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6/24 13:15:30
Name chldkrdmlwodkd
Subject [질문] 베켄바워는 왜 탑텐에 드는 걸까요?
축구사에서 다른 쟁쟁한 선수들은 공격수 아니면 미드필더인데요. 왜 수비수인 베켄바워가 그렇게 높은 평가를 받는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단순히 '리베로'란 포지션을 만들었다고 그렇게 높은 평가를 받을 인물인가라는 의문이 드는데요. 골 잘 넣는 수비수 때문인가요?아는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타키쿤
19/06/24 14:14
수정 아이콘
단순 좀 잘하는 수비수의 수준이 아니었죠.. 중요한 경기에서 골도 꽤 많은 넣은 것으로 알고 있고 드리블도 잘했죠.

최고 레벨의 플레이메이커 같은 선수가, 수비능력도 탑급으로 갖추고 수비라인쪽에서 프리롤로 뛰는 느낌이랄까요?
minyuhee
19/06/24 14:16
수정 아이콘
펠레 마라도나 메시 호날두 스테파노 크루이프 모두 공격수죠. 월드컵 우승까지 해본 인지도 높은 수비선수가 없을 겁니다.
S.Solari
19/06/24 14:18
수정 아이콘
수비가 반다이크인데
공수조율 및 연계, 패스가 피를로처럼 되고
공격도 에릭센처럼 되는 선수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구밀복검
19/06/24 14:19
수정 아이콘
70년대 서독-바이언의 리더니까요. 66 월드컵 준우승 - 67 컵 위너스 컵 우승 - 70 월드컵 3위 - 72 유로 우승 - 74 유러피언 컵 우승 - 74 월드컵 우승 - 75 유러피언 컵 우승 - 76 유러피언 컵 우승- 76 유로 준우승 이 정도가 당시 서독-바이언의 족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베켄바워는 항상 리더였습니다. 물론 70 월드컵의 뮐러나 72 유로의 네쳐처럼 간헐적으로 베켄바워보다 돋보인 선수가 없었던 건 아닌데 대회 내 활약과 별개로 팀의 1옵션은 언제나 베켄바워였어요. 물론 크라위프처럼 압도적으로 상대 팀과 스타들을 박살내는 맛은 떨어졌고 정작 바이언으로 유러피언 컵 3연패 하던 시절에 국내에서는 글라트바흐에게 왕좌를 내주는 등의 이유로 한 시대의 지배자 대접은 못 받지만요. 굳이 말하자면 크라위프와 베켄바워가 호돈과 지단의 상위호환입니다. 호돈 전성기를 5년쯤 더해주면 그게 크라위프고 지단이 스타덤에 오른 시기를 5년쯤 앞당기면 그게 베켄바워거든요.

그리고 베켄바워는 원래 수비수였던 건 아니고 중앙미드필더-플레이메이커로 뛰다가 후방으로 내려간 케이스입니다. 그 양쪽 포지션 모두에서 세계 최고였고요. 지금으로 치면 미드필더로는 챠비고 수비수로는 라모스인 그런 거라 보면 됩니다.

https://youtu.be/yfLvk6CkaNQ
19/06/24 22:5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궁금한내용인데 크라위프가 네달란드의 크루이프 맞죠? 어느순간부터 크라위프라 불리우는것같던데 표기법이바뀐건지요? 갑자기 궁금해서 대댓글달아봅니다 흐흐
구밀복검
19/06/24 23:12
수정 아이콘
아 크루이프는 영어식으로 표기한 것입니다. 현지어를 그대로 표기하면 크라위프고요. 영어와 네덜란드어의 발음 차이로 이런 게 몇 가지 있습니다. 오베르마스-오버르마르스, 클루이베르트-클라위버르트, 반 바스텐-판 바스턴, 반 니스텔루이-판 니스텔로이, 스네이더-스네이더르
스토리북
19/06/24 14:30
수정 아이콘
크루이프와 정상에서 맞붙어 이긴 사내라서?
지금으로 따지면 메시랑 호날두가 월드컵 결승에서 만난 거니까요.

