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5/27 16:02:02
Name possible
Subject [질문] 에어프라이어+전자렌지+오븐 용 기구 있나요?
담달에 새아파트로 이사가는데 주방기구를 새로 하나 장만하려고 합니다.

일단 현재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 15년된 전자렌지가 있는데 폐기하려고 합니다.
- 이사가는 아파트 주방에 가스렌지 밑에 딸린 오븐이 있습니다. (성능이 어느정도인지는 모릅니다.)
- 최근 핫한 에어프라이어를 대용량으로 하나 구매하려고 합니다.
- 가격은 20~30만원 정도 예상하고 있습니다.

고민이 전자렌지, 에어프라이어를 각각 따로 사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두가지 기능이 다 있는 제품이 있나요? 있으면 그걸 사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오븐까지 해서 다 되는 제품을 사는게 좋을까요?

요리에 취미를 붙이려는 아재이며, 자주 사용할 예정입니다.

혹시 추천해주실만한 제품이 있다면 제품명이나 링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좋은길로가도록
19/05/27 16:07
수정 아이콘
광파오븐류가 그런 셈이긴 한데 오븐이 있다면 그냥 전자렌지만 사셔도 되지 않을까요?
정지연
19/05/27 16:19
수정 아이콘
전자렌지 + 오븐이면 광파오븐인데 전자렌지는 그렇게 비싸진 않은데 오븐 기능이 들어가면 비싸집니다.. 이미 집에 가스 오븐이 있다고 하니 오븐은 두고 전자렌지 전용으로 사는게 나을듯 합니다..
광파오븐이 에어프라이어 역할도 할 수 있다고 하는데 그래도 열풍으로 수분을 날려버리는게 안되면 튀긴 느낌을 내기는 어렵기는 합니다..
삼겹살 구이 같은건 오븐으로 돌리나 에어프라이어로 돌리나 큰 차이가 안나기는 하는데 냉동 튀김을 데우거나 하는 용도론 아무래도 에어프라이어가 더 낫기는 합니다
그래서 전자렌지, 에어프라이어 따로 사는걸 추천합니다..
알카즈네
19/05/27 17:02
수정 아이콘
입주 아파트에 장착되는게 어떤 제품인지는 몰라도 요즘 아파트에 기본 장착되는 오븐은 나름 다기능이라 전자렌지 대용으로 충분히 쓸만하구요~
에어프라이어도 생각보다 매우 단순한 기기라 비싼거 말고 이마트나 트레이더스 5L 8~9만원대 제품만 사셔도 충분하다고 생각해요.

전 에어프라이어만 하나 사겠습니다.
BibGourmand
19/05/27 17:14
수정 아이콘
전자레인지를 어떤 용도로 주로 쓰시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일반적으로 오븐이 전자레인지를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국물을 데우거나, 햇반이나 3분요리 등을 조리하는 용도로는 전자레인지보다 편하고 빠른 물건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재료 속의 물 분자를 직접 갈궈서 분자 운동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온도를 올리는데, 대류나 복사열을 이용하는 오븐과 비교하면 넘사벽으로 빠릅니다.
광파오븐이 적외선 램프를 이용해서 재료를 속까지 익히니까 전자레인지를 대체할 수 있다는 식의 말이 있습니다만, 별로 영양가가 없습니다. 적외선의 투과력이 그렇게까지 대단하지 않기도 하거니와, 가열 속도면에서 전자레인지가 넘사벽이거든요.
전자레인지 따위가 내 주방에 굴러다니는 꼴을 두고 보지 못하는 하드코어 요리덕후의 길을 걷겠다는 각오가 아니라면 전자레인지는 하나쯤 장만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냉동실에 절대로 생물 재료를 넣지 않고, 밥솥의 보온버튼은 없는 것으로 치는 저같은 사람도 전자레인지는 가끔 씁니다;;

컨벡션 오븐/에어프라이어는 거의 같은 물건입니다. 오븐은 기본적으로 대류열(+약간의 복사열)을 이용해 음식을 익히는데, 강한 열풍을 통해 재료 표면의 수분을 빠르게 날려보낼 수 있도록 한 것이 컨벡션 오븐입니다. 일반 오븐에 비해 재료가 빠르게 익고, 고르게 익습니다. 요즘 나오는 광파오븐은 열풍기능이 달려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니까 기존 컨벡션 오븐과 거기서 거기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튀김은 고온의 기름을 이용해 재료 표면 (혹은 튀김옷)의 수분을 화끈하게 날려서 바삭한 식감을 냅니다. 기름 대신 고온의 열풍을 쓰는 것이 에어프라이어입니다. 기능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컨벡션 오븐과 동일합니다. 따라서 컨벡션 오븐은 에어프라이어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컨벡션 기능이 없는 오븐은 에어프라이어를 대체할 수 없으니 주의하세요)
단, 대부분의 경우에 에어프라이어 쪽이 열풍 세기가 더 강하므로, 겉을 바삭하게 만들어주는 능력은 에어프라이어가 오븐보다 조금 더 낫습니다.

