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4/15 21:09:34
Name 콜라제로
Subject [질문] 해외는 집값이 보통 어떻게 되나요?
질문이 조금 뜬금 없는데, 출산률 관련 글을 보다가 저출산(혹은 비혼)의 가장 큰 원인이 집값마련이라는 이야기를 보고 문득 궁금해집니다.

한국의 경우 20대 후반~ 30대 초중반에 본인이 번 돈으로 집값을 마련하는게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기때문에 결혼이 많이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다고 저를 포함한 많은 분들이 생각하실텐데, 일본이나 미국, 유럽 등지에서는 결혼하면서 주거마련하는데 비용이 어떤가 궁금힙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4/15 21:34
수정 아이콘
미국은 당연히 동네따라 다르지만... 월급의 반까지도 월세에 들어갑니다..
BlueTypoon
19/04/15 21:53
수정 아이콘
예전 질문게 글이 떠올라서 링크합니다.
https://pgr21.com/pb/pb.php?id=qna&no=127132&page=3&divpage=61&ss=on&sc=on&keyword=%EB%AF%B8%EA%B5%AD
미국에 오래 산 친척이 있어서 이야기 해보면 링크의 댓글처럼 재산 상관없이 결혼을 하는 분위기였습니다.
하우두유두
19/04/15 22:51
수정 아이콘
뉴욕근처 사는 친구 왈 월급의 1/3이 생활비 1/3이 월세 1/3을 저축한다더군요
반다비07
19/04/15 22:56
수정 아이콘
세금, 월세 같은거 고려하면 우리나라보다 딱히 더 잘벌지는 않은것 같기는 한데...
정지연
19/04/15 23:00
수정 아이콘
일본의 경우는 월세 아님 자가이고 대개 결혼할때는 월세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 비용도 거의 월급 반정도도 하는거 같더라고요.. 도쿄의 약간 외곽 정도 되는데면 방 2개있는데가 15~20만엔쯤 하는듯해요..
정규직은 회사에서 월세지원도 해준다고 하는데 요즘은 일본도 비정규직이 많아서 월세가 큰 부담이기도 하죠..
어찌보면 역으로 다들 월세로 시작하니까 결혼을 하는데 부담이 덜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모아놓은 돈이 필요가 없으니 어차피 나가야 할 월세면 결혼이나 동거하는게 더 낫다는 생각이 들듯합니다..
19/04/15 23:02
수정 아이콘
일본도 도심 주변이면 당연히 토나오게 비싸고 회사에서 교통비가 나오기때문에 적당히 타협봐서 사는 편입니다. 그래서 통근지옥철이 심하기도 하고요.

한국과 다른점은 한국은 집값 자체가 뛰는 집테크가 있으니 자가주택이 투자자산의 역할도 하는데 일본은 집테크가 거의 안되고 감가상각만 존재합니다.
그래서 그냥 집 안사고 평생 세들어 사는 사람 비중이 꽤 높습니다. 그러다보니 일본도 수입의 꽤 큰 비중이 집세로 나갑니다.
도들도들
19/04/16 01:50
수정 아이콘
미국은 지역마다 편차가 극심하고, 영국을 제외한 유럽은 비교적 주거비가 저렴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독일이나 오스트리아는 주거비가 많이 낮고 안정되어 있기로 유명했는데, 최근(5~10년) 들어 대도시 중심으로 급등하는 추세라고 하죠.
19/04/16 11:06
수정 아이콘
대도시 기준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딱히 비싼지 모르겠습니다.
평균적인 가정에서 자란 남녀가 결혼적령기에 론 없이 통근이 원활한 동네에 자리잡는 건 어느 나라나 힘들 것 같은데...
어릴 때 풍족하게 자라서 그런가 아예 내가 손해보거나 빚지는 것 자체를 고려 안하고 내맘대로 살거야 해서 결혼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 듯..
리버풀EPL우승
19/04/17 16:53
수정 아이콘
집을 사지않고 월세를 내어서 그렇지 도심은 훨씬 비싸다고 생각합니다.
작년에 샌프란 출장갔을때 소살리토 근처 주택이 한 채에 백억이란 말듣고 우리나라 집값이 비싼게 아니구나 싶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2429 [질문] 핸드폰 구매질문드립니다. (아이폰 XS max 256G) [3] 출근하기싫다4124 19/04/17 4124
132428 [질문] 중고자동차 매매 관련 질문(사기인지?) [4] 지미파팍3191 19/04/17 3191
132427 [질문] 차량수리관련 질문입니다. [5] 보아남편3116 19/04/17 3116
132426 [질문] 컴퓨터 견적 확인 부탁드려요 [3] 그리드3698 19/04/17 3698
132425 [질문] 바버샵 이용하시거나 추천해주실 분 계십니까 [2] RENTON2905 19/04/17 2905
132424 [질문] 하반기에 전세 마감이라 이사를 준비해야하는데 어떻게 대비해야할까요? [1] 김철(34세,무좀)2999 19/04/17 2999
132423 [질문] 카시트 장착 잘된건가요? [10] 막나가자4008 19/04/17 4008
132422 [질문] 자급제 갤럭시폰은 어떻게 사는게 제일싼가요? [8] 여자친구3505 19/04/17 3505
132421 [질문] 태블렛이 안열려요 [5] 밀물썰물3684 19/04/17 3684
132420 [질문] 과대평가,과소평가 받았다고 여기는 감독이 있나요? [7] chldkrdmlwodkd4145 19/04/17 4145
132419 [질문] 허리디스크 걸려보신분 있나요? [12] poocang3461 19/04/17 3461
132418 [질문] 만화책 질문(고전?) [2] 항즐이3241 19/04/17 3241
132417 [질문] 다이어트 후 늘어진 피부 해결법은? [7] 랜슬롯4343 19/04/17 4343
132416 [질문] [헌법] 면책특권/불소추특권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4] 개망이3608 19/04/17 3608
132415 [질문] 엔터테인먼트 계약금의 위약 배상 한도는 몇 배일까요? [2] MC_윤선생3053 19/04/17 3053
132414 [질문] 011번호이동 혜택질문입니다 [1] 조현2708 19/04/17 2708
132413 [질문] 세부에서 택시금액 300페소를 300달러를 냈는데 방법이 없을까요? [11] 캠릿브지대핳생4384 19/04/16 4384
132412 [질문] 이런 기부도 착한 기부일까요? [9] bhsdp3509 19/04/16 3509
132411 [질문] 퇴사 및 이직 질문 드립니다 [7] Eulbsyar3579 19/04/16 3579
132410 [질문] [질문] 애견 팬션에서 발생한 일, 어떤 처벌 가능한가요? [5] 삭제됨2959 19/04/16 2959
132409 [질문] 세탁실에서 갑자기 하수구냄새가 나기 시작합니다 [6] 청자켓6485 19/04/16 6485
132408 [질문] GTX 1050으로 왠만한 게임은 돌릴수있을까요? [12] 하나의꿈10695 19/04/16 10695
132407 [질문] 근현대사 인물중 봄과 연관된 인물 [6] 따루라라랑3758 19/04/16 375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