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5/18 12:47:24
Name 톰가죽침대
Subject [질문] [NBA] 역대 가장 압도적이였던 1픽은 누군가요?
안녕하세요.

역대 nba 1픽 지명자 중에 해당 드래프트내에서 경쟁자들보다 기대치가 가장 압도적으로 높았던 1픽이 누구인가요?

보통 카림 압둘자바, 팀 던컨, 르브론 제임스 셋 이야기가 가장 많이나오던데

이 셋중에선 누가 가장 압도적이였나요? 그리고 혹시 저 셋보다 더 압도적이였던 1픽이 있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5/18 12:50
수정 아이콘
하킴 올라주원이요 조던을 제치고 1픽-
톰가죽침대
19/05/18 13:09
수정 아이콘
하킴도 뛰어난 1픽이긴했지만 듣기로 그당시 다른 드래프트들이랑 기대치차이가 어마어마하게 크진 않았다고 들었는데요
미하라
19/05/18 12:55
수정 아이콘
해당년도에 1픽 플레이어와 다른 선수들간의 갭차가 가장 큰 드래프트 시즌은 제가 기억하는 시즌들중에 한해서는 1997 시즌.

이때 던컨은 거의 이견에 여지가 없는 1픽이었고 이미 NBA 입성할때부터 완성된 빅맨으로 평가받았었죠. 나머지 10픽내 선수들은 고졸 티맥을 제외하면 사실상 탑레벨 플레이어가 전멸 수준. 르브론의 2003 시즌은 르브론이 워낙 압도적인 재능이기도 했지만 멜로고 있었고, 웨이드도 있었으니...
톰가죽침대
19/05/18 13:07
수정 아이콘
카림 압둘자바도 팀 던컨에겐 안되나요?
미하라
19/05/18 13:43
수정 아이콘
카림때는 제가 태어나지도 않은 시절이라 잘 모르겠네요. 그냥 그랬다카더라~ 식으로 들은것밖에 없어서...
웃어른공격
19/05/18 12:55
수정 아이콘
샼...데뷰전부터 그렇게 시끄러웠던건 처음이었고

실제 그만큼 보여주기도..
스타본지7년
19/05/18 13:01
수정 아이콘
샤크가 못까는 하킴 아닐까 싶은데요.
19/05/18 13:16
수정 아이콘
자바죠. 자바때문에 ncaa룰이 바뀌었는데..
19/05/18 13:17
수정 아이콘
자바가 1학년때 이끈 1학년팀이 ucla주전팀을 격파 -
전년도 ncaa우승팀인 ucla를-
기대치만 보았다면 자바겠지요
손금불산입
19/05/18 13:52
수정 아이콘
카림으로 봐야할 거고, 00년대 이후라면 오든이겠네요. 스포트라이트는 르브론도 정말 많이 받았지만 막상 둘이 붙으면 오든이 뽑히지 않았을지.
BurnRubber
19/05/18 14:14
수정 아이콘
압도적으로 르브론.. 그 누구도 그정도 1픽 기대치는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예정
19/05/18 15:00
수정 아이콘
역시릅신
열혈근성노력
19/05/18 14:55
수정 아이콘
카림과 하킴은 제 세대가 아니라 모르지만 체감상 언론에서 엄청 말 많았던건 그렉 오든이였습니다.
르브론보다 더했던거 같아요. 못해도 데이비드 로빈슨이라고...
스타본지7년
19/05/18 14:57
수정 아이콘
컴패리즌이 빌 러셀이었는데... 유리몸... 포틀은 샘 보위에 이은 2차 잔혹사(?)
문앞의늑대
19/05/18 15:19
수정 아이콘
MJ+MJ 의 드래프트 리포트를 받은 르브론
ANTETOKOUNMPO
19/05/18 15:43
수정 아이콘
경쟁자 대비 기대치라고 하면 르브론은 아니지요. 물론 부동의 1순위이긴 했지만, 앤써니의 존재감도 적지 않았으니까요.
거기에 4순위 보쉬, 5순위 웨이드도 쟁쟁한 멤버였구요.

신인때 임팩트라면 카림이 당연히 최고였다고 봅니다.
ncaa 에서 순전히 카림때문에 덩크슛 금지라는 규칙이 생길정도의 임팩트였고,
조기진출이 흔지 않던시절 ncaa 3연패후에 드래프트에 지원했습니다.

