능할지 모르겟어요."
대다수가 그렇게 합니다... 열심히 일하면서 때를 기다리면 타이밍이 옵니다...
지금은 결혼전부터 너무 풀악셀로 달리려고 하시는것 같습니다.
대출금 너무 많으면 사는게 진짜 재미없어지고 스트레스 받고 싸우게 됩니다...
19/08/07 20:50
수정 아이콘
ltv60은 교과서 답이고
보통은 개인의 소득 월 연 상환액 개인신용도 등등 때문에
ltv dti dsr 등 다 따져보면
담보대출 신용대출 풀로 안나올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은행 여러곳 상담해봐야 합니다
피지알맨
19/08/07 21:36
수정 아이콘
한국은 다 부자인가봐요.
다른 세상 얘기네요 이건.. 서울사람들 정말 대단합니다..
마술사
19/08/08 07:15
수정 아이콘
심지어 저긴 서울도 아닙니다...경기도 용인..
아이유_밤편지
19/08/08 10:01
수정 아이콘
+그나마 강남까지 지하철깔려버리고 주상복합+패션몰(이건 뭐라고하는지 모르겠네요..뭐 아울렛? 같은게 하나 생기든데..)까지...
아이고배야
19/08/07 21:57
수정 아이콘
서울 왠만한 지역이면 고고인데
광교 수지면 좀..
하우두유두
19/08/07 23:19
수정 아이콘
플대출로 용인은 좀 그렇습니다. 저라면 분당권에서 머무르겠어요 아니면 차라리 성남 중원구나 수정구도 좋은데
이혜리
19/08/08 00:01
수정 아이콘
지금 저랑 아내랑 세전으로 1.4억 정도 버는데 대출금이 5.5억 정도 입니다. 주담대 원리금이랑 신용대출 이자로 월 300정도 나가는데 솔직히 후달립니다.

그치만 둘다 10년이상 자취하고 전세살고 할 때의 스트레스가 굉장히 커서 그냥 눌러 앉아야지 생각해서 지른거라 후회는 없습니다. 투자 목적이없다고는 못하겠는데 그래도 못질하고 2년 전세금 긍긍 스트레스 안 받는 목적이 더욱 컸습니다.
재지팩트
19/08/21 12:00
수정 아이콘
전세대출도 매매시 들어가는 대출의 절반은 해야되는데...
돈이 아까워서요...매매가가 5억이면 바로 지를법한데...7억이라 힘드네요 ㅜ
재지팩트
19/08/21 12:01
수정 아이콘
전세대출도 매매시 들어가는 대출의 절반은 해야되는데...
돈이 아까워서요...매매가가 5억이면 바로 지를법한데...7억이라 힘드네요 ㅜ
재지팩트
19/08/21 12:02
수정 아이콘
전세대출도 매매시 들어가는 대출의 절반은 해야되는데...
돈이 아까워서요...매매가가 5억이면 바로 지를법한데...7억이라 힘드네요 ㅜ
재지팩트
19/08/21 12:02
수정 아이콘
전세대출도 매매시 들어가는 대출의 절반은 해야되는데...
돈이 아까워서요...매매가가 5억이면 바로 지를법한데...7억이라 힘드네요 ㅜ
재지팩트
19/08/21 12:02
수정 아이콘
전세대출도 매매시 들어가는 대출의 절반은 해야되는데...
돈이 아까워서요...매매가가 5억이면 바로 지를법한데...7억이라 힘드네요
셧업말포이
19/08/08 10:47
수정 아이콘
그정도는 대출이 안될 겁니다. 해도 무리구요.
그래도, 결혼하실 거라면 대출 끼고 자가 추천합니다.
주택은 자산입니다. 차는 구매순간부터 감가시작이지만, 주택은 아니에요.
그리고 전문직급 월급이 모이지 않는 한, 전세로 들어갔다가 돈 모아서 집 산다는 건 틀린 접근입니다.
