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7/30 12:08:56
Name 딜이너무쎄다
Subject [질문] KT 팬분들은 이지훈 단장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당시에는 슈퍼팀 만들고 SKT 상대로 무너지고 롤드컵 못가서 많이 까였던걸로 기억하는데
지금 와서 보면 상대(SKT, 삼성)도 만만찮은 괴물이었고
본인이 책임지고 물러난 다음에는 단순 선수 코치진 문제가 아니라
게임단 자체가 비틀거리는 것처럼 보이네요

지금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7/30 12:17
수정 아이콘
그때 롤드컵 못간건 '역대급으로 까일수밖에 없긴 합니다'

왜냐면.. '선발전 결승에서 칼리스타'를 젠지가 2번 골라서 2게임을 이겼는데요 -.-;

칼리스타는 '롤드컵 역사상 유일한 16강~결승 밴률 100%' 챔프입니다. (롤드컵 8년 역사상, 밴률 100%를 찍은건 칼리스타밖에 없습니다.)

이걸 선발전 결승에서 다 퍼준팀이 KT죠 -.-;

더 웃긴건 저정도 개오피를 풀어주고도 당시 삼성하고 경기 내적으로는 엄청나게 접전을 펼쳤습니다..

OP 이해도만 있었어도 안망했다는..
버티면나아지려나
19/07/30 12:43
수정 아이콘
팬은 아닌데 오정손에게 다 위임하고 가셨고 그들이 지금 하는걸 보면.. 스플래쉬라도 튀어야 하지 않나...
김티모
19/07/30 12:45
수정 아이콘
나간사람까지 챙겨가며 욕할 기분은 아니에요. 본인은 책임을 졌고 어쨌든 팀은 1년 더 가서 서머에 우승도 했으니까요.
19/07/30 12:45
수정 아이콘
결국 저때부터 뭔가 kt에서 시스템이 제대로 돌아가고있는게 아니었던거죠.
저때 망한건 이단장책임뿐만아니라 그때 코치들도 다 털렸어야했는데 이단장이 다 엎어쓰고 혼자 독박쓴게 됬거든요.
일반적으로는 보통 어느스포츠든 감독이 갈리면 같이 활동하던 스태프 다 갈리는게 정상입니다..
김엄수
19/07/30 12:51
수정 아이콘
저는 나쁘게 생각 안해요.
17년도에 굉장한 실패를 겪긴 했지만 본인이 그만큼의 책임을 졌으니까요.
사실 이지훈 감독을 바꿀게 아니라 코치진이나 전력분석관을 더 보강했어야 하는게 아닌가 싶는데
감독만 내보내고 나머지는 다 그대로 둔게 너무 아쉽죠.
미카엘
19/07/30 12:58
수정 아이콘
독박 쓴 거죠. 나름 기여한 바가 크고 프로 의식도 있는 분이라 나쁘게 생각 안 합니다.
19/07/30 13:01
수정 아이콘
어쨌건 17년 이전의 KT가 타팀 대비 그리 이상하게 돌아가는 팀은 아니었고,
17년의 실패는 본인이 책임지고 사퇴했죠.

그리고 나머지 코칭스태프를 유임시킨건 어쨌건 프런트의 최종 결정이었고
페로몬아돌
19/07/30 13:14
수정 아이콘
스타 시절 보면 크트가 이지훈 감독 때 부터 뭐가 팀적으로 호흡이 좋더라구요. 대퍼팀 이전 시절만 봐도 선수들끼리 으샤으샤 하는것도 보이고
후유야
19/07/30 13:39
수정 아이콘
kt 롤팀이 중요 순간에 약한 모습들을 많이 보여 와서 이지훈 감독님의 엄마같은 리더십이 이런 부분에서 별로인 것 같다라고 느꼈었네요
그래서 17년 이후에 책임 지고 사퇴하실 때도 kt 팀적으론 더 나을 거 같다라고 생각했는데 오우야...
SNS에서 경솔한 발언들도 있으셔서 아쉬움도 남지만 kt 레전드로서 좋게 기억합니다.
뚜루루루루루쨘~
19/07/30 13:58
수정 아이콘
본인만의 운영 철학이 확고하셨죠...

져도 다독이고 이겨도 다독이고.... 처참하게 져도 다독이고... 떨어져도 다독이고...
내부적으로 어떻게 강하게 드라이브했는지 모르겠지만... 그냥 세상 좋은 사람으로만 느껴진적도 있었습니다.

