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5/20 23:18:47
Name 맹물
Subject [질문] 수건 사서 쓰는거 어떤가요?
집에있는 대부분이 돌잔치나 가게오픈등의
사은품 수건들인데.. 꾸준히 들어오기도하고

아예 수건을 사서 쓰면 부드럽거나 확실히 퀄이 좋나요?

검색해보니 수건이 생각보다 가격이 나가는것 같기도하고..

후기나 추천제품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5/20 23:22
수정 아이콘
코스트코에서 가끔씩 수건 사서 씁니다. 아무래도 처음 샀을 때는 뽀송하고 두텁고 부드러운데
쓰다보면 뻣뻣해지고, 얇아지고, 색이 바래고 하면서 버리게 되더라구요.
19/05/20 23:25
수정 아이콘
괜찮은거 사면 부드럽고 좋아요

근데 수건도 어느정도 쓰고 갈아줘야 한다고 하네요
강다니엘
19/05/20 23:30
수정 아이콘
이름은 기억 안나고 호텔수건 40수에 200g 사용하고 있는데 도톰해서 잘 닦이고 확실히 사은품 수건보다 덜 얇아지는 게 느껴져서 좋아요. 근데 진회색 삶으면서 썼더니 색이 요상하게 바래서 삶아 쓰시려면 밝은 색이 좋을 것 같아요.
덴드로븀
19/05/20 23:31
수정 아이콘
송월타올이 유명한데 30수/40수 150~180g 사이에서 맘에 드는 촉감을 골라보시면 됩니다.
집에 건조기가 있다면 좀 무거운 타올 써도 괜찮구요.
오프 더 레코드
19/05/20 23:37
수정 아이콘
저희는 깔맞춤하려고 샀었는데요. 기본적으로 똑같아요.
근데 보통 판촉용 수건은 가벼운게 많은데 무거운거 쓰실수록 좋아요. 호텔수건 생각하시면 되실듯
화염투척사
19/05/20 23:54
수정 아이콘
두꺼운거 사고나서는 두꺼운 수건만 주로 쓰게 되더라구요. 샤워후에 좀더 기분이 좋습니다.
19/05/21 00:06
수정 아이콘
수건도 수명이 있는 소모품입니다.
또 사서 쓰시는게 훨씬 좋습니다. 보통 송월타올 유명하구요.
상근이
19/05/21 00:51
수정 아이콘
돌잔치나 답례품용 수건은 촉감이 하급이고요
170g정도가 가장 많이 팔리는 일반적인 가정용수건인데 그냥저냥 평타치는 수건입니다
200g이상이 보들보들한 느낌의 상급 수건이고요
이번에 220g사서 쓰고있는데 호텔수건마냥 보들보들하고좋네요
19/05/21 00:59
수정 아이콘
살때 몇 수인지와 무게 같은거 잘 보시고 사시면 됩니다.
상품 설명 보면 꽤 두툼한 제품일거 같은데 아닌 경우가 많죠. 상품평 같은거 잘 보세요.
19/05/21 07:02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어디서 그냥 주는 수건들은 대부분 hand towel 사이즈인데, 이 위로 bath towel, bath sheet라고 불리는 두단계 사이즈가 더 있습니다(아래로는 wash cloth 한단계). bath towel은 대략 70x140cm, bath sheet는 대략 100x180cm 정도가 표준적인 사이즈인데, 품질을 떠나서 일단 윗단계 사이즈들은 샤워 후 몸을 닦는 용도로 사용할 때 훨~~씬 유리/편리합니다. 물론 품질에 따라서 부드러운 정도, 물 흡수 정도 등의 품질도 크게 차이가 납니다.

유명 고급 브랜드는 다른 섬유 방적 분야와 마찬가지로 이탈리아에 많고, 고급 침구류로 유명한 브랜드라면 대체로 수건도 팝니다(Frette, Sferra, Dea, Yves Delorme 등). 원료(cotton) 출신지의 경우, 침구류 쪽은 대체로 이집트 일부 지역에서 자라는 긴 길이의 cotton을 최강으로 칩니다만, 수건 쪽은 선호하는 두께나 특징 등에 따라서 이집트산이 최고 재료로 인정받는 쪽도 있고 터키산이 최고로 인정받는 쪽도 있습니다.

