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4/02 19:53:51
Name Alcohol bear
Subject [질문] 플스, 모니터 구매 질문
더쇼, 2k농구를 하기 위한 플스를 사려 합니다.
플스라는 기계를 소유해본적이 없어서 무엇을 구매해야 하는질 모르겠네요...(추가적으로 구매해야 하는 부속품이 있나요?)

덧붙여서 모니터도 바꾸거나 두개 모니터를 사용할 생각인데 추천 부탁 드립니다.
용도는 집에서 가끔하는 야근 1%, 넷플릭스 9%, 게임 99% 입니다..

플쓰가 한 ...40만원 하나요? 모니터는 한 20만원...정도 생각 하고 있습니다!!

아마 이 기계들을 구매하고 다음달에는 컴퓨터 구매 질문을 또 할것 같네요 ㅠㅠ
아아 지름신이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정지연
19/04/02 20: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플스 본체만 사도 바로 게임하는데 지장없습니다.. 혹시 hdmi 케이블이 없으면 그거만 하나 사면 되겠네요
그리고 플스 자체도 네트웍에 연결을 필요로 하니 공유기가 있으면 좋습니다
Alcohol bear
19/04/02 21:05
수정 아이콘
그...패드를 뭔가 좋은걸 산다던가.. 헤드셋을 산다던가.. 그런.......크크...
19/04/02 20:42
수정 아이콘
도합 109%의 삶을 사는 알콜 비어상을 위해 답을 달아보자면

진짜 가볍게 하시려면 플스 슬림 + PC 모니터 쓰시면 됩니다.

근데 개인적으로 정말 짱짱한 화질로 그리스 탬플러들 뚝배기 깨고 다니다보니 (어크 오디세이)

플스 프로 + SSD 하드 + 4K HDR TV가 최고인 것 같더라구요...

우선 플스 프로는 정가가 498000원 인데 45만원 선이면 구입하는 것 같고
SSD는 10만원 잡으시면 됩니다.
넉넉하게 1TB 산다면 플스+SSD로는 60만원

TV는 HDR되는 UHD 거거익선으로 사시면 됩니다...
Alcohol bear
19/04/02 21:06
수정 아이콘
아 109%..제가 문과라..
4k hdr 모니터는 40~60대군요... 두달에 걸쳐서 사야하나..
그럼 컴퓨터가 뒤로 가는데 ㅠㅠ
19/04/02 23:29
수정 아이콘
HDR은 화면이 제대로 나오려면 반드시 디스플레이 자체의 밝기가 높아야 하고, 제대로 된 로컬디밍이 필수적으로 있어야 합니다. 풀스펙 HDR이라고 하려면 최소한 10,000 nits(cd/㎡) 정도의 밝기와 완전한 로컬디밍 그리고 12 bit color depth 이렇게 세가지 요소가 필수적인데, 이 정도 스펙을 갖춘 디스플레이는 아직 양산된 것이 없습니다. 현재 최고스펙의 양산 TV는 4,000 nits에 풀 어레이 로컬디밍, 10 bit 정도이고(삼성 Q900R 시리즈 75/85", Q950R 시리즈 75"/82" 등), 이런건 가격이 천만원대입니다.

그나마 봐줄만한 HDR의 최소치는 최대밝기 1,000 nits와 풀 어레이 로컬디밍부터라고 보시면 되는데(엣지 기반의 로컬디밍은 예외 없이 상태가 안 좋음), TV 쪽에는 비교적 저렴한 모델 중에서도 밝기 자체는 이 정도가 나오는 모델들이 꽤 있습니다만(50" 이하 소형에서는 100만원 아래에서도 이 정도 최대밝기가 나오는 모델들이 있음), FALD는 보통 상급 모델에만 있습니다. OLED는 디밍쪽에선 당연히 절대적으로 유리하지만 대신에 깡밝기가 잘 안나와서 깡밝기가 높은 FALD 디스플레이에 비하면 HDR 품질이 좀 쳐집니다.

