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6/20 16:19:02
Name 코시엔
Subject [질문] 토탈워 병력운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기회에 토탈워 시리즈에 입문해보려고 하는 뉴비입니다.
아직 게임도 안 샀지만 병력을 이렇게도 써볼까 저렇게도 써볼까 재밌는 상상을 해보고 있어요.

그런데 토탈워의 병력운용법에 궁금한 점이 있어 여쭙습니다.


1. 아군과 적군이 난전을 벌이는 곳에 활을 난사하면 아군도 피격당하는지요?
만일 아군도 활에 맞으면, 궁병은 아군과 적군이 격돌한 이후에는 뭘 해야 하는지요? 적의 측면이나 후방으로 돌아가서 사격해야 하는 것인지요.

2. 기병은 돌격 후 난전을 계속하는 것 vs 돌격 후 다시 빠져서 재돌격  --> 어느 쪽이 (게임 상에서) 효율적인가요?
적의 측면이나 후방을 찔러 돌격하면 그 자체로 큰 타격을 줄 수 있겠는데. 돌격한 상태에서 그 자리에 남아 싸워야 하는지, 아니면 다시 빠져서 2차, 3차 돌격을 계속하는 것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3. (로마 토탈워 2나 삼탈워 기준으로) 어느 정도 난이도여야 컴퓨터와 머리싸움을 벌이며 재밌게 전투할 수 있을까요?
난이도가 너무 낮으면 얌전하게 걸어오는 적의 측면을 뚫어서 포위하고 전멸시키는 패턴만 무한 반복일 것 같아서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6/20 16:29
수정 아이콘
1. 피격당합니다.
측면이나 후방으로 돌아가면 좋지만 일반적으론 어려운 경우가 많아, 뒤쪽의 적을 사격합니다.
뒤쪽의 적이 없으면 섞여있는 적이라도 쳐야지요.

2. 재돌격이 압도적으로 효율이 좋습니다.

3. 어떠한 난이도도 플레이어랑 머리싸움까지 해줄 정도로 좋지는 않습니다.
방패병에 화살을 퍼붓는다던가 궁병/벽력거를 너무 안노린다던가 하는 소소한 우선순위는 좀 나아지지만...
근본적으로 플레이어는 모루 + 벽력거/궁수 or 기병 우회 후 측후방 돌격 위주로 전투를 풀어나가게 되는 반면에
컴퓨터는 우선순위에 따라 그냥 꼬라박습니다.
뭐 후방을 아주 내주면 달려들기도 하지만 보통 적 기병은 장수만 졸졸 따라다니던가 아군 기병 따라다니던가 어그로 끄는대로 다 따라오고
궁수는 기병이 붙으면 도망만 가고... 보호도 안해주고...
뭐 그렇습니다.
코시엔
19/06/20 16:3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그런데 난이도가 올라가면 컴퓨터가 머리가 좋아지는 건가요, 아니면 컴퓨터측 병력의 성능(전투력 등 각종 파라미터)이 좋아지는 건가요?
19/06/20 16:44
수정 아이콘
머리는 쬐~끔 좋아지고 성능과 물량이 엄청나게 늘어납니다.
류지나
19/06/20 16:40
수정 아이콘
1. 예. 아군 피격 있습니다.
삼탈워를 기준으로는 궁병을 가만히 놔두면 가장 가까운 타겟을 쏘다가, 적병과 아군이 근접전을 벌이게 되면 다른 타겟을 자동으로 쏩니다. 그리고 아군과 난전을 벌이는 적 외에 다른 타겟이 없으면 그냥 가만히 기다립니다. 이 상태에서 강제로 아군과 섞여있는 적군을 우클릭하면 아군과 적군 위에 화살을 뿌립니다.

궁수같은 경우에는 곡사무기라서, 서로 대열을 갖춘 전투를 벌이고 있다면 아군킬보다는 적군킬을 훨씬 많이 냅니다. 그래서 굳이 기동을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보통 모루끼리 싸우고 있다면 궁수끼리 서로를 제거하는 싸움을 벌이거나, 적 궁수를 기병으로 견제하고 있다면 그냥 아군과 적군이 싸우고 있는 곳에 화살비를 뿌리시면 됩니다.

그러나 햄탈워처럼 직사화기 병종이 있는 시리즈도 있습니다. 가령 제국의 핸드거너(총병)같은것인데요. 직사무기는 아군과 적군이 섞이면 사격할 방도가 없기 때문에 두 가지 방법을 취합니다.

[1] 적의 우측이나 뒤쪽으로 기동하여 사격각을 만든다.
[2] 처음부터 사격각이 나오도록 진형을 갖춘다.

아무래도 보병대는 걸음이 느린데다 좌우는 기병들이 활동하는 경우가 많아서 [2]가 더 선호됩니다. [2]는 나중에 필요하시면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도록 할게요.


2. 토탈워에는 '돌격 보너스'라는 스탯이 있습니다. 모든 병종이 다 가지고 있지만 특히나 창기병이나 돌격에 특화된 보병(양손도끼병 등)은 이 수치가 높습니다. 이 수치는 간단히 말해서 [돌격을 성공시켰을 경우에 30초 동안 공격력을 돌격 보너스 만큼 증가시킨다] 입니다. 그러하므로 최대 피해를 입히기 위해서는 치고 빠지기는 필수입니다.