두께는 원하는 특성, 취향 등에 따라서 원래부터 여러가지 타입으로 나오는 것이고(고급이라도 중간 두께나 얇은 두께인 것도 있고, 싸구려도 두꺼운 것이 있음), 같은 두께와 크기라 하더라도 고급과 싸구려의 차이는 큽니다(부드러운 정도, 물 흡수 능력 등에서 큰 차이가 납니다). 다만 수건은 원래부터 세탁할 때마다 세제 등을 자꾸 흡수하여 누적시키는 성질이 있고, 세제가 누적되면 뭐든지 뻣뻣해집니다. 또한 건조기를 돌리지 않고 그냥 바로 널어서 말리면 탈수시에 서로 뭉친 것들이 풀리지 않고 그대로 말라버리기 때문에 뻣뻣해집니다. 이런 이유로 건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급이든 싸구려든 금방 뻣뻣해지는건 똑같습니다(다만 세탁기에 붙어있는 허접한 건조기능이라 하더라도 30분쯤 돌려준 뒤 널어서 말리면 후자 형태의 뻣뻣함은 막을 수 있습니다).
파란무테
19/05/21 08:45
수정 아이콘
우선 건조기만 있으면 뽀송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3649 [질문] 토탈워 삼국지 하기 전 삼국지를 읽고 싶습니다.. [29] Lelouch3842 19/05/22 3842
133648 [질문] 뮤지컬 공연 질문입니다. [18] 호텔아프리카2884 19/05/22 2884
133646 [질문] 자연 친화적인 벌레퇴치(?) [4] 미야자키 사쿠라2263 19/05/22 2263
133645 [질문] 싱크대 하수구 냄새 처리방법?? [3] Dwyane3687 19/05/22 3687
133644 [질문] 노래제목 알수있을까요? 불안한~때로난~창가에~~ [2] 밥잘먹는남자2926 19/05/22 2926
133643 [질문] 200만원 이내에서 최고 사양 노트북은 어떤 게 있을까요? [2] 고전파4140 19/05/22 4140
133641 [질문] [19체크] 고환이 절제된 사람은 현자타임이 없나요? [2] EPerShare4369 19/05/22 4369
133640 [질문] 경남권에 블루길 낚을만한 곳 있울까요 의지박약킹 2469 19/05/22 2469
133639 [질문] 키보드 마우스 손목 보호대는 어느 브랜드가 좋을까요 [6] 창조신2747 19/05/22 2747
133638 [질문] 현재 항공마일리지 최고 카드는 뭘까요? [11] Dr.덴마3247 19/05/22 3247
133637 [질문] 카드정보만 입력해도 결제되는 인터넷쇼핑몰 있을까요? [7] 청자켓3135 19/05/22 3135
133636 [질문] 순천 1박2일 여행코스 추천해주세요 [5] 조현4060 19/05/22 4060
133635 [질문] 현재 쓰고있는 구글 계정에 동기화 된 정보를 다른 구글 계정으로 옮길 수 있을까요? [2] 칼라미티2566 19/05/22 2566
133634 [질문] 방송용 마이크: 콘덴서 마이크? 핀 마이크? AKG? [4] 지바고2967 19/05/22 2967
133632 [질문] 중대본부 예비군은 뭘 하나요? [4] 及時雨2974 19/05/22 2974
133630 [질문] 아이돌콘서트에서 응원봉이 필요하나요? [9] 인달2746 19/05/21 2746
133629 [질문] 컴퓨터 구매하려고하면 120 정도면 적당할까요? [4] 창조신4153 19/05/21 4153
133628 [질문] 어떻게 하면 가족을 연대 보증인으로 세울 수 있죠? [11] 교대가즈아3930 19/05/21 3930
133627 [질문] 폭행 사건 진행과 대응방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 SlaSh.3206 19/05/21 3206
133626 [질문] 삼탈워 최소사양으로(노트북) 돌릴만한가요? [5] 진인환6896 19/05/21 6896
133625 [질문] [물리] 두 물체가 충돌하면 어떻게되는가? [16] norrell3704 19/05/21 3704
133624 [질문] 옆집 주택 앞에서 개목줄 안하는거 어떻게 신고하면 되나요 ? [14] ikabula4009 19/05/21 4009
133623 [질문] Msi 프로분들 관전방송 아시는 분 있나요? lasd2412631 19/05/21 26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