모니터 쪽에선 1,000 nits 밝기부터가 아직까진 약간 특수스펙에 속해서, 제가 아는 FALD이 되는 최대밝기 1,000 nits 모니터는 Dell UP2718Q, ASUS PA32UC, ASUS PG27UQ, Acer Predator X27 뿐이고(좀 더 있겠지만), 그나마도 앞에 2개는 게임용이 아니고, 뒤에 2개는 게임용이긴 한데 PC게임용에 가깝습니다. 모니터 쪽에선 HDR이라고 하는 것들이 대부분 400 nits에 글로벌디밍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런 모니터들은 단순히 HDR 신호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 뿐이고 실제 화면은 영 아닙니다. 최대밝기 1,000 nits 짜리들도 평소 밝기나 전체화면 밝기가 밝은 TV에 비하면 어둡다는 문제도 있고요.

어중간한 HDR 디스플레이들은 말만 HDR이지 실제 화면상으로는 별 차이가 없기 때문에 별로 의미가 없습니다. 그리고 콘솔과 PC 멀티로 나오는 게임은 어지간하면 PC로 하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세키로처럼 콘솔판을 기준으로 그래픽을 하향평준화 시킨 게임이라면 그래픽은 비슷하고 프레임레이트와 인풋랙만 두어배 차이가 나는 정도입니다만, 보편적인 게임들은 고사양 PC 쪽의 프레임레이트와 인풋랙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그래픽도 뚜렷하게 우수하고, 로딩 속도 역시 똑같은 SSD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차이가 적은 게임에서 보통 2배 수준의 차이가 나며, 차이가 심한 게임에서는 10-20배씩도 차이가 납니다. 콘솔판을 하는 것이 나은 예외적 경우로는 콘솔쪽 온라인 유저수가 많은 게임(2K 농구도 아마 그럴텐데)의 온라인 플레이를 하려는 경우, PC쪽에 치터가 넘쳐나는 게임의 온라인 플레이를 하려는 경우, PC 이식이 특출나게 개떡같이 된 경우(원체 차이가 많이 나다보니 보통 개떡같이 된 것으로는 부족) 뿐입니다.
Alcohol bear
19/04/02 23:34
수정 아이콘
음...더쇼를 즐기려면..플쓰가..2K농구를 즐기려면 플쓰가...
플레이를 안해도 플쓰가....크크..ㅠㅠ
몽키매직
19/04/03 08: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HDR 의 색 심도는 풀스펙이 없습니다. 현재 표준은 10-bit 이고, 차후 12, 14, 16-bit 도 계획중인데 이름은 다 HDR 이에요. 현재 12-bit 는 소스도 없고 제대로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도 없고, HDR 의 최종스펙도 아닙니다. 그리고 밝기 기준은 모니터 기준 1000nit, TV 기준 4000nit 입니다.

애초에 HDR 이라는 개념이 나온 것이 8-bit 초과 dynamic range 를 일컫는 거라서 뭐가 진짜 HDR 이다 이런 말을 하는 것 자체가 이상한 말입니다. 정의상 10, 12, 14, 16-bit, 이상 전부 HDR 이고 이 중에 '진짜 HDR', 'HDR 풀스펙' 같은 건 없어요. 정의상으로 무한대 색 심도까지도 HDR 이기 때문에. 초창기 HDR 용어의 범위가 넓어서 현재는 HDR10 이런 식으로 HDR 뒤에 색심도를 표기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고, 현재 표준은 HDR10 이고, 밝기 기준도 거기에 맞춰져 있어요. HDR12 는 아직 준비도 안되었고 소스도 없고 아무것도 없는 상태이고, 이게 최종 정착지도 아닙니다.
19/04/03 13:29
수정 아이콘
적어놓으신 내용은 모르는 것이 아니고, 풀스펙이라는건 기본적으로는 어느 규격에 따른 스펙보다는 진짜배기라는 취지에서 한 이야기입니다만, 적어놓은 10,000 nits나 12 bit 같은 숫자 자체는 Dolby Vision을 기준으로 하는 이야기입니다. 지금이야 영화들이 주로 4,000 nits 혹은 1,000 nits를 기준으로 마스터링 되지만, 그거야 마스터링할 때 쓰이는 디스플레이부터가 아직까지 스펙이 이런 것들밖에 없으니까 그런 것 뿐이고, 앞으로는 10,000 nits로 넘어갈겁니다.
https://pro.sony/ue_US/products/broadcastpromonitors/bvm-x300-v2#ProductSpecificationsBlock-bvm-x300-v2
https://www.dolby.com/us/en/professional/cinema/products/prm-4220.html
http://flandersscientific.com/XM310K/tech-specs.php

