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4/09 00:07:32
Name 개망이
Subject [질문] 헌법-기판력/기속력 한 문제만 질문 드립니다!
기판력-재판이 확정되면 동일한 사항에 대해 모순되는 주장이나 이에 반하는 주장을 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며 법원 역시 일사부재리에 따라 모순되는 판단을 내릴 수 없음.
기속력-재결의 취지에 따라 행동할 의무를 발생시키는 효과
        
이렇게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래 문장이 잘 이해가 안 되네요.ㅜㅜ
'헌법재판소의 합헌결정은 기판력은 있지만, 기속력은 인정되지 않아서 다른 사건에서 다시 위헌제청이 가능하다.'
기판력은 동일한 사항에 대한 것만 인정되므로 기판력이 있더라도 다른 사건에서 다시 위헌제청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했는데
기속력이 인정되지 않아 위헌제청이 가능하다는 말은 무슨 뜻인가요?
위헌법률심판의 위헌결정은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모두를 기속하지만, 합헌결정은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모두를 기속하지 않아, 헌법재판소가 재결의 취지에 구애받지 않고, 그래서 새로이 위헌제청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면 되는 건가요?

공부 중이라 바로바로 답변을 달 수 없을 것 같아 미리 답변 주신 분들께 감사의 말씀 남깁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도들도들
19/04/09 01:03
수정 아이콘
이해하신 내용이 맞습니다.
예를 들어, 무슨법 제1조에 관해 합헌결정이 났습니다.
제청법원이 곧바로 이에 불복해서 다시 위헌제청을 할 수 없는 건 기판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나중에 무슨법 제1조가 다른 사건 다른 재판에서 문제됐을 때 법원이 다시 위헌제청을 할 수 있는 건 기속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개망이
19/04/09 01:41
수정 아이콘
대충은 제대로 이해한 건가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19/04/09 01:03
수정 아이콘
법원의 위헌제청에 따라 헌법재판소가 합헌결정을 내린 경우 제청한 법원은 합헌결정에 반하는 판결을 내릴 수 없는데 이는 기속력의 효과가 아니라 헌법 제107조 제1항의 효력으로 봅니다.

[제107조 ①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는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된 경우에는 법원은 헌법재판소에 제청하여 그 심판에 의하여 재판한다.]
개망이
19/04/09 01:2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죄송하지만 잘 이해가 안 가는 게, 말씀하신 제107조 1항은 기속력과 관련이 없나요?
또 '기속력이 없어서 다시 위헌제청이 가능하다'는 명확히 어떤 뜻일까요? 제가 이해한 게 틀렸을까요?
19/04/09 01:36
수정 아이콘
헌법재판소법에서는 위헌법률심판의 경우 위헌결정에 대한 기속력만 규정되어 있습니다.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1항)
[제47조(위헌결정의 효력) ① 법률의 위헌결정은 법원과 그 밖의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를 기속(羈束)한다.]

그러므로 위헌제청한 법원은 헌법재판소에서 합헌결정을 내린 경우, 그 합헌결정에 기속력이 있어서가 아니라 헌법 제107조 제1항의 규정이 있기 때문에 합헌결정에 의하여 재판해야 합니다.

그런데 헌법 제107조 제1항은 헌법재판소에 제청한 그 법원만 그 위헌법률심판에 의하여 재판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그 외에는 다시 위헌제청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개망이
19/04/09 01:41
수정 아이콘
아~ 위헌결정은 기속력이 있고, 합헌결정은 기속력이 아니라 헌법 제107조 제1항에 의해 제청한 당해 법원만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후속 조치를 취하여야 하고, 다른 사유로는 다시 제청이 가능한 거라고 이해하면 되겠죠? 정말 감사드립니다~!ㅠㅠ
죄송하지만 하나만 더 여쭙자면, 위헌결정의 기속력이 영향을 미친다는 부분은 헌법재판소가 위헌 결정을 내리면 다른 법원들이 전부 이에 따라 판단내려야 한다고 이해하면 되는 걸까요? 이 부분이 기판력이랑 조금 헷갈려서요~!
다시 한 번 정말 감사드립니다.
19/04/09 12:18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 말하자면 기판력은 재판상의 일사부재리 원칙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어떠한 판결이 확정되어 기판력이 생기면 동일한 소송물에 대해서는 후소법원이 모순된 판결을 할 수 없습니다.

