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6/11 10:34:18
Name wish buRn
Subject [질문] 국내 순자산 상위1% 커트라인은 얼마일까요?
20억중반이면 순자산 상위 1% 커트라인이라고 들었는데요.
2015년~2016년 자료였습니다.

이후 서울아파트값이 폭등했으니
그때보다 상위1%커트라인이 크게 상승했을까요?
가지고 있는 자산중 가장 큰 부분이 상승했으니
기준액 변동이 없는게 이상할텐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완성형폭풍저그
19/06/11 10:44
수정 아이콘
1프로가 그거밖에 안되나요??
거의 100억은 될 것 같은데 의외네요.
19/06/11 10:52
수정 아이콘
인구수 대비 1프로면, 숫자로만 따지면 엄청 많은 사람들이라..
완성형폭풍저그
19/06/11 10:59
수정 아이콘
국민의 99%는 20억을 못만지고 죽는다는게 놀라워서요..
修人事待天命
19/06/11 10:53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경제활동 인구가 2800만명 정도인데 여기서 1%면 28만명입니다. 생각보다 많아요 1%라는게....
완성형폭풍저그
19/06/11 11:01
수정 아이콘
20억은 뭔가 이룰 수 없는 느낌은 아닌데 우리나라 상위 1%는 힘들 것 같아서, 결국 20억도 이룰 수 없는 수치인가 싶어 서글퍼지네요.
19/06/11 11:07
수정 아이콘
순자산 20억이면, 일단 10억이상 자가 아파트를 대출 없이 순소유로 보유하고 있으면서,
빚 좀 땡겨서 서울 외곽 지역에 작은 상가건물 하나 가지고 거기서 월세 받아 이자도 갚고, 나머지 좀 쓰고 하는 정도 수준일겁니다.
쉬운 수준은 아니죠.
19/06/11 13:55
수정 아이콘
어우... 대출없는게 조건이니 상당히 쎄네요
修人事待天命
19/06/11 11:15
수정 아이콘
LOL 1% 컷이 다4인가 그럴건데.... 마챌도 아니고 다4면 어떻게든 하려면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지만 1% 컷에 들어간다고 하면 어려워보이는 그것과 비슷한 것이죠...
EPerShare
19/06/11 13:06
수정 아이콘
20살에 월 500을 버는 사람이 소득세 떼고 사회보험 떼고 숙식을 회사에서 해결하며 모든 소득을 저축할 경우 60살 은퇴할 때에 20억을 모으니, 굉장히 큰 돈이죠.
저격수
19/06/11 15:48
수정 아이콘
1%는 100명 중 한 명이에요........ 고등학교 세 반에 한 명.
칸나바롱
19/06/11 10:51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별로 안높아요.. 통계청 자료 찾아보면 대충 나오긴 합니다..
19/06/11 11: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상위 20% 평균이 2018년 10억 정도 되고, 상위 10%경계값은 8억정도네요
19/06/11 12:10
수정 아이콘
여기서 또 피지알 경제관념 나오겠네요 크크

그냥 회사다니면 다들 3~4천은 기본으로 버는거 아닌가? 진지하게 알바 아니고서야 2천대 버는 사람이 있어? 하는 내 주변식 경제관념
19/06/11 12:15
수정 아이콘
0.1%가 전체 부의 반이상은 차지하려나요 흐
CastorPollux
19/06/11 12:31
수정 아이콘
연봉 1억 받는 사람이 연봉 절반 모으면 1년에 3800만원 입니다 성과급 이런거 다 합쳐서 5000만이라고 해도
20억이면 40년 걸립니다...
Supervenience
19/06/11 13:07
수정 아이콘
일단 땡겨서 집사면 집값 오르는 속도가 더 빠를지도요
겨울삼각형
19/06/11 13:55
수정 아이콘
그것도 몇년전 이야기지 요즘은 집값의 반도 대출 어렵습니다.

서울에 아파트 사려면, 현금이 어느정도 있어야해요.
srwmania
19/06/11 14:07
수정 아이콘
요 근래 폭등해서 그렇지, 사실 서울 집값도 오르는 속도가 생각만큼 대단하지는 않습니다.
2016년과 2008년 시세 보면 거의 차이 안 난다는...
굳이 따지면 입지 좋은 서울 시내의 소형 평수 아파트나 재건축 대상 아파트만 많이 올랐습니다.