color depth의 경우 2010년대 초반부터 카메라 내부 16 bit, 코덱 단계에서 12 bit까지 올라간 상태이고, 요즘엔 아래와 같이 저렴한 카메라들도 12 bit가 가능합니다. 스틸카메라야 일반인용 물건들도 요즘엔 대체로 14 bit RAW를 지원하는 상태고요.
https://www.blackmagicdesign.com/products/blackmagicpocketcinemacamera/techspecs/W-CIN-12
몽키매직
19/04/03 13: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단 돌비 비전 기준이 현재 업계에서 취급하는 표준에서 너무 동 떨어져 있어서 까이기도 하거니와 지금 나오는 HDR 앞으로 올해 나올 HDR 물건들 99% 가 HDR10 을 표준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HDR12 을 '진짜배기'라고 칭하시는 것은 현실과 괴리가 상당합니다. 얼마 없는 HDR12 기준 자료는 어디서 잘 찾아오셨는데, 현실은 HDR10 기준의 물건이 수십배 많이 나와있고 실제로 업계에서는 표준입니다. (중간에 댓글도 방어적인 댓글에서 수정하셨네요.) 현재 HDR 이라고 말하면 12-bit 를 지칭한다고 생각하는 업계종사자는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12-bit 는 2-3년 후에나 표준이 될 거고 이런 글에 HDR 12-bit 댓글을 달 이유도 없습니다.

UHD 표준 이야기 하는데 와서 '8k UHD 표준 기준은 이겁니다' 라고 말씀하시는 느낌이에요. 현시점에서 UHD 이야기하면 4k 이야기고, HDR 이야기하면 HDR10 이야기입니다.
19/04/03 13:49
수정 아이콘
애초부터 양산된 것이 없다고 언급했을텐데요.
몽키매직
19/04/03 13:50
수정 아이콘
이쯤까지만 하겠습니다.
19/04/03 09:01
수정 아이콘
어후
그냥 저는 적당한? 55 ~ 65인치 삼성 or LG 티비 8000번대 (HDR에 10억 color 지원) 정도면 짱짱짱짱하다 라고 생각했는데
이쪽 세계 단어들이 무섭네요 흐흐
소이밀크러버
19/04/02 21:31
수정 아이콘
플스사고 모니터사고 스피커만 사시면 됩니다.
스피커는 일반적인 스피커의 단자가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그런 스피커를 쓰신다면 USB dac를 따로 사셔야합니다.
아니면 USB단자 스피커를 사시면 되구요.

플스는 블루투스 헤드셋이 따로 있고(CUHYA-0080) 일반 블투는 연결 안 됩니다.
블투 아닌 이어폰이나 헤드폰은 패드에 연결해서 사용가능합니다.

패드는 따로 사면 더 좋긴한데 굳이 따로 사는 사람은 찾기 힘듭니다. 워낙 가성비가 떨어져서...

