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6/13 18:56:36
Name 물리쟁이
Subject [질문] 결국은 디스크 판정 받았습니다.
저번 2월달에 디스크 관련해서 질문글을 썼는데 몇 개월 지나지않아서 일이 생겼네요. 하아~  디스크 판정 받기전에는 크게 아프거나 불편하지않았어서 운동도 빡세게 했는데 어느순간에 진짜 아프다 싶어서 병원 갔는데 엑스레이로 요기요기 4번 5번 공간이 없는거 보이시죠? 초기에요. 하니까 또 슬퍼지네요. 그래도 그때는 경제적인 상황이 지금보다 좋았고 알바해도 큰 무리가 안가는거였는데 지금은 현장일 하고있는데 일을 쉴수도 없고...

그냥 일 끝나면 더 이상 운동안하고 물리치료랑 사이드플랭크 슈퍼맨 자세 정도만 합니다. 물리치료 받고 견인치료 받으니 급격하게 상태가 좋아지기는 하는데 언제 다시 운동을 할수있을까?
앞으로 무슨 일을 하는게 좋을까? 다시 한번 고민되고
아무리 좋게 생각하려해도 삶에 대한 반성과 후회만 오네요.

한달 정도 물리치료,  견인치료 받고 수영이나 다른 운동 해볼까하는데 어떨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혜리
19/06/13 19:25
수정 아이콘
1. 엑스레이로는 디스크 여부 판독이 불가능 합니다.
그 정도는 직장인이라면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 수준이예요.

2. 일단은 안 아픈게 제일 중요합니다.
지금은 아무런 운동하지 마시고 일단 치료와 휴식만 하세요.
견인치료도 증상에 따라서 더 악화 가능성도 있습니다.

3. 더 이상 아프지 않을 때, 코어운동 하시고 자세 교정하세요.
평소 생활 패턴부터 바꿔야 합니다. 의자도 바꾸고 앉는 자세도 바꾸고 뭐 물건 드는 것 하나하나 까지도 허리를 쓰는게 아니라 팔 힘이나, 무릎으로 드는 연습을 계속 해서 허리에 가하는 하중 자체를 최소화 해야 해요.
물리쟁이
19/06/13 19:34
수정 아이콘
답글 달아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런데 납득이 안가는게
제가 아픈게 남들도 다 어느정도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제가 가장 일반적으로 스스로가 생각했을때 문제있다고 느끼냐면 일반적으로 몸푼다고 허리를 뒤로눕히고 천장 볼때인데요. 아파서 평소하던만큼도 못넘길때인데 이게 일반적인가요-_-;; 그냥 제 걱정이라면 하나덜어서 부담이 줄을거같아가지고요... 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비둘기야 먹쟈
19/06/13 20:24
수정 아이콘
허리를 뒤로 눕히고 천장 보는 자세에서 못넘긴다는게 무슨 말이죠? 엎드려 있단 뜻인가;;
물리쟁이
19/06/13 20:33
수정 아이콘
도수체조 등배운동이에요.
강미나
19/06/13 21:31
수정 아이콘
아예 마르신 분이면 모르겠는데 살을 빼시면 도움이 많이 될겁니다.
물리쟁이
19/06/14 09:18
수정 아이콘
답변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저도 빼고싶은데 적정체중이라서 살빼는건 어려울거같네요.
19/06/13 22:17
수정 아이콘
칼슘제도 챙겨드시면 좋으실거예요
물리쟁이
19/06/14 09:19
수정 아이콘
나우푸드께 괜찮겠죠?
19/06/14 12:04
수정 아이콘
먹었을때 변비가 온다면 흡수가 안되는거라고 보심되요
하우두유두
19/06/13 22:18
수정 아이콘
병원에서 알려주시는대로 운동하세요.
물리쟁이
19/06/14 09:19
수정 아이콘
넵! 고맙습니다.
19/06/13 23:09
수정 아이콘
사무직 직장인은 대부분 허리목 정상이없습니다.
지속적인 운동으로 버티는것뿐이죠
물리쟁이
19/06/14 09:20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안따깝고 유감스럽네요.
메레레
19/06/14 08:08
수정 아이콘
엑스레이 찍고 의사가 하는 말은 다 무시하셔도 됩니다. 디스크는 ct나 mri찍기전에는 확인 안됩니다
물리쟁이
19/06/14 09:22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4번과 5번 사이 공간이 너무 눌려서 받는 신경 압박이라고한게 기억나는데 다른 병원가서 ct나 mri찍어봐야겠네요.
메레레
19/06/14 09:32
수정 아이콘
통증 사라졌으면 찍을필요없습니다. 아직까지 많이 아프면 찍어보세요. 디스크란 병은 증상이 없을때 검사해서 진단내려도 아무것도 할게 없는 병입니다.
달달합니다
19/06/14 08:31
수정 아이콘
엑스레이가 아니고 mri를 찍으셔야해요
물리쟁이
19/06/14 09:23
수정 아이콘
예전에 엑스레이로도 판별할수있다고 들은게 얼핏 기억에 있어서 엑스레이를 썼는데 역시 mri를 썼어야...
19/06/14 08:47
수정 아이콘
운동하시고.. 또 운동하시고 잘견디시면 나아지실껍니다...