평소에 베이킹을 한다거나, 토마토 소스를 만든다거나, 장시간 저온조리를 한다거나 하는 용도로 오븐을 자주 써 오셨다면, 에어프라이어보다 오븐의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그런 용도로 에어프라이어를 쓸 수는 없으니까요.
대신 식은 치킨 되살리기, 냉동 튀김류 조리, 삼겹살 구이 등의 용도를 생각하신다면 오븐보다는 에어프라이어가 낫습니다. 컨벡션 오븐으로 충분히 대체할 수는 있지만, 에어프라이어가 더 쓰기 편하거든요.
오븐이 이미 있다고 하시니 사용 빈도에 따라 결정하시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별로 안 쓴다면 스톱, 자주 쓴다면 고. 이참에 냉동 튀김만두를 원없이 드셔보시겠다면 고, 혹해서 산 뒤 먼지만 쌓여가는 가전제품이 많다면 스톱.
울림요정
19/05/27 17:17
수정 아이콘
댓글 추천하고 싶네요
19/05/27 23:02
수정 아이콘
저거있어요 중소제품인데 30만원정도 선에서 파는거 있습니다.
에프 오븐 전자렌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3876 [질문] 혹시 둘이합쳐 아이큐100이라는 영화 구할곳이 있나요? [5] 카루오스5605 19/05/28 5605
133875 [질문] 애플워치 & 안드로이드폰 연동 [2] 니나노나5609 19/05/28 5609
133874 [질문] 노래 하나 찾습니다. [2] 제노스브리드2124 19/05/28 2124
133873 [질문] 무릎을 안 쓰고 달리기효과(심폐지구력) 내는 운동 없나요? [14] wook984860 19/05/28 4860
133872 [질문] 헬로모바일 블랙베리 키투 구매 질문입니다. [1] 롤스로이스2374 19/05/28 2374
133871 [질문] 제 친형 때문에 고민있습니다 [70] 삭제됨9210 19/05/28 9210
133870 [질문] 운전하면서 들을만한 유튜브 채널 있을까요? [7] goldfish9631 19/05/28 9631
133869 [질문] 공기업 채용시 개인신원정보확인을 하나요? [7] 엔마3372 19/05/28 3372
133868 [질문] 영화 제목 질문드립니다. [7] 검검검2857 19/05/28 2857
133867 [질문] 갈축 키보드 [덱 헤슘vs 커세어k70] [24] Asterflos6411 19/05/28 6411
133866 [질문] 만약 소주가 비싸진다면? [52] 키류4876 19/05/28 4876
133865 [질문] 제주도 렌트카 [12] 로드바이크4935 19/05/28 4935
133864 [질문] OS가 깔린 SSD에 다른 파일을 안 까는 것이 좋나요? [13] ERII2853 19/05/28 2853
133863 [질문] 옛날 만화 질문좀 드릴게요 [5] 꽃이나까잡숴2461 19/05/28 2461
133861 [질문] [엑셀] 파일간의 순서 이동 방법이 궁금합니다. [4] 아이셔 2626 19/05/28 2626
133860 [질문] 전자책 이렇게 읽는 법이 없을까요? [3] 고란고란4269 19/05/28 4269
133859 [질문] 런던에서 챔스 결승 보는 법 [1] 정크랫2453 19/05/28 2453
133858 [질문] 왕좌의 게임 볼만한가요? [18] 늅늅이4512 19/05/28 4512
133857 [질문] 회사에서 저와 같은 스트레스 받는 분 계십니까? [16] 치토스4504 19/05/28 4504
133856 [질문] 조립pc견적 관련 질문입니다. [2] 영웅의신화3141 19/05/28 3141
133855 [질문] 밤도깨비 여행지 추천부탁드립니다. [6] 풍각쟁이2916 19/05/28 2916
133854 [질문] 단편소설을 찾습니다(SF) [4] 홍준표2410 19/05/28 2410
133851 [질문] 계좌이체받은 직후에는 다른곳에 바로 못보내나요? [8] 아웅이2796 19/05/28 27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