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6/24 21:52:54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문돌이의 직종 변경 고민입니다..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6/24 22:15
수정 아이콘
SI 하시려고요? 진짜 솔직히 말해서 그거보다는 부모님 말씀대로 공무원 준비하는게 나아보이세요. 29이 절대 적은 나이 아니에요. 도전을 해볼 수 있는 나이긴 하지만 생판 모르는 전공을 맨땅에 헤딩하는 식으로 도전해볼 나이는 아닙니다. 공무원이 영 안내키시면 차라리 될때까지 수능을 보세요. 교대나 한의대 교차지원 정도가 괜찮아 보입니다. 이게 너무 힘들어 보일수도 있는데 저정도로 전공 전환하는 거보다는 쉬울겁니다.
외계소년
19/06/24 22:22
수정 아이콘
아무리 영어가 조금 기초가 되있어도 공무원 하다가 공무원지옥에 빠질 것 앝아서...기술 배우면 나주에라도 기술직 공무원으로 빠질 기회도 있지 않나요..? 지금 와서 수능준비는 공무원만큼 걸릴거 같아서..
19/06/24 22:37
수정 아이콘
기술직도 특채 아니면 공채로 들어가야 되는데 특채로 들어가려면 문과출신 경력직을 얼마나 인정해줄지는....공채는 결국 전공과목 빼고 공통과목 쳐야하는 건 똑같고요. 기술 배우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권해드리고 싶긴 한데 초반에 일배우고 하면 욕먹으면서 배우고 그걸 견뎌야하는데 그게 좀 회의적입니다...공무원도 직렬 나름이고 교정직 같은것도 괜찮아요.
이혜리
19/06/25 00:20
수정 아이콘
현재 개발자 실력이 얼마나 되시는지 모르겠지만, 맨땅에 헤딩이면 공무원이 2백억배 빠를 겁니다.
공무원은 허들만 넘으면 되지만, 개발자는 스타트라인에 서서 달리기 시작했을 때 퍼포먼스를 내지 못하면 나아갈 수가 없어요.
동네형
19/06/25 01:22
수정 아이콘
현실적인 조언을 하자면.. 해외 취업 잘되는거 배워서 영어 되니까 해외로 나가세요
RedDragon
19/06/25 06:49
수정 아이콘
현실적으로 현 나이에 개발, 전기, 기계 쪽은 좀 힘듭니다. 어릴때 적성 아니라고 판단하셔서 안보던거 지금 와서 본다고 맞을 확률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적성에 맞다고 생각해서 뛰어든 사람도 힘들어서 나가 떨어지는게 현실입니다.
저도 윗분 말처럼, 해외 나가시는게 가장 좋아 보입니다. 취업 시장에서 경쟁력 없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글쓴분 스펙이 또 흔한편은 아니거든요. 어느정도 프리토킹 되시는건 큰 강점입니다. 그리고 직장은... 병 나실거 같으면 그만 두세요. 글쓴분 스펙정도에 아직 늦은 나이 아니면 더 좋은 직장, 더 좋은 사람 구하실 수 있을 겁니다. 좀더 자신감 가지시고 화이팅 하세요~ 운칠기삼 입니다.
아스날
19/06/25 07:34
수정 아이콘
영업말고 구매부서 어떠신가요?
19/06/25 08:20
수정 아이콘
29이시면 충분히 젊으세요. 저는 공학쪽으로 추천합니다. 아직 절대 안늦었어요.
외계소년
19/06/25 19:57
수정 아이콘
공학 쪽으로 어떻게 가면 될까요? 다시 대학을 가기는 너무 베이스가 지금 없고..국비기술 정도가 답일까요? 조언을 구해봅니다.
iPhoneXX
19/06/25 08:47
수정 아이콘
열거하신 이과쪽 가시려면 진짜 바닥부터 다시 시작하시면 될꺼예요. 다만 지금까지 베이스가 전혀 없다는 전제하에 조건 좋은 곳은 취직이 힘들테고 그렇다보면 심적으로 힘드시겠죠. 일단은 부딪혀 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4829 [질문] 차량용 소화기 의무화가 시행된다는데 소화기 추천부탁드려요 [3] 유포늄2339 19/06/26 2339
134828 [질문] 30대 후반 분들 뭐 하시면서 지내시나요 [43] CastorPollux5965 19/06/26 5965
134827 [질문] 폰구매 적절시기는 언제일까요? 그리고 5g폰 사야 될까요? [7] Mindow3297 19/06/26 3297
134826 [질문] 서귀포시에서 렌트카 빌릴 수 있나요? [4] 파란무테3835 19/06/26 3835
134825 [질문] 위에 좋은 영양제나 건강식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보로미어3488 19/06/26 3488
134824 [질문] 출근길 9호선 질문드립니다. [14] LG우승2860 19/06/26 2860
134823 [질문] [모바일게임] 프리코네랑 비슷한 게임 뭐가 있을까요?? [11] 히스조커7580 19/06/26 7580
134822 [질문] 플스구매방법 [2] 싸구려신사2964 19/06/26 2964
134821 [질문] 잘때 마다 꿈을 꿈니다 [11] poocang3977 19/06/26 3977
134820 [질문] 수술후 꿰맨 자국질문입니다 [2] 쥬갈치3445 19/06/26 3445
134819 [질문] 샌들 즐겨 신으시는 분들 왜 신는 건가요? [8] 키르아3158 19/06/26 3158
134818 [질문] 혹시 모니터 받침대도 추천해주시나요? [4] 도시의미학3355 19/06/26 3355
134817 [질문] 유튜브 뮤직'만' 쓰시는분 계신가요? [8] 에바 그린3311 19/06/26 3311
134816 [질문] 등산용품 관련 질문드립니다 [4] 대만2431 19/06/25 2431
134815 [질문] 등 운동 루틴에 대해서 [16] 아싸라비아똥구멍5478 19/06/25 5478
134814 [질문] 워크숍 식음료 준비해야하는데 [1] rectum aqua2086 19/06/25 2086
134813 [질문] 자동차 타이어 휠부식? 질문입니다. [8] 생선가게 고양이5962 19/06/25 5962
134811 [질문] [랑그릿사]리세계 어떤게 가장 좋나요? [8] 리리컬 매지컬3195 19/06/25 3195
134810 [질문] 광주 숙박장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2] 그냥가끔2459 19/06/25 2459
134807 [질문] 음주 측정기 사용해보신 계신가요? [3] 꿀멀티2477 19/06/25 2477
134806 [질문] 패션고수분들 도와주세요!! [23] 거지3255 19/06/25 3255
134805 [질문] 엑셀질문 [2] akroma2146 19/06/25 2146
134801 [질문] 삼국지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은 누굴까요? [61] 아웅이5045 19/06/25 504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