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7/12 20:26:33
Name 위대한캣츠비
Subject [삭제예정] 신기술이나 신개념을 도입해 망한 게임 vs 흥한 게임 (수정됨)
문득, 망한 게임들을 보다가...
VR, AR 과 같은 신기술이 들어간 게임들이 왜 아직 성공하지 못하나 하는 의문점이 들었습니다.
성공작으로 기억나는 타이틀 하나는 포켓몬 고.

성급하게 플랫폼을 옮기거나,,  신개념 콘텐츠를 넣는다고 하다가 망한 게임이 뭐가 있을까요?
서든어택2는 아무래도 그냥 게임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싶고요.

반대로 게임이 역캐리하는 경우는 제 케이스에서는
젤다의 전설 때문에 스위치를 구매하게된  것이고요..
기기를 구매하게 할만한 파워를 가졌던 게임이 뭐가 있었을까요?

내공 쩌는 pc / 콘솔 겜덕님들의 경험담이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정지연
19/07/12 20:27
수정 아이콘
게임은 아니고 게임기이긴 하지만 닌텐도의 버츄얼 보이가 생각납니다
위대한캣츠비
19/07/12 20:30
수정 아이콘
아. 처음들어보는 기기인데, 제가 궁금했떤 부분이 딱 이 사례네요.
요슈아
19/07/12 20:49
수정 아이콘
아이디어를 뛰어넘지 못 한 그 당시의 기술제한 ㅠㅠ
19/07/12 22:42
수정 아이콘
기기파워를 가진 대표적인게임을 꼽으면 플스1의 파판7, 비타의 페르소나4골든, 스위치의 젤다 야생의 숨결... 그 외에도 특정 국가나 goty를 휩쓰는 게임들도 예시로 들만할 것 같습니다. ps3 당시의 라스트 오브 어스같은?
신기술 도입했다 말아먹는 게임이야 셀 수 없이많죠. 근데 보통 분가나 외전작 형태로 내니까..
위대한캣츠비
19/07/15 10:47
수정 아이콘
플스의 파판7이 있었군요!
녹색옷이젤다죠?
19/07/12 23:10
수정 아이콘
신기술로 겜기 팔아치운건 Wii가 역대급 아닌가..
망한건 윗 분 말씀대로 버츄얼 보이가 레전드.
위대한캣츠비
19/07/15 10:48
수정 아이콘
좋은 사례도 많군요 의외로
잠이온다
19/07/12 23:38
수정 아이콘
기술이 혁신적이어도 비용이나 기반문제가 크니까요. vr은 제대로 체험하려면 수십만원이 들었는데 딱히 킬러 타이틀이랄게 없는게 컸죠.

개인적으로 생각나는건 망한 사례는 세가의 세가cd같은 기기네요. 자세한 내용은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5387204&memberNo=11710666&navigationType=push 포스트를 추천

또 3D기술의 태동기때에 많은 시리즈들이 성공하고 망하기도 했는데 성공사례는 파이널 판타지 7 같은 작품이 있고 파판은 기기 캐리력도 있었죠. 반대로 실패사례는 울티마 8같은 작품이 있습니다.

너무 발상이 혁신적이거나 이질적이어서 평은 어쩃든 판매량에서 문제가 생긴 작품들도 있는데 새가 세턴의 리얼사운드-바람의 리그렛이라는 작품이 한 예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_jrGP098U6I
플레이 영상인데 그래픽은 거의 없다시피하고 오로지 소리로만 게임을 진행하는 너무나 이질적인 작품이라 판매량이 좋지 않았다 하네요.
(자세한 내용은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9691989&memberNo=11710666&navigationType=push 참고)