그런데 이 정도 조건을 걸 거면 주식이나 다른 금융상품으로는 10배 가까이 남겨먹었을 겁니다 (...)
몽키매직
19/06/11 13:32
수정 아이콘
재테크 하면 훨씬 빨리 모으긴 합니다. 보통 그 정도 여유자금 되는 사람들은 재테크 안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니... 간단한 예를 들어 5년 모아 1.9억 만들고 그걸로 2000년대 초에 강남에 대출 + 갭투자해서 10억 짜리 집을 샀다고 하면 그 집이 10억 정도 올랐을 테니 20년 만에 20억 정도가 달성 되긴 하죠. 이건 단순 예시고 재테크 하는 방법이 부동산만 있는 것도 아니니까... 순수하게 월급만 모아서는 힘들죠.
Zoya Yaschenko
19/06/11 13:22
수정 아이콘
부자들은 자기가 부자인줄 모르죠(..)
라디오스타
19/06/11 14:58
수정 아이콘
20억이라.. 생각보다 적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4394 [질문] 벤츠S VS BMW 7 VS 아우디 A8 실연비 궁금합니다. [11] 삭제됨3800 19/06/12 3800
134393 [질문] 아무것도 모르는 남자의 세안 질문 입니다. [11] 렌야5385 19/06/12 5385
134392 [질문] 회사부적응으로 일찍 자진 퇴사 해본 분들 있으신가요? [12] 삭제됨14243 19/06/12 14243
134391 [질문] 목재 마감 상태 질문드립니다. [6] 스핔스핔2986 19/06/12 2986
134390 [질문] 그림 던은 패스 오브 엑자일보단 덜 복잡한가요? [4] 미야와키 사딸라6194 19/06/12 6194
134389 [질문] 건강검진과 전자혈압계 추천부탁드립니다 [2] 주여름2978 19/06/12 2978
134388 [질문] 핸드드립 커피 입문자 질문 드립니다 [15] 오오와다나나3086 19/06/12 3086
134386 [질문] 어두운 골목에서 K2 를 주웠다? 권총을 주웠다? 어떻게 하실건가요? [33] 일정4859 19/06/12 4859
134385 [질문] PC에 이용 가능한 범용 조이스틱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오징어와 말미잘2921 19/06/12 2921
134383 [질문] 이강인 표정 연기?? [9] F.Nietzsche4445 19/06/12 4445
134382 [질문] 노트북을 구매하였는데 실이 잘려있습니다 [5] 능숙한문제해결사3096 19/06/12 3096
134381 [질문] 첨부파일 남자밴드 잔잔한팝송을 찾고있습니다. [2] grace2023 19/06/12 2023
134380 [질문] 핸드폰 갤럭스s10 기계만 살 수 있나요? [5] Alcohol bear3116 19/06/12 3116
134379 [질문] [무협]금시조월드 질문 [6] 읍읍3082 19/06/12 3082
134378 [질문] 일곱개의대죄 하시는분 있으신가요? [6] 다미2812 19/06/12 2812
134377 [질문] 수면무호흡증 관련 검사 진행을 어디서 하는게 좋을까요? [4] 포메라니안2748 19/06/12 2748
134376 [질문] 김태형씨 관련 중계방송에 대해 [17] 키류5781 19/06/12 5781
134375 [질문] 잠실, 방이쪽 회식할만한 횟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쉬군3384 19/06/12 3384
134374 [질문] 랑그릿사 모바일초보질문입니다 [6] 브록레슬러3023 19/06/12 3023
134373 [질문] 현재 설치된 윈도우 CD키 확인하는 방법? [5] 미야자키 사쿠라3797 19/06/12 3797
134372 [질문] 자취생 필수템 추천 부탁드립니다 [27] 카사딘4780 19/06/12 4780
134371 [질문] 팀후원 및 스폰서 관련질문 [2] 교자만두2876 19/06/12 2876
134368 [질문] (축구) 이런 선수들은 보통 포지션이 어떻게 되나요~?? [8] 표절작곡가4016 19/06/12 40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