시술은 절대하지마시구요..ㅠㅠ
물리쟁이
19/06/14 09:24
수정 아이콘
고맙습니다ㅜㅜ
19/06/14 10:32
수정 아이콘
저도 디스크 판정 받았다가 지금은 거의 호전된 상태입니다. 최대한 의자에서 허리에 힘 주고 앉으려고는 노력합니다. 이제 안 아프니 게을러지네요.
어느날 갑자기 찾아오더군요. 아침에 세수하려는데 허리가 안 굽혀짐 > 좌측 엉덩이 저림 > 허벅지 저림
저 찌릿함이 계속 가더라고요. 돌팔이 몇 명 만나서 디스크란 얘기는 처음에 듣지 못했습니다.
결국 동네 작은 의원 갔더니 증상 듣자마자 디스크같다면서 주사치료 한두번 해보고 일시적 호전만 보이니 MRI 찍어서 큰 병원 가라더군요.
MRI는 찍은 즉시 확인해주며 통상적인 디스크 부위가 터진게 보였습니다. 디스크가 터지면서 신경을 누르니 그것이 저린 현상으로 이어진거구요.
그거 들고 큰 병원 가니 걷는데 지장 없으면 디스크는 자연치유 될테니 가서 잘 먹고 잘 살라고 하더라고요. 수술은 못 걸을 정도 되면 하라고 했습니다.
딱히 디스크 치료한다고 돈 버리지마시고, 많이 걸으세요. 의사가 많이 걸으라고 하는거 외엔 말 안하더라고요.
군령술사
19/06/14 11:10
수정 아이콘
X-ray로 뼈 사이 간격이나 단면 형상(심한 염증이 지속되면 뼈가 녹아서 단면이 우둘투둘하게 보입니다.)으로 디스크 여부를 어느정도는 파악할 수있지만, 확진은 MRI로 받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MRI로 찍어보면 추간판이 삐져나온 상황인데 멀쩡한 분들도 엄청 많고, 아무 치료를 안 했는데 몇 달 후에는 통증이 사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다만 마비 증상이 오면 바로 수술해야하고요.
허리 디스크라면, 문틀에 철봉 설치하시고, 매달리거나 턱걸이를 추천합니다. 매달릴 때는 하체를 떨군다고 생각하고 힘을 빼세요. 물리치료 중에서 견인치료를 받는 원리랑 같은데요, 척추에 음압을 줘서 디스크가 뼈 사이로 다시 들어가는 힘을 가하는 거죠. 저는 이 운동 덕을 많이 봤습니다.
쾌차하시길 기원합니다.
동네형
19/06/15 16:39
수정 아이콘
그냥 전문가한테 다 맡기세요.. 기능해부랑 운동영양 운동생리 전부 공부하고 필드에서 적용해보면서 이해한거 아니면 온라인으로 검색해서 얻는내용이나 답변받은거 큰의미 없습니다. 사진한장 검사하나 직접 해보지 못한상태에선 사실 의사도 조언하기 어렵습니다. 병원추천, 센터추천요청이 차라리 현실적인 도움이 되실겁니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4494 [질문] 혹시 귀쪽에 이런 증상 가지신 분 계신가요? [4] 타케우치 미유4210 19/06/15 4210
134493 [질문] 헬린이 2달차 헬스 질문드립니다 [16] Senioritis5606 19/06/15 5606
134492 [질문] 남자 가방 추천 부탁드려요~~~ [4] 커피마시쪙3825 19/06/15 3825
134491 [질문] 요즘 하이브리드 차 어떤가요? [14] 유니꽃4338 19/06/15 4338
134490 [질문] 감자튀김송 모르는 사람 vs 토이스토리 안 본 사람 [70] 미끄럼틀5343 19/06/15 5343
134489 [질문] 서랍장 질문 드립니다. [3] 동네노는아이3016 19/06/15 3016
134488 [질문] 인천공항쪽 좋은 숙소가 있을가요? [8] Cherish3330 19/06/15 3330
134487 [질문] 김포나 인천 계양구쪽 충치전문치과 아시나요? [2] 정발산기슭곰발냄새3572 19/06/15 3572
134486 [질문] 빅데이터관련 능력이 금융권에서 일하는데 도움이 될까요? [7] 세오유즈키3050 19/06/15 3050
134485 [질문] 상식의 커트라인? [12] 개념적 문제3066 19/06/15 3066
134483 [질문] 통계프로그램 R학습 관련 질문입니다. [4] 커티삭3150 19/06/15 3150
134482 [질문] 남자 스니커즈 브랜드 질문입니다. [4] 기억의습작3104 19/06/15 3104
134481 [질문] 축구와 일상의 질문에 대한 설문 부탁드립니다. 쟁글2535 19/06/15 2535
134480 [질문] 휴대폰 개통취소에 관해(박스개봉) [7] 파란무테4337 19/06/15 4337
134479 [질문] 컴퓨터 파티션 질문드립니다! [2] 아웅이3708 19/06/15 3708
134478 [질문] U-20 월드컵 중계 어느 채널로 보실건가요?? [5] kogang20012870 19/06/15 2870
134477 [질문] 스마트폰으로 통화할때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인데 음성은 따로 뺄수있나요? St.Johan1731 19/06/15 1731
134476 [질문] 글을 찾고 있습니다 [2] 우메하라다이고1868 19/06/15 1868
134475 [질문] 학원비 환불 문의 [12] 너이리와봐3178 19/06/15 3178
134474 [질문] 내일 해외에서 월드컵 중계 볼 수 있는 곳 있을까요? [2] 공실이2097 19/06/15 2097
134472 [질문] POE 빌드? 직업? 추천 부탁드립니다. [5] 명군3918 19/06/15 3918
134471 [질문] 얼마면 본인의 선거 한표를 파시겠습니까? [41] 나른한오후4449 19/06/15 4449
134470 [질문] 완전자율주행되면 정체가 없어질까요? [9] 싶어요싶어요3231 19/06/15 32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