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4/29 16:03
두가지 경우죠
1.데이터쉐어링유심만 받아서 (초기비용 7700원만내고 이후 무료) 원래 회선 데이터를 공유해서 편하게 쓰는경우. 테더링,와파가없어도 제약이없음 2.아예 새 회선을 뚫어서 투남바+전화,문자,메신저까지 편하게 사용
19/04/29 16:56
어차피 태블릿은 아무래도 들고 다니면서 쓰기는 불편하고
욱님 같은 사용패턴이면 보통 사용처가 집 카페 이런 데일 거라 상관없습니다. 저도 셀룰러로 사서 이년 넘게 쓰고 있지만 다음 거는 무조건 와이파이로 살 거...
19/04/29 16:56
(통신사 한테) 좋은거죠.
월 요금을 받으니까. 사용자입장에서 굳이 꼽으라면 차타고 다니면서 유튜브 보여줄 수 있다는거?(아이한테)
19/04/29 18:27
https://www.youtube.com/watch?v=MDQrebLwMYQ
셀룰러를 필수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의견은 이렇네요. 참고하세요~!
19/04/29 19:11
사용패턴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저는 스마트폰도 그렇고 아이패드도 그렇고 가장 큰 사용처가 트위치, 유튜브, 넷플릭스 이런 것들이라......
19/04/30 08:41
저는 즐겨하던 카카오 게임이 있었는데 와이파이 모델은 카톡 계정을 정상적으로 만들 수가 없어서 좀 제약이 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자체로 집에서 쓰는 건 별로 문제되지는 않는데 '모바일' 기기로는 좀 제약이 있는 느낌이랄까.
lte 모델은 처음 유심 비용만 내면 데이터 쉐어링으로 써서 매월 요금 나가는 거 아니니까 비용 면에서 다를 것도 없어요. 좀 더 비싸긴 하지만 '모바일' 비용으로 생각하면 그 정도는 감수할 수 있는 정도 같습니다. 다만 글쓴 분처럼 폰 데이터 자체가 많지 않으면 좀 무리긴 하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