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5/11 21:58:39
Name chldkrdmlwodkd
Subject [질문] 아리스토텔레스는 올타임으로 봤을 때 몇 위 안에는 드는 걸까요?
자유 게시판에 아리스토텔레스에 관한 글을 봤는데요. 대단한 철학자라는 건 알겠는데 워낙 고대 사람이라서 그런지 사실 그 위대함이 잘 실감나지 않아서요. 칸트나 헤겔,벤담 같은 철학자들을 교과서에서 더 많이 배워서 그런 거 같습니다. 철학사에서 봤을 때 위상이 궁금해서요. 아는대로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onelydragon
19/05/11 22: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1위 후보. 그 중에서도 1위표 많이 받음. 플라톤, 칸트, 헤겔 등이 어깨 비비고 니체, 맑스, 비트겐슈타인이 인기빨로 따라잡는 정도. 플라톤이 서양철학의 시작을 열었다면, 바로 다음세대인 아리스토텔레스가 플라톤이 제기한 내용을 사실상 집대성해버림. 이 사람이 건드린 분야가 너무 많아서, 인문학은 이 사람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학문이 거의 없음. 과학적 사고의 시초도 이 사람으로부터 시작. 서양문명의 정신적 토대 반절 정도는 아리스토텔레스 혼자 몫이라고 보면 됨. 역사상 모든 인물 모아서 영향력 랭킹 뽑으라면 무조건 10위 안에 들어감.
19/05/11 22:29
수정 아이콘
조금이라도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대부분이 1위로 꼽지 않을까 싶습니다.
과장 좀 보태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넓고 깊게 퍼져온 학문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기원을 찾아 거슬러 올라가면 이 양반이 손을 안 댄 분야가 없다고 하죠.
로즈 티코
19/05/11 22:5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플라톤을 더 좋아하긴 합니다만, 아리스토텔레스가 압도적인 1위 후보일 겁니다.
19/05/11 23:39
수정 아이콘
올타임 3안에는 무조건 넣어야죠
watching
19/05/11 23:49
수정 아이콘
아리스토텔레스가 괴물같은 철학자인건 맞지만
아무리 높게 쳐줘도
소크라테스, 피타고라스, 플로티누스, 디오게네스, 디오니수스, 헤라클레이토스 그 다음이죠.
19/05/12 00:26
수정 아이콘
그쪽 동네 형님들은 왜 다 ~스로 끝나나요?
미카엘
19/05/12 02:21
수정 아이콘
못해도 올타임 넘버 3!
Liberalist
19/05/12 10:52
수정 아이콘
아리스토텔레스가 서양 지성사 영향력 발휘한 순위로는 1위 맞죠.
그 바로 턱밑에 플라톤이 비빌까 말까한 수준이고, 그 다음에 칸트를 위시한 기타 학자들이 줄서야 한다고 봅니다.
chldkrdmlwodkd
19/05/12 11:21
수정 아이콘
답변 모두 감사합니다.저도 나무위키에서 알아본 거지만 보통 1위 후보로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주로 꼽는 모양이더군요. 지식 하나 알아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3341 [질문] 서울 아산병원 근처에 괜찮은 숙소 아시는분 계신가요? [4] 쌀스틱3903 19/05/13 3903
133340 [질문] 사진 공부하기 좋은 사이트? [6] 녹차김밥2931 19/05/13 2931
133339 [질문] 축구 및 유산소 운동을 위한 러닝머신 뜀박질법? [4] 세이밥누님4291 19/05/13 4291
133338 [질문] [스포] 엔드게임에서 네뷸라 질문입니다. [7] 니나노나5238 19/05/13 5238
133337 [질문] 가벼운 영어 교정 서비스가 있을까요? [3] MyBubble3720 19/05/12 3720
133336 [질문] skt핸드폰+인터넷 티비 결합상품 관련 질문입니다! [6] 기록가2956 19/05/12 2956
133335 [삭제예정] 원천징수영수증 근무기간 표시 오류 관련 질의입니다. [2] 삭제됨5508 19/05/12 5508
133334 [질문] 아이언맨 2에서 궁굼한게 있어요(영화질문 아님) [9] Part.34421 19/05/12 4421
133333 [질문] 편하게 외출복으로 쓸만한 티셔츠 없을까요? [4] 교대가즈아3339 19/05/12 3339
133332 [질문] 영상에 삐-처리를 입히고 싶은데 간단한 프로그램있을까요? [3] 크랜베리3400 19/05/12 3400
133330 [질문] 인터넷+TV 추천부탁드립니다. [2] 유니꽃3373 19/05/12 3373
133329 [질문] BTS가 어느정도인지 감이 안옵니다.. [10] 삭제됨4402 19/05/12 4402
133328 [질문] 이게 등에 담 걸린건가요? 해결법 아시는 분 [1] 이야기상자2289 19/05/12 2289
133327 [질문] 이 피아노 브금이 뭐죠?? [2] 흙수저2201 19/05/12 2201
133325 [질문] 입사 1주일만에 퇴사 관련 문의드려요. [20] 유진바보11153 19/05/12 11153
133323 [질문] [영화] 괴수 및 재난영화 추천 부탁 드립니다. [11] 마이스타일3808 19/05/12 3808
133322 [질문] [어벤져스 인워] 짤 원본을 찾습니다 [4] 유나3640 19/05/12 3640
133321 [질문] 자취생이 이용할만한 가정식 or 반찬 배달업체 추천부탁드립니다. [4] 모라토리움3158 19/05/12 3158
133320 [질문] 자전거 추천 부탁드립니다~ [6] 별무리2769 19/05/12 2769
133319 [질문] GFY로 움짤을 쪘는데 임베디드코드는 어디서 보나요 [3] 기사조련가2541 19/05/12 2541
133317 [질문] 윈도우키 + 화살표가 먹히지 않네요. [2] monkeyD3600 19/05/12 3600
133316 [질문] 노트북에서 블루투스 헤드폰 배터리 잔량 확인하는 방법 [2] OOFOS6280 19/05/12 6280
133315 [질문] 라이트노벨 제목 형식은 유행(약속)이 있는건가요? [13] 모나크모나크3070 19/05/12 30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