70년대에 중앙 수비수가 공격 가담, 조율, 빌드업, 플레이메이킹을 했다는 거 자체가 넘사벽이고,
공격수 다 바르고 발롱도르를 2번 탔다는 데에서 이미 노답.
修人事待天命
19/06/24 14:38
수정 아이콘
지금이나 옛날이나 수비수에 대한 인식은 비슷했습니다. 그런데 어떤 수비수를 보고 축구전문가 뿐 아니라 전세계 많은 사람들이 '이 사람은 세계최고의 축구선수다'라는 생각을 했다면, 그 수비수는 대체 무슨 짓을 한걸까 상상해보세요. 상상하시는 바로 그런 것들을 베켄바워가 했습니다 ㅡㅡ;;
최종병기캐리어
19/06/24 15:53
수정 아이콘
반다이크 + 피를로 + 램파드

어지간한 축잘알도 제대로 하기 힘든게 리베로인데, 어나더레벨 리베로였음...
chldkrdmlwodkd
19/06/24 22:02
수정 아이콘
단순한 수비수인 게 아니라 진짜 대단한 선수였군요. 모두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4847 [질문] 스마트폰 판매 정책이 달라지긴 할까요? [18] ERII3216 19/06/26 3216
134846 [질문] 장거리연애 관련된 노래있나요? [7] neo ov6954 19/06/26 6954
134845 [질문] 그래픽 카드 업그레이드 문의 [7] 예나아2963 19/06/26 2963
134844 [질문] wma가 재생되는 안드로이드 괜찮은 음악어플이 있나요? [2] valewalker4054 19/06/26 4054
134843 [질문] 통계(설문)관련 질문드립니다! 고양사람2090 19/06/26 2090
134842 [질문] 스벅 프리퀀시 교환(주황1필요) [2] 삭제됨2189 19/06/26 2189
134841 [삭제예정] 한글 2018에서 일본어 입력(한자전환) 만주변호사5040 19/06/26 5040
134840 [질문] 스팀 게임목록을 보고 맞춤 게임을 추천받습니다. [28] 이호철4375 19/06/26 4375
134837 [질문] 무선랜카드 수신기를 사야 PC에서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나요? [7] 청자켓4132 19/06/26 4132
134836 [질문] pgr 21 코인러 단톡방 참여코드.. [9] 호가든3617 19/06/26 3617
134835 [질문] 안드로이드 동영상 편집 앱 추천 부탁드립니다. [1] 작고슬픈나무2175 19/06/26 2175
134834 [질문] POE 질문입니다. [6] 교자만두2821 19/06/26 2821
134833 [질문] (벌레주의)이거 무슨 벌레인가요? [10] FIresoul3289 19/06/26 3289
134832 [질문] 각광받던 과학 기술이 퇴출된 예가 어떤 것이 있을까요? [22] 다크나이트4096 19/06/26 4096
134831 [질문] 애들동요위한 cd player또는 오디오 추천부탁드립니다 [11] 테크닉션풍2153 19/06/26 2153
134830 [질문] 유튜브 즐겨보는 채널 있으신가요? [20] Dr.덴마3499 19/06/26 3499
134829 [질문] 차량용 소화기 의무화가 시행된다는데 소화기 추천부탁드려요 [3] 유포늄2370 19/06/26 2370
134828 [질문] 30대 후반 분들 뭐 하시면서 지내시나요 [43] CastorPollux6035 19/06/26 6035
134827 [질문] 폰구매 적절시기는 언제일까요? 그리고 5g폰 사야 될까요? [7] Mindow3379 19/06/26 3379
134826 [질문] 서귀포시에서 렌트카 빌릴 수 있나요? [4] 파란무테3871 19/06/26 3871
134825 [질문] 위에 좋은 영양제나 건강식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보로미어3537 19/06/26 3537
134824 [질문] 출근길 9호선 질문드립니다. [14] LG우승2910 19/06/26 2910
134823 [질문] [모바일게임] 프리코네랑 비슷한 게임 뭐가 있을까요?? [11] 히스조커7605 19/06/26 76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