기속력은 판결의 내용에 구속시키는 힘을 말합니다. 기속력의 범위는 각각의 쟁송수단별로 개별 법령에 규정되어 있는데, 위헌법률심판의 경우는 헌법재판소법에 규정되어 있고죠. 그리고 위헌결정은 법원 뿐만 라니라 국가기관과 지자체에도 기속력이 생깁니다. 따라서 국가기관은 기속력 때문에 위헌결정에 불복할 수 없고 그대로 따라야 합니다.

간단정리: 기판력 = 재판상 일사부재리, 기속력: 판결의 내용에 구속되게 하는 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2172 [질문] 워터픽vs치간칫솔 어떤게 효과적인가요? [6] AKbizs3825 19/04/09 3825
132171 [질문] 금융 공기업의 이전 여부 의사 결정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2] mbily2326 19/04/09 2326
132170 [질문] 간단한 엑셀 질문입니다. [5] 할부지상어2534 19/04/09 2534
132169 [질문] 서울에서 대구스타일 막창 먹을수 있는 곳 있나요? [8] 생선가게 고양이3067 19/04/09 3067
132168 [질문] 알리 익스프레스 제품 배송 관련 질문 [14] Love.of.Tears.3517 19/04/09 3517
132167 [질문] 오늘 새벽 아침 오전에 오후 비소식이 예보있었나요? [24] 조말론4368 19/04/09 4368
132166 [질문] [LOL] 이 영상에서 루난이 왜 멀리 있는 대상에게 적중 됐는지 궁금합니다. [6] 미야와키 사딸라3841 19/04/09 3841
132165 [질문] (lol) 또바나노잼톤14시즌 vs 라인스왑향로메타17시즌 어느 시즌을 더 노잼으로 보시나요? [26] 마빠이4222 19/04/09 4222
132164 [질문] 청첩장 질문입니다. [4] 비오는거리3128 19/04/09 3128
132163 [질문] [APEX]에이펙스 핵 체감 어떠신가요 [3] 미야자키 사쿠라2884 19/04/09 2884
132162 [질문] 소방관 국가직화가 더 좋은 건가요? [4] OnlyJustForYou3436 19/04/09 3436
132161 [질문] 2045년 즘에 대한 소설이나 책 있을가요? [5] 김정각2675 19/04/09 2675
132160 [질문] 음식물 분쇄기 어떤가요? [15] possible6151 19/04/09 6151
132159 [질문] 통신비 할인되는 신용카드는 대리점에 가야 발급가능한가요? [9] Robbie3319 19/04/09 3319
132158 [질문] MS워드 화면이 이상합니다. [4] 톨기스3152 19/04/09 3152
132157 [질문] 빨리 마르는 양말이 있나요? [12] 2019LGTwins4878 19/04/09 4878
132156 [질문] 자게에 한국형(korea)라고 계속 글이 올라오는대 무슨 이벤트 있나요? [11] 온리진4854 19/04/09 4854
132154 [질문] 소규모 회사에서 추가적인 업무를 사장이 아닌 중간관리자가 시키는데.. 이걸 그냥 하는게 맞는걸까요? [9] 공업저글링3046 19/04/09 3046
132153 [질문] SNS 차단한다는건 잘 지낼 마음이 없단 거겠죠? [57] 루카쿠20519 19/04/09 20519
132152 [질문] 캡틴 마블 안보고 엔드게임 봐도 될까요? [21] 귀연태연5983 19/04/09 5983
132151 [질문] [lol] 프레이 섬머 복귀 가능성 어떻게 보십니까 [30] 버티면나아지려나4523 19/04/09 4523
132150 [질문] [엑셀 코딩] 조건부로 중복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14] aSlLeR3583 19/04/09 3583
132149 [질문] 미군고어텍스 정품 질문합니다. [4] 보아남편3167 19/04/09 316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