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7/31 18:20:54
Name 삼동이
Subject [질문] 시중은행 취업, 입행 관련 질문드립니다.
은행권 준비할때 회계, 재무 관련 지식이 어느정도 필요한가요?

인터넷에 나오는 정보들 단편적으로 훑어보면

은행은 전공 무관이다, 어차피 들어가면 배운다라는 내용도 있고

필기 관련해서도 NCS, 경제 및 금융 상식 얘기밖에 없고,

우대 자격증도 무슨 투자권유 이런거고, 회계 재무 관련 자격증으로 보이는 것들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된다는 의견이 대부분인 것 같고요...

금융 상식에 회게 재무가 전공자 수준으로 들어가는건가요?


///


아 그리고 은행권에 영어, 제2외국어 능력이 메리트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내용이론
19/07/31 19:44
수정 아이콘
시중은행 올해 신입인데요. 은행마다 다르겠지만 딱히 전공지식을 필기나 면접에서 물어보지는 않았었습니다.
제 동기들도 전공이 천차만별이라 심화된 회계, 재무쪽 전공지식보다는 NCS 수준의 이해와
은행업에 대한 이해만 있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자격증도 있으면 좋겠지만 굳이 필요하지는 않다고 느꼈습니다. 저도 한국사만 가지고 서류는 거의 다 붙었었거든요.
권유"자문인력" 자격증은 금융기관 종사자가 자격요건이고, 권유"대행인"은 쓸데가 없습니다.
보험"대리점" 자격증은 입행전에도 취득 가능하나 인사부에 어필
영어나 제2외국어도 잘하면 입행 후에는 큰 강점이지만 입행에 직접적인 메리트가 있다고 느끼진 못했습니다.

P.S. 혹시나 코딩 관련해서는 어필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까 싶기도 합니다.
저야 아무것도 모르는 신입이지만 일반 행원도 디지털 역량을 강화시키는 행내 분위기가 느껴지는 것 같기도 합니다.
관련 연수도 꽤 있더라구요..
조용히살자
19/07/31 19:59
수정 아이콘
학점 높음 + 어리시다면(26살 이하) + 토익이 높으면..

서류는 합격 잘하실 겁니다.

거기에 보험자격증정도? 있으면 굿..

어차피 들어가면 대출,카드,보험 팔으실거라서요...
교자만두
19/07/31 20:05
수정 아이콘
사실 문과에서 은행이 꿈이긴한데 대다수 실망하더군요. 어마어마한 영업때문에...
19/07/31 20:29
수정 아이콘
금융 상식 없어도 잘 들어갑니다.
열린 채용과 비슷한 느낌이에요.
제2외국어는 잘하면 취업시에 메리트보다는 취업후에 메리트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EPerShare
19/07/31 20:35
수정 아이콘
1. 회계재무경제경영 전반에 관해 상식 수준을 보통 물어보는데, 깊이를 따지자면 필기에서는 전공자까진 갈 것도 없고 교양 수준입니다. 관련 분야에 관심이 있었다면 쉽게 풀 수 있고, 굳이 어거지로 수준을 나누자면 대학교 1~2학년 수준이라 봅니다.

2. 이목을 끌 수는 있지만 딱히 메리트는 되지 못합니다.
19/07/31 21:28
수정 아이콘
은행지점은 아무리봐도 전공과는 전혀 관계가없고
제일 중요한 능력은 어느조직이나 같겠지만
사람들과의 relationship을 맺는 방법이 젤중요할듯 보입니다. [내부사람이든 외부사람이든 두루두루 금방친해지는 능력]

그나마 숫자, 단순 계산, 화폐 잘만지는법, 금융상품 보고 상품 해석할 수있을 정도..

어짜피 상품에 대한 모든 operation은 은행지점에서 하지않고 판매사이다보니깐 그나마 상품을 판매하는쪽이니깐요
19/07/31 21:30
수정 아이콘
1. 재무회계 지식 무관
2. 영어+외국어는 도움이 꽤 된다고 봅니다. 안 뽑을 사람 뽑을 정도는 아니고(제2외국어가 동남아, 혹은 유창한 중국어 정도면 아주아주 큰 메리트)

취업스터디도 꽤나 하고 취업 설명회도 몇번 나갔지만 은행은 영업 능력, 싹싹함, 유창한 언변, 당황하지 않는 서글서글한 성격 등을 어필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물론 학벌이 깡패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6146 [질문] 21:9 모니터에 모니터암 사용해보신 분들 계신가요? [3] dongkyo3522 19/08/03 3522
136145 [질문] 컴퓨터 새로 맞추려고 하는데요 견적 도움좀 주실분 계신가요 [16] 삭제됨3642 19/08/03 3642
136143 [질문] 만약에 금리가 마이너스가 되면 어떻게 되나요? [5] 치카치카3976 19/08/03 3976
136141 [질문] 직원의 기준 [3] 마제스티3956 19/08/03 3956
136140 [질문] SSD 2T EVO vs QVO [3] 허니띠9567 19/08/03 9567
136139 [질문] PC카톡 모바일이랑 동기화 시키는법 있나요? [1] retrieval4370 19/08/03 4370
136138 [질문] 노후경유차 dpf 2차 검사관련 질문입니다. 메피스토2331 19/08/03 2331
136137 [질문] 듀스 “나를 돌아봐” 노래 들었을 때 춤도 자동으로 나오시는 분들? [30] 비싼치킨3538 19/08/02 3538
136136 [질문] 코에이 삼국지13은 어떤 평가를 받나요? [11] 삭제됨5262 19/08/02 5262
136135 [질문] 평범한 한국인으로 태어난 건 얼마나 운이 좋은 걸까요? [63] 개념적 문제5811 19/08/02 5811
136134 [질문] 맥북에어 로즈 골드 vs 스페이스 그레이 [5] 치킨4457 19/08/02 4457
136133 [질문] 샤오미 로봇청소기 맵 리셋 방법 질문입니다 도시의미학6045 19/08/02 6045
136132 [질문] uhd = 4k = 2160p 아닌가요? [10] 잉여로워3016 19/08/02 3016
136131 [질문] 양재/도곡/역삼쪽 치과 추천 부탁드립니다. [1] 삭제됨2755 19/08/02 2755
136130 [질문] [헬스] 데드리프트 할 때 소리 [8] Wade4622 19/08/02 4622
136129 [질문] 카페인 과다섭취하면 몸에 어떤 악영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9] 골드똥3629 19/08/02 3629
136128 [질문] 라스트오리진 친추 가능하신 분 계신가요? 김티모2608 19/08/02 2608
136127 [질문] 봉와직염인가요?(약혐) [12] 객현나개공3438 19/08/02 3438
136126 [질문] 예비군 보류에 대해 잘 아시는분 있으신가요? [4] 네파리안2679 19/08/02 2679
136125 [질문] 택배 분실관련 책임소재 [5] 장비3556 19/08/02 3556
136124 [질문] [랑그릿사] 2일차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22] 혼돈2810 19/08/02 2810
136123 [질문] MLB 사이영상의 위업? [41] Wade4868 19/08/02 4868
136122 [질문] 지금 그랜저 사면 안되나요? [13] 매벌이와쩝쩝이4196 19/08/02 41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