팀던컨 같은 경우, 로빈슨 부상을 이유로 탱킹했던 강팀 샌안에 지명되었지만,
카림은 신생팀(창단 2년째 드래프트) 밀워키에 지명되어 신인왕, 2년차에 파이널 우승, 3년차에 시즌MVP를 차지할 정도였으니
통산득점 1위의 누적스탯보다도 대단한 신인시절을 보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엔타이어
19/05/18 15:51
수정 아이콘
이건 르브론인거 같네요.
드래프트 전부터 언론과 각종 스폰서들이 얼마나 난리가 났었느냐를 따져보면 르브론이 최고였죠.
19/05/18 16:05
수정 아이콘
http://www.espn.com/nba/columns/smith_sam/1475855.html
저도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그 유명한 샘 스미스가 이런 글을 썼었네요. 요약하자면 가장 기대된 픽은 자바, 다음은 매직과 버드. (이 둘의 대학시절 스토리가 엄청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빅맨이 아니라 개개인에 대한 의심은 있었지만 둘의 라이벌리가 리그에 대단한 기대를 불러왔다고 하네요. 그리고 올라주원/제임스 정도? 제임스에 대해선 분명 미디어의 관심을 가장 많이 받은 케이스라네요. 체임벌린은 데뷔 때 nba의 인기가 없었고 당시 기준 너무 키가 컸기 때문에 그다지 몸을 잘 제어하지 못할거라는 의견이 많았다고 하네요. 샘슨 같은 경우 대학에서 피지컬한 플레이어들을 상대로 좀 고전해서 그 큰 키와 운동능력을 갖고도 그의 성공을 어느정도 의심했나 봅니다.
19/05/18 16:26
수정 아이콘
1순위 뽑히는걸로 생각하년 카림,제독,던컨,오든이죠.
나머지 드래프트는 그래도 경쟁자가 있었지만 저들은 경쟁자가 없다고 봐야햤으니 저 중에선 오든이 그나마 듀란트와 경쟁이긴 했지만
손금불산입
19/05/18 17:51
수정 아이콘
사실 경쟁자라고하기도 뭐한게 워낙 오든오든하니깐 듀란트는? 정도로 이야기가 나온거라.. 지금에서야 슈퍼 레전드지만 드래프트 당시 듀란트는 존 월보다도 관심도를 더 받았다고 보기 힘들었죠. 그마저도 한쪽 손목 나간 상태로 오든이 NCAA 결승전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결론이 섰죠. 망해도 유잉이라는 어처구니 없는 평가를 듣고 드랩에 나왔으니...
19/05/18 16:47
수정 아이콘
그렉 오든이나 페트릭 유잉도 어마어마했던걸로 기억합니다
By Your Side
19/05/19 09:41
수정 아이콘
르브론이죠. 최초로 그깟 고등학교 경기를 전국에 생중계 했는데요. 컴패리즌이 MJ+MJ였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3566 [질문] 롤이나 aos게임 기반 소설이나 팬픽 중 볼만한거 있나요 [5] cienbuss4120 19/05/19 4120
133565 [질문] 분당 야탑 분위기 좋은 식당이 있을까요? [7] BEREADY44963 19/05/19 4963
133564 [질문] 혼술 할 때 보기 좋은 영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23] CastorPollux6689 19/05/19 6689
133563 [질문] 지금 아우디a3 사는건 별로일까요 [8] 데비루쥐4604 19/05/19 4604
133562 [질문] 핸드폰 알람이 안와요 버티면나아지려나2643 19/05/19 2643
133561 [질문] 효과음 질문입니다 [3] Love.of.Tears.3207 19/05/19 3207
133560 [질문] 일상체력증진에 헬스가 도움이 될까요? [6] 아붓지말고따로줘3949 19/05/19 3949
133558 [질문] 캐나다 여행 다녀와 보신분 계실까요? [5] 싸구려신사3208 19/05/19 3208
133557 [질문]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은 언제부터 생긴 건가요? [9] 불굴의토스3377 19/05/19 3377
133556 [질문] 긴급하게 도움이 필요합니다 도난당했어요 [13] 슈터4189 19/05/19 4189
133555 [질문] 11번가 같은 데 올라와 있는 게임 코드는 왜 이렇게 싼가요? [12] 박경덕8103 19/05/19 8103
133554 [질문] 토탈워 삼국지 하려면 업글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3] 시행착오 합격생3961 19/05/19 3961
133553 [질문] 클립형 블루투스 헤드셋 제품 추천해주세요. 약쟁이2380 19/05/19 2380
133552 [질문] 공대생의 지방근무 관련하여 여쭤보고싶습니다 [37] 삭제됨9794 19/05/19 9794
133551 [질문] 자작 시간형 섬맵 이미지 재업합니다. 이대로 만들어도 될까요? [6] Cookinie2907 19/05/19 2907
133550 [질문] LOL 랭크에서 이 숫자들 의미가 무엇인가요? [1] 클린코더4069 19/05/19 4069
133549 [질문] 캠핑시즌을 맞이하여 텐트 질문입니다. [7] 완성형폭풍저그3768 19/05/19 3768
133548 [질문] 퇴사한 회사 급여명세서.. [3] 게닛츠4847 19/05/19 4847
133547 [질문] 롤리타라는 소설 혹시 수위 높은 장면 나오나요? [2] chldkrdmlwodkd3952 19/05/19 3952
133546 [질문] 삼탈워용 컴퓨터 문의 [2] 간손미3338 19/05/19 3338
133545 [질문] 모니터링 용 헤드폰 추천해주세요 [1] Dwyane2755 19/05/19 2755
133543 [질문] ARENA DESK 1200 게이밍 책상 어떤 가요? [8] 마음속의빛5234 19/05/18 5234
133542 [질문] 사채 관련 질문드립니다.(사채관련) [27] 제이홉4306 19/05/18 430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