슈퍼팀을 팀적으로 하나로 만들지 못했던(결과론 적) 아쉬움도 당연히 있구요.
19/07/30 14:37
수정 아이콘
17년은 명백한 실패지만
18년 KT를 유산으로 남긴거나 다름없고
그 씨앗이 현재까지 이어진거니 작년KT를 어느관점으로 보느냐에 따라 평이 달라질듯합니다.
작년 KT가 나름 성공이라고 보면 그다지 혹평할 이유는 없는듯요
19/07/30 15:01
수정 아이콘
전략적으로는 도움이 안되지만 팀 관리에서는 좋은 분이었던 것 같습니다. 17' 멤버 영입하고 대차게 말아먹은 다음에 책임지고 물러나는 것까진 좋았는데, "kt 기존 시스템 유지"라는 말도 안되는 이야기를 하면서 오창종, 정제승을 남긴건 어이가 없죠. 그 사람들이 시원하게 말아 먹었고 또 말아먹고 있는 중이니까요. 내년까지 그 대단한 시스템이 유지될까봐 공포감에 몸이 떨리네요.
StayAway
19/07/30 15:16
수정 아이콘
실무를 맡아줄 코치가 있었다면 훌륭한 매니저로 인정받지 않았을까 싶네요.
야부키 나코
19/07/30 16:13
수정 아이콘
17년도 사퇴가 가혹했는가?에 대해서는 아니라고 생각하는데(충분히 사퇴의 명분, 책임은 있었음)
이게 19년도 와서 돌아보니 선녀같아보인다는게 문제...크크
야부리 나코
19/07/30 17:00
수정 아이콘
나가는 게 당연하다고 봤는데..
그 밑에 코치진도 같이 데려갔어야..
비빅휴
19/07/30 17:08
수정 아이콘
안나가고 계속 있었으면 지금 이지경까지는 안왔을듯
19/07/30 17:59
수정 아이콘
저도 딱 이정도.. 아쉬운 점도 분명 있지만 혹평할 능력치는 아니지 않을까 싶네요. LCK 기준이면 오히려 준수한 편 아닌가 싶음
19/07/30 21:52
수정 아이콘
17년만 부각되서 그렇지 이전에는 전력에 비해 더 좋은 성적을 냈었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6104 [질문] 세대 분리 관련 RnR2375 19/08/02 2375
136103 [질문] 스팀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30] 인생은서른부터6369 19/08/02 6369
136102 [질문] 수치로 확인되는 영양제가 있나요? [4] 아싸라비아똥구멍3323 19/08/02 3323
136101 [질문] 아이를 낳아 키우는데 얼마가 들까요? [27] 유랑5425 19/08/01 5425
136100 [질문] 유선 공유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iptime 제외 [8] 유열빠3350 19/08/01 3350
136099 [질문] 노래부를 때 가성-> 진성 으로 바뀌는 건 뱃심인가요? [9] 비싼치킨4002 19/08/01 4002
136098 [질문] 휘트니스와 GYM의 차이점이 뭘까요? [2] 레오나3162 19/08/01 3162
136096 [질문] 마그네슘 영양제 질문드립니다. [8] GoThree3267 19/08/01 3267
136095 [질문] 유튜브 관련 자격증에 대한 질문입니다. [2] lifewillchange2798 19/08/01 2798
136094 [질문] 다른 조건 없이 현금완납 10만원 정도면 동네에서 S10 5G 살 수 있을까요? [8] 강미나3964 19/08/01 3964
136093 [질문] 넷플릭스 영화,드라마 추천부탁드립니다. [19] 유니꽃4705 19/08/01 4705
136092 [질문] 지리산이나 남원에 가족끼리 먹거나 볼때 별로 없을까요? [2] 기나2240 19/08/01 2240
136091 [질문] 영국 일상용 회화 많이 접할 수 있는 드라마/영화 있나요? [1] 트와이스정연2491 19/08/01 2491
136090 [삭제예정] 차 미등을 켜놓고 하루지났네요.. [2] LubyH3568 19/08/01 3568
136089 [질문] 후방추돌 교통사고 처리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5] 정발산기슭곰발냄새3979 19/08/01 3979
136088 [질문] 중국어(북경어) 회화 입문하려면 어떤방법이 가장 좋을까요...? [5] 추적왕스토킹2430 19/08/01 2430
136086 [질문] 영양제는 무엇무엇을 먹어야하나요? [10] 크리스 프랳4118 19/08/01 4118
136085 [질문] 남자 바지 살곳 추천부탁드립니다. [7] Secundo3473 19/08/01 3473
136084 [질문] Unity 개발중인데 질문있습니다. [2] LucasTorreira_113222 19/08/01 3222
136083 [질문] 바이올린 배우는 난이도가 어떻게 되나요? [35] 저격수22102 19/08/01 22102
136082 [질문] 피파20 관련 질문입니다 [4] 오트레하오3916 19/08/01 3916
136081 [질문] 램8기가 노트북을 샀는데 5.88기가 사용가능하다 뜨네요 [16] 배고픕니다10399 19/08/01 10399
136080 [질문] 안경 렌즈는 양쪽이 같은 시력이 되게 맞추는게 정상이겠죠? [10] 칼라미티4880 19/08/01 488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