HDR은 굳이 고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Alcohol bear
19/04/02 22:28
수정 아이콘
플 모 스!!!
고추냉이
19/04/02 21:53
수정 아이콘
플스 4k는 짭4k라 애초에 tv구입 계획이 있는 게 아니시면 그냥 fhd모니터 쓰셔도 됩니다. 저도 4k hdr모니터에 플스 물려서 쓰지만 갓오브워 같은 겜은 프레임때문에라도 fhd로 돌렸습니다. 다만 현시점에서 새로 fhd모니터를 사기가 살짝 애매해서 문제죠. 현재 쓰시는 모니터가 뭔지 몰라서 답변드리기 애매하지만 사이즈가 너무 작지 않다면 그걸로도 충분할겁니다. 그리고 tv가 아닌 모니터에 물리실 경우 스피커 따로 달아주셔야 합니다.tv구매계획이시면 ISUN님 말씀대로 구매하시면 되고요. HDMI케이블은 플스 구성물품에 포함되어있을겁니다.
Alcohol bear
19/04/02 22:28
수정 아이콘
27mp35라는 모니터쓰고있는데 모니터가 하나 더 있으면 좋겠다 싶어서요 하하..
19/04/03 04:24
수정 아이콘
제가 처음에는 32인치 fhd모니터와 hdmi 연결하고, 기존 pc스피커와 컴퓨터를 직결해서 플스4프로 돌렸습니다. 그 때도 게임하는데 전혀 지장 없었지만, 저가형이라도 tv(삼성 55인치 7시리즈)에 물려보니 이 쪽이 훨씬 만족스럽긴 하네요.

부속품은 취향에 따라 수직스탠드나 추가 패드 정도만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8947 [질문] 게임 선택 조언 구합니다. [12] 미스터콩밥왕5617 20/10/02 5617
148946 [질문] 제주도 저녁 스쿠터는 많이 위험할까요? [4] 박근혜5588 20/10/02 5588
148945 [질문] 잇몸 통증이 오래가는데 진통제 먹어도 되는걸까요? [2] 삭제됨5766 20/10/02 5766
148944 [질문] PC 스피커 2개를 각각 좌/우로 할당할 수 있을까요? [2] Googlo5863 20/10/02 5863
148943 [질문] 친구끼리 돈 거래 절대 X? [29] 영혼7765 20/10/02 7765
148942 [질문] 던파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6] 마제스티5869 20/10/02 5869
148941 [질문] 과연 스위치 프로가 나올까요? [8] Everlas5852 20/10/02 5852
148940 [질문] [디아블로3]시즌 정렙 몇까지 찍어보셨나요? [5] 도뿔이6853 20/10/02 6853
148939 [질문] ea play 구독, feat 타이탄폴2 [1] theo5956 20/10/02 5956
148938 [질문] 스마트폰 발열 문제 해결 문의 드립니다. [6] 삭제됨5491 20/10/02 5491
148937 [질문] 신형k5타이어 교환질문입니다 사이즈 [2] 마제스티6950 20/10/02 6950
148936 [질문] 주식을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6] 정직한사람6465 20/10/02 6465
148935 [질문] 구형티비에 안드로이드 박스 연결 가능할까요? [5] 우리은하5858 20/10/02 5858
148934 [질문] 듀오백 G1 Pro 게이밍 체어 쓰시는 분 있나요? 크리스 프랫5700 20/10/02 5700
148933 [질문] 닌텐도 스위치 구매 질문 [3] 그린티미스트8158 20/10/02 8158
148932 [질문] 첫차 구입에 관해서 문의드립니다 [7] SlaSh.5306 20/10/02 5306
148931 [질문] 신혼부부 집 장만 계획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10] SlaSh.6892 20/10/02 6892
148930 [질문] 버티컬 마우스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1] 니나노나6037 20/10/02 6037
148929 [질문] 컴퓨터 부팅이 안되네요.. [4] StondColdSaidSo6291 20/10/02 6291
148928 [질문] 아마존 돈 계속 자동청구되시는 분들 계시나요? [7] 세이밥누님5620 20/10/02 5620
148927 [질문] 여자친구와 복장문제... [52] 삭제됨13176 20/10/02 13176
148926 [질문] Ps4 게임 구매 한우리 현금vs플레이스테이션스토어추석할인 [8] 수타군7378 20/10/02 7378
148925 [질문] 인공지능 바둑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강미나5677 20/10/01 56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