그 외에는.... https://namu.wiki/w/%ED%9D%91%EC%97%AD%EC%82%AC/%EB%AA%A9%EB%A1%9D/%EA%B2%8C%EC%9E%84 나무위키의 흑역사/게임 목록에도 이런 사례들이 꽤 많습니다. 아니면 위에 링크한 네이버 포스트에 관련 내용들이 꽤 있으니 읽어보실만 합니다.
위대한캣츠비
19/07/15 10:49
수정 아이콘
친절하시게도 포스트 링크까지 ~ 고맙습니다.
Lord Be Goja
19/07/12 23:48
수정 아이콘
VR/AR은 그나마 낫죠... 3d 안경쓰는 영화/게임들은...
위대한캣츠비
19/07/15 10:50
수정 아이콘
흑.... 언제쯤 vr 시대가 올까요
19/07/14 04:05
수정 아이콘
나무위키의 AVGN 관련항목 살펴보면
별 희한한 것들 다 나옴요.
특히 예전 게임기들의,
파워글로브가 양반일 정도로(...)
미친 주변기기들이 많더군요.
(아이디어는 그럴듯한데 기술력이 안 따라준 경우)
위대한캣츠비
19/07/15 10:50
수정 아이콘
고맙습니다. 나무위키가 이런것들 볼때는 의외로 재미가 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5476 [질문]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아이맥스로 봐야 하나요? [13] 나를찾아서3951 19/07/15 3951
135475 [질문] 김명운 대 허영무 4경기 궁금증 [15] F.Nietzsche5035 19/07/15 5035
135474 [질문] 홋카이도 동부/북부 지역 렌터카 없이 괜찮을까요? [9] 프로미스나인3360 19/07/14 3360
135473 [질문] [탈모] 탈모환자는 원래 몸의 털이 다 잘 뽑히나요? (삭제예정) [4] 따루라라랑3270 19/07/14 3270
135471 [질문] 20대 후반에서 30대에 해야할 일이 뭐가 있을까요? [23] 개념적 문제5845 19/07/14 5845
135470 [질문] 제주도 혼자여행 일정 질문드립니다 [24] 천우희3536 19/07/14 3536
135469 [질문] 이런 방식의 벨트를 뭐라고 하나요? [4] wook983175 19/07/14 3175
135468 [질문] 소개팅하고 3번 봤는데 선톡이 없으면 포기하는게 맞는건가요?? [28] 코브라13119 19/07/14 13119
135467 [질문] 저렴한 탁상용 PC 스피커 질문드립니다 [5] 더치커피4123 19/07/14 4123
135466 [질문] 미니쿠퍼 컨버터블 타시는분 계신가요? [1] 후후훗2694 19/07/14 2694
135465 [질문] 갤럭시 7 엣지 물리키가 고장 났습니다. [5] 약쟁이5067 19/07/14 5067
135464 [질문] 8월말 가족여행 패키지로 훗카이도 어떤지 조언을 구합니다. [17] 보로미어3091 19/07/14 3091
135463 [질문] 책 추천부탁드립니다. [24] young32906253 19/07/14 6253
135462 [질문] 첫 차 추천 부탁드립니다. [25] Autumn4303 19/07/14 4303
135461 [질문] 스팀 2인용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로각좁5472 19/07/14 5472
135460 [질문] 2차대전의 승패는 언제 예상 혹은 확정되었다고 볼 수 있을까요...? [27] nexon4785 19/07/14 4785
135459 [질문] 다이어트 질문입니다 [7] AminG3765 19/07/14 3765
135458 [질문] 플스 사려고 해요 [15] slimmy3637 19/07/14 3637
135457 [질문] 전세 계약 초보를 위한 가이드? [4] 사이시옷2819 19/07/14 2819
135456 [질문] 롤 각 라인의 대표캐릭은 무엇일까요? [40] 바둑아위험해5190 19/07/14 5190
135455 [질문] [poe] 크래프팅 제작 의뢰(?) 관련 질문 드립니다. [2] 타키쿤3783 19/07/14 3783
135454 [질문] 일본, 우리나라 배상 문제 [4] 2B2801 19/07/14 2801
135453 [질문] 암검진(췌장암)관련 질문드립니다 [4] 생선가게 고양이2899 19/07/14 289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