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7/02 13:19:33
Name 느린발걸음
Subject [질문] 재무설계 받아보신 분, 혹은 투자하신 분 있으신가요?
어찌어찌 재무설계사라는 분과 만나게 되었습니다.

물론 만나면 상품권유를 당하겠지만 어쨌든 한번 현재 상황을 점검해보고 조언을 듣는 것도 나쁘지 않을것 같아서요.

보험쪽을 권유하지 않을까 싶었는데 해외주식 쪽으로 말씀을 하셔서 조금 의외였습니다.


1. 현재 분산되어 있는 통장, 주식, 펀드 등을 하나로 모아서 씨드 머니를 만들어라.

2. 그 금액을 맡겨주면 국내외 주식에 투자하여 수익을 내도록 하겠다. 수수료는 붙는다.

3. 장기적 3년 정도를 보면 수익이 날 것이다. 매도, 매수시에는 분명히 연락을 드려서 승인
   후에 한다.


가 핵심인데. 못 미덥습니다. 해외 주식 그냥 내가 해도 되는데 .

사기는 아닌것 같고 투자대행사 같은 느낌입니다. 혹시 이런 식의 재무설계를 받아보시고 투자하신 분들 있으신지.

결과는 어땠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19/07/02 13:23
수정 아이콘
재무설계사가 자기 계좌로 돈을 이체시켜달라는게 아니면 결국 상품을 판매할수밖에 없습니다.
설명은 그럴듯하지만 결국 저사람이 하고싶은건 해외주식연동 펀드나 변액유니버셜 판매겠죠.
19/07/02 13:27
수정 아이콘
해외투자 안전하게하려면 증권사가면되지 굳이 개인한테 맡길 필요가???
19/07/02 13:38
수정 아이콘
사기도 안되고 그런쪽으로 돈 잃고 고생하는분 많습니다.
잘 알아보세요.
지구사랑
19/07/02 13:44
수정 아이콘
재무 설계사에게 돈을 맡긴다는 말인가요?
임의 매매는 원론적으로 불법이고, 말씀하신 것은 말하자면 포괄적 일임 매매처럼 보이는데,
돈을 송금하지까지는 않는, 통상적인 포괄적 일임 매매라고 할지라도 저 같으면 절대 하지 않을 방식입니다.
이혜리
19/07/02 13:45
수정 아이콘
명문대학교 나와서 전문 자격 취득하시고 더 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투자를 하고 있는 분들이 넘쳐나는데,
굳이 금융 3종도 땄는지 의문인, 저런 사람들한테 내 자산을 맡긴다구요오오오오?
StayAway
19/07/02 13:58
수정 아이콘
현실은 재무설계사라는 직업 자체가 의심스러운 상황입니다.
주식을 하고 싶으시면 유명 자산운용사를 찾아가시고 보험을 들고 싶으시면 보험사에 가는게 맞습니다.
그 분이 어떤 분인지는 모르겠으나 대부분은 보험영업과 다를게 없고 거기서 수수료 받는게 일이에요.
차라리 보험 영업하시는 분들은 보험설계사 자격증이라도 있죠.
트네르아
19/07/02 14:27
수정 아이콘
네. 말씀하신 것과 비슷합니다.... 윗분들 조언처럼 하지는 마시고요.
인생 재무설계 자체를 본인 스스로 해보시는건 매우 중요한 것 같아요.