마술사
19/08/08 10:52
수정 아이콘
전세로 결혼하시고, 신혼부부특별공급 청약을 노려보세요~ 두분다 무주택이었는지 확인하시구요
19/08/08 21:02
수정 아이콘
적당한 구축 매매해서 거주해보고 좋은동네다 싶으면 사시고 아니면 양도세 비과세 시점에서 갈아타시는 게 낫지 않을까요? 직접 살아보는거랑 살기 전에 임장 기준으로 보는 거랑은 달라서요~ 다만 매매가 6억 이상이면 취득세 2배고 전용 84초과면 복비가 비싸고 그러니 적당히 무리없는 집으로요! 대출 너무 많으면 삶의 여유가 없어집니당
재지팩트
19/08/09 18:19
수정 아이콘
네...윗분들 댓글 주신것도 읽어봣을때...
신혼 첫집부터 매우 무리한 풀대출 매매보다는
적당한 구축 전세로 가보는게 맞는것 같네요
수타군
21/03/24 09:31
수정 아이콘
사셨을려나요. 지금은 말도 안되게 올랐는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6399 [질문] 인터넷 폰트에 대한 질문입니다. 미하라2545 19/08/11 2545
136398 [질문] 사법부의 판결에 대해서 행정부의 책임은? [5] 아싸라비아똥구멍3367 19/08/11 3367
136397 [질문] 적정 체중 감량이란게 있나요? [2] 잰지흔6391 19/08/11 6391
136394 [질문] 슬레이 더 스파이어 같은 게임 추천받습니다. [13] 잉차잉차4975 19/08/10 4975
136393 [질문] 크롬으로 인터넷이 안됩니다. 인정2876 19/08/10 2876
136392 [질문] GTA 5 한글이 안됩니다 [2] 첸 스톰스타우트3363 19/08/10 3363
136391 [질문] [의학] 뭐를 먹어도 토할 것 같아요 [8] bifrost5206 19/08/10 5206
136390 [질문] 달달한 만화 추천부탁드립니다! [45] 야부키 나코9248 19/08/10 9248
136389 [질문] 컴퓨터를 새로샀는데 모니터가 안겨집니다 [12] 홀리데이3578 19/08/10 3578
136387 [질문] 선물 관련 문제 질문~~~ 교대가즈아2522 19/08/10 2522
136386 [질문] 헤어진 사람으로부터 연락이 계속 옵니다 [41] nekorean7222 19/08/10 7222
136385 [질문] 컴퓨터와 핸드폰에서 함께 쓸 수 있는 메모 어플 어떤 게 좋은지요...? [1] nexon3316 19/08/10 3316
136384 [질문] kt giga utp 사용중인대 속도가 100m 밖에 안나옵니다 [6] 가을의전설9803 19/08/10 9803
136383 [질문] 국뽕치 리필하기 좋은 위키문서 추천부탁드립니다 [4] Cand2870 19/08/10 2870
136382 [질문] 남자향수 추천 좀 부탁드려요(처음 구매해봅니다) [11] 치토스4116 19/08/10 4116
136381 [질문] 내일 춘천 드라이빙 괜찮나요? [3] 무민2973 19/08/10 2973
136380 [질문] 여의도 IFC몰 안에서 소개팅 식사 할만한 곳 추천 부탁 드립니다. [14] 버티면나아지려나5818 19/08/10 5818
136379 [질문] 뽐뿌에서 좌표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5] 탄이3016 19/08/10 3016
136378 [질문] 파워에이드나 게토레이는 몸에 괜찮은건가요?? [20] 애기찌와7454 19/08/10 7454
136377 [질문] 램 용량이 크면 시작프로그램 많아도 상관없나요? [4] 생선가게 고양이3350 19/08/10 3350
136376 [질문] 유튜브 자막 끊김현상 해결방법 아시는 분 계신가요? 홉스로크루소4899 19/08/10 4899
136375 [질문] 시국때문에 조심스레 여쭤보는 도쿄 전철(패스) 질문 [2] 대치동박선생2478 19/08/10 2478
136374 [질문] 랑그릿사 빛의 순례 질문 드립니다. [3] 총사령관3029 19/08/10 30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