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5/12 13:25:38
Name 모나크모나크
Subject [질문] 라이트노벨 제목 형식은 유행(약속)이 있는건가요? (수정됨)
안녕하세요.
라이트 노벨 자체를 소설로 읽은 적은 없고 그 소설 기반의 2차 창작물은 몇 개 본 적이 있습니다.
한참 유행할 때의 하루히 애니매이션이나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이건 스핀오프작인데 원작보다 더 잼난 것 같아요) 만화책 정도입니다.

저 당시에는 ABCD의 EFGH같은 제목이 유행이었던 것 같고..
요즘 나오는 작품들은 제목이 문장인 경우가 많은 것 같아서요. (예: ABCD였던 내가 EFGT이다)
굳이 저런 제목을 짓는 이유가 있나요? 유행인건지 라노벨 작가들 사이에 있는 약속 같은 건지 궁금하네요.
아니면 제가 잘 몰라서 그렇지 라이트노벨이 있지만 저런 작품만 인기가 좋아 유난히 눈에 띄는건가요?
- 사실 작품 이름이 저명해서... 믿고 거르기가 쉬워서 좋긴 합니다;;; 안 보게 되더라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허세왕최예나
19/05/12 13:30
수정 아이콘
일본에서 유행하는 거 아닐까요...?
사실 저도 처음에는 엄청 거부감 있었는데 슬라임은 재밌...
모나크모나크
19/05/12 13:58
수정 아이콘
네. 아래 댓글도 보니 제목에 유행이 있나봅니다.
저도 제목에 좀 거부감이 있어서 한 번 여쭤 봤습니다. 요즘 인싸에게는 저런 게 먹히는 제목인가보네요
19/05/12 13:41
수정 아이콘
당연히 유행이 있습니다. 흥행하면 따라가는거구요. 한국 양판소들도 xx가의 망나니가 되었다라던가 SSS급 공무원이 힘을 숨김 이런식으로 뻔한 제목들이 있습니다.
19/05/12 13:5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제목이 길어지는 이유는 "PGR 사건록" 이런거 보다 "같은반 여자아이의 책상에 똥을 싼 건에 대하여" 이런식으로 쓴게 조회수가 더 높게 나오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글들이 너무 많이 올라오기때문에 제목에서부터 관심을 끌어야하죠.
모나크모나크
19/05/12 13:59
수정 아이콘
제목에도 유행이 있다니 참 신기하면서도.. 흥행에 이어진다 생각하면 이해가 되네요.
세오유즈키
19/05/12 13:54
수정 아이콘
작가가 일반적인 걸 써가도 편집부에서 유행에 맞추라고 한다네요.
모나크모나크
19/05/12 14:00
수정 아이콘
헐... 이 정도면 저렇게 제목을 정하지 않을 수가 없겠네요.
유념유상
19/05/12 14:00
수정 아이콘
제목이 문장이 된것은 유행입니다.
제목이 문장형인 과거부터 있어왔지만 라노벨은 소설이 너무많다보니 독자에게 어필하기 한것이 성공하면서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모나크모나크
19/05/12 14:02
수정 아이콘
그러면 문장형 제목 중에 라노벨 말고 일반 소설도 있는건가요?
(사실 제가 라노벨이라는 걸 정확하게 구별을 못하는데요. 찾아봐도 설정이 복잡하지 않은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 정도로 나오고요. 걍 일반 판타지 소설들은 다 라노벨로 보면 되는건가요?)
Summer Pockets
19/05/12 15:01
수정 아이콘
라이트노벨의 정의에 대해선 수많은 갑론을박이 있었습니다만, 일본만화풍의 삽화 + 라이트노벨 레이블에서 출판되면 전부 라이트노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라이트노벨들이 늘어나면서 저 요소 빼고는 예외요소가 너무 많아져서 대표할만한 특징이 딱히 없어졌죠
모나크모나크
19/05/13 13:11
수정 아이콘
아하 "내가 라노벨이오" 하면 다 라노벨이라 보면 된다는거네요. 감사합니다.
유념유상
19/05/12 15:21
수정 아이콘
로슨슨 크루소 소설 원제목이 "조난을 당해 모든 선원이 사망하고 자신은 아메리카 대륙 오리노코 강 가까운 무인도 해변에서 28년 동안 홀로 살다가 마침내 기적적으로 해적선에 구출된 요크 출신 뱃사람 로빈슨 크루소 가 그려낸 자신의 생애와 기이하고도 놀라운 모험 이야기"
이미 고전문학부터 쓰던 방식입니다.
모나크모나크
19/05/13 13:12
수정 아이콘
아니 저게 원제인가요? 왜 저렇게 긴 제목을 지었대요;
감사합니다. 문학쪽 식견이 대단하십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3443 [질문] 휴대폰으로 전자책을 볼때 셋팅 어떻게 하시나요? [2] 기동전사건담2238 19/05/16 2238
133442 [질문] [가망없는 영화 스포] 캡틴 아메리카 대사 질문 있습니다! [21] 엔지니어3290 19/05/16 3290
133441 [질문] PC의 데이터 사용량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2] handmade3286 19/05/16 3286
133440 [질문] 조립컴퓨터 vs 플스4(슬림) feat.몬헌 [26] 연애잘합니다4570 19/05/16 4570
133439 [질문] 대기업 협력사 인증 종류가 궁금합니다. 아이언맨2634 19/05/16 2634
133438 [질문] 1박2일로 여수놀러갑니다! [14] 조현3762 19/05/15 3762
133437 [질문] 애니메이션 콘티? 원화집? 중고로 판매하는 사이트나 장소가 따로있을까요? [2] 물리쟁이2921 19/05/15 2921
133436 [질문] 올림픽 체조 경기장 근처 주차 문의입니다 [6] 나이스후니3986 19/05/15 3986
133435 [질문] 푸스카스는 어떤 선수인가요? [2] chldkrdmlwodkd2834 19/05/15 2834
133434 [질문] 초보적인 R프로그래밍 질문입니다. [3] Lue10178 19/05/15 10178
133433 [질문] FHD 60hz 모니터 사용중이라면 DVI, HDMI 차이 있을까요? [1] Googlo3172 19/05/15 3172
133432 [질문] 플스4패드를 플스비타 충전기로 충전해도 되나요? [2] 어빈2448 19/05/15 2448
133431 [질문] 중국 유학원 서류관련 질문드립니다 [1] 고양사람2730 19/05/15 2730
133430 [질문] 서양식 턴제 롤플레잉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7] 리테4770 19/05/15 4770
133429 [질문] 이런 사람도 친일파가 맞을까요? [12] 1024212 19/05/15 4212
133428 [질문] 전세계약시 복비관련 질문입니다. [10] 호텔아프리카3371 19/05/15 3371
133427 [질문] 요즘 사진보정은 라이트룸이 대세인가요? [3] AKbizs2944 19/05/15 2944
133426 [질문] 어떤 아이패드를 살까요? [10] No.103481 19/05/15 3481
133425 [질문] 컴알못 질문 좀 하겠습니다. [10] 지금이대로3556 19/05/15 3556
133424 [질문] 얼굴에 기름기 제거 어떻게 하시나요 [8] Secundo6949 19/05/15 6949
133423 [질문] 아이패드로 금공이나 행시 공부하는게 괜찮을까요? [8] 203585224 19/05/15 5224
133422 [질문] 전셋집 전입신고 관련 질문 드립니다 [2] oculus3285 19/05/15 3285
133421 [질문] 갤럭시 S10이나 S10e 쓰시는분들 어떤가요? [34] 에바 그린5860 19/05/15 586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