내가 가진 현재 자산 + 내가 앞으로 얻을 수 있는 자산(증여 등) + 근로 및 기타소득 + 지출 + 물가상승률 등등을 따져보셔서
얼마나 투자를 해야할지 알아두면 좋은 것 같아요.
설사왕
19/07/02 14:38
수정 아이콘
제가 한 2주 전에 재무 설계사를 만나서 상품을 하나 가입했는데요. 원래는 가입중인 보험 관련 문의를 하러 간건데요. 어차피 선택은 본인이 하는 겁니다.
전 설명을 듣고 몇일 고민하다가 상품이 괜찮다고 나름 판단해서 가입했네요.
저한테는 자기가 수수료 얼마 먹는다라고 솔직하게 얘기하더라구요.(그래서 더 믿음이?)
좀 이해가 안 되는건 주식을 하라고 유도했다는 건데요. 그럼 리스크 관리가 안 될텐데요?
설명만 듣지 말고 본인이 적극적으로 내용을 알아보셔야 합니다.
동네형
19/07/02 15:26
수정 아이콘
해외주식에 투자하는 자금 연동 보험 추천하지 않을까싶네요
느린발걸음
19/07/02 18:06
수정 아이콘
배우고 고민해야 할 것 들이 많네요. 귀중한 시간내셔서 답변 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19/07/02 22:51
수정 아이콘
내돈은 내가!
19/07/03 08:04
수정 아이콘
절대 하지 마세요.
재무설계사라는 직업은 사실상 없습니다.
그냥 재무설계사 자격증 하나 따고 재무설계사라고 하는데 그건 한국껀 1달, 외국껀 오래걸려도 6개월이면 충분히 다 땁니다.
재무설계사 자격증은 은행이나 증권사 직원들 엄청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5071 [질문] 낚시를 해보고 싶다는데 어케 해야하나요? [4] 목화씨내놔2261 19/07/03 2261
135070 [질문] [랑그릿사] 질문 드려요. 레엘레 엘윈 뽑 [8] 김카리1744 19/07/03 1744
135069 [질문] 롤토체스 조합 질문입니다. [5] Dunn2597 19/07/03 2597
135068 [질문] [랑그릿사] 진로 질문입니다. 엘윈뽑음 [4] 크라피카2326 19/07/03 2326
135067 [질문] 발 통증 관련 질문입니다 [2] delaffe2845 19/07/03 2845
135066 [질문] 튼튼한 책장 추천부탁드립니다 [4] 글곰3148 19/07/03 3148
135065 [질문] 부산에서 주차장 찾기 쉽나요? [6] 나를찾아서2827 19/07/03 2827
135064 [질문] 서머너즈 워 같은 게임 없을까요? [14] 드라카7031 19/07/03 7031
135063 [질문] 영화제목을 찾습니다. [3] 천사루티2269 19/07/03 2269
135062 [질문] 리라 좌석 어디가 좋을까요?+장충체육관 가보신분 계신가요? [2] 세오유즈키2014 19/07/03 2014
135061 [질문] 리라직관가시는분들 식사계획어떤가요? [1] 다크템플러2182 19/07/03 2182
135060 [질문] 체육관 농구대를 제거하는 방법 있을까요? [1] 프리템포1663 19/07/03 1663
135059 [질문] 랑그릿사 질문 [6] 치키타2147 19/07/03 2147
135058 [질문] EU의 정치에 관해서 질문입니다. 아웅이1427 19/07/03 1427
135057 [질문] 경기가 좋지 않다고 '느끼는' 지점은 무엇인가요? [16] SaiNT3227 19/07/03 3227
135056 [질문] 지금 컴퓨터 견적을 짜도 될까요? [6] 수타군2971 19/07/03 2971
135055 [질문] 여권 유효기간 1년남았는데 재발급받아야하나요 [2] 치바에리이3289 19/07/03 3289
135054 [질문] 윈도우 화면 세로 3분할 방법이 있을까요? [2] 맛맛맛6247 19/07/03 6247
135053 [질문] 블랭크 일본에서 잘 하고 있나요? [12] 독수리의습격3323 19/07/03 3323
135052 [질문] 국제무역사1급에 대해 질문 [1] 큐브큐브1525 19/07/03 1525
135051 [질문] 센서로 220v 전원 켜지게 할 방법 있을까요? [10] Secundo2816 19/07/03 2816
135050 [질문] 마블 피규어 질문 [5] 자몽1680 19/07/03 1680
135049 [질문] PC로 TV보려고 하는데 셋톱박스사면 되나요? [5] 달과바다3124 19/07/03 31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