여기서 생각을 하셔야 되는데, 보병의 경우는 발이 느려서 난전에 돌입했을 경우 치고 빠지는게 거의 의미가 없습니다. 따라서 돌격보너스는 기병으로 활용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삼탈워가 대표적이긴 하지만 모든 토탈워 시리즈가 기병은 2종류가 있습니다.

전반적인 스탯은 높지만 돌격보너스가 낮은 검기병 or 전반적인 스탯은 검기병보다 떨어지지만 돌격보너스가 높은 창기병

검기병의 경우에는 돌격 보너스는 썩 높진 않지만 적을 들이받은 다음 난전에서 창기병보다 스펙이 높기에 학살을 잘 합니다. 따라서 검기병은 상대적으로 치고 빠지는 컨트롤을 덜 해줘도 무방합니다.

반대로 창기병은 돌격보너스가 무척 높아서 돌격이 성공하면 30초간은 말 그대로 적을 갈아버리는 믹서기가 됩니다. 다만 돌격 보너스가 빠지는 시점에서는 검기병보다 스펙이 낮고 대보병 학살 능력이 떨어져서 자칫하면 역으로 당할 수 있습니다. 창기병을 운용할 때는 치고 빠지는 컨트롤이 필수입니다.


3. 삼탈워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 (쉬움, 보통, 어려움, 매우 어려움, 전설 난이도) 대체로 매우 어려움 정도면 수싸움하기 괜찮다고 평합니다. 이 정도 난이도면 아군 보병이 방패벽을 세우면 AI 궁수가 거기다가 화살 낭비를 안 합니다. 병력 운용도 상대적으로 정교하게 하구요. 물론 어느 난이도든 AI의 한계 자체는 어쩔 수 없습니다마는.

전설 난이도는 난이도 자체가 좀 빡치게 만드는 요소가 많다고 하더라구요. 예를 들어서 사기를 다 깎아놔도 절대로 안 도망가는 민병대 라던가... 사실 토탈워도 난이도를 AI 병종에게 버프를 주는 식으로 해결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스릴을 즐기시려면 매우 어려움 정도를 추천해 드립니다.
코시엔
19/06/20 16:55
수정 아이콘
상세한 설명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4712 [질문] 예전엔 '인싸'를 뭐라고 불렀나요? [34] 삭제됨4684 19/06/22 4684
134711 [질문] 이상한(?) 인터넷 연결 질문. [1] Philologist2254 19/06/22 2254
134710 [질문] 혹시 이게 어떤 핸드폰인지 아는 분 계신지요...? @.@ [3] nexon4106 19/06/22 4106
134709 [질문] 랑그릿사 진로 질문드립니다. [4] Aiurr2114 19/06/22 2114
134708 [질문] . [4] 삭제됨2822 19/06/22 2822
134707 [질문] (뻘글)고양이 털을 완벽하게 사람에게 이식할 수 있다면 성공할 까요? [3] 2B2617 19/06/22 2617
134706 [질문] 타이핑하는게 뭔가 이상합니다 [3] 진인환1818 19/06/22 1818
134705 [질문] 하루 천개 푸시업 질문드립니다 [11] dfjiaoefse5057 19/06/22 5057
134704 [질문] 6코어 델 노트북 vs 4코어 LG 그램 어떤걸 고를까요? [9] retrieval4068 19/06/22 4068
134703 [질문] 자동차 구매 질문입니다 [6] 기라꾸2778 19/06/22 2778
134702 [질문] 라텍스 밴드나 튜빙으로 운동하시는 분 계시나요? [3] Tyler Durden3311 19/06/22 3311
134701 [질문] 안녕하세요 혹시 nc팬 계신가요?? [8] 루루티아2043 19/06/22 2043
134700 [질문] 무지퍼셀 편한게 맞나요? [7] 고척2587 19/06/22 2587
134699 [질문] 뻘질문)메이져 종목에서 김연아급 위치의 선수가 나오면 국내 인기도 그냥 넘겠죠? [21] 2B3673 19/06/22 3673
134698 [질문] POE 액트를 다 밀었습니다. [3] 교자만두2453 19/06/22 2453
134696 [질문] poe 맵핑 질문입니다. [4] 키토2435 19/06/22 2435
134695 [질문] 컴퓨터에 대해 잘 아시는분 계실까요? [10] 토미72744 19/06/22 2744
134694 [질문] 이 노래? BGM 듣고 뭔지 아는 분 혹시 계실까요 [5] 배고픕니다2214 19/06/22 2214
134693 [질문] 일본의 산업경쟁력은 무엇인가요? [13] 삭제됨3811 19/06/22 3811
134692 [질문] 여성 비율이 높은 사이트가 있을까요? [6] 레너블2924 19/06/22 2924
134691 [질문] 스타 4:4 하실 분 계실까요? Liverpool FC2051 19/06/22 2051
134690 [질문] 일본 ps 카드 처리법 문의 [4] 보영님2064 19/06/22 2064
134689 [질문] 랑그릿사25랩 질문 좀 드릴게요. [10] 쭌쭌아빠2753 19/06/22 27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