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2/26 19:32:29
Name 동훈쌤
Subject [질문] 재테크 잘 하고 있는거 맞는지 여쭤보고싶어요
30대 초반이고 직장 5년차입니다

월 수입은 세후 통장에 찍히는 금액이 270정도 되는데요

현재 연금저축에 30 은퇴까지 장기저축에 25 1년짜리 단기적금으로 20 주택청약에 20 넣고있어요

카드값 제외하고 월세 보험 공과금 이런거 해서 고정으로 45정도 나가구요

카드값에 주유비 핸드폰 포함되긴 하는데 거기에 90씩 나간다고 보면

40정도 남는데 지금 단기랑 장기를 들어놨으니 40을 중기로 3~5년정도로 적금같은거 들려고하는데

괜찮게 생각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1년 단기적금 만기되면 그냥 cma통장개설해서 넣어놓으면 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otorious
19/02/26 19:46
수정 아이콘
저축이라는게 사실 ... 은행에 넣어놓으면 돈 까먹다고 보시면 됩니다. 재테크 관점으로는. 차라리 배당주를 꾸준히 사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은행 만기이자 아무리 잘쳐줘도 뻔할뻔자인데 낙폭이 심하지 않은 배당주에 꾸준히 저금하듯이 부으시고 배당 타먹으시는게 더 좋을겁니다. 그리고 돈 모아서 부동산 사시고..
동훈쌤
19/02/26 20:02
수정 아이콘
이렇게 은행에만 넣는게 주식은 절대 안된다고 귀에 박히게 들어서요 안전할까요?
19/02/26 19:51
수정 아이콘
월 수입 대비 연금저축과 장기저축이 많다고 보여집니다. 이제 와서 해지는 안되겠지만..
cma 금리는 잘 모르겠는데 적금 만기되면 예금 넣으시면 됩니다. 저도 최근에 3.3% 예금 넣은 적이 있네요.
그리고 말씀하신 대로 40을 중기로 적금을 드는 방법도 괜찮습니다만. 풍차돌리기식 예금도 괜찮습니다. 적금은 중간에 해지를 못하기 때문에...
풍차돌리식은 월마다 여유 자금을 예금 넣는 것이고 1년에 12회 이상, 1년 만기된거 재예치하는 식으로 합니다.
동훈쌤
19/02/26 20:06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은 연말정산때 75만원 토해내봐서 두려워서 들었어요 ㅠㅠ 동일한 40으로 1년씩 풍차돌리기랑 그냥 3년~5년 적금이랑 동일기간으로 봤을때는 어떤거가 유리할까요?
19/02/26 20:20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로 연말정산 한도가 연금저축 400만원, irp퇴직연금이 300만원(연금저축 0원일시 700만원까지) 입니다.
회사에서 국민연금 외에 의무적으로 개인연금에 가입되어 있으실 거고 회사에서 같은 금액을 불입하여 줍니다.
소득에 따라 다르겠지만 예를 들어 본인 5만 + 회사 5만이면 10만원 이고, 1년시 120만원입니다.
연말정산 한도를 채우기 위해서는 (400만원-120만원)/12 = 23만원 이면 한도 초과이네요...확인해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풍차돌리기와 적금은 금액적으로 비교는 별 의미가 없으며, 적금 대비 해지가 자유롭습니다.(1개월된거부터 해지하면 되니)
은행금리가 물가상승률보다 낮아 의미 없다고 볼 수도 있는데, 돈을 모으고 저축하는 습관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주식은 안하던 사람이 하면 절대 안됩니다. 흐흐
부동산은 당장에 투자할 목돈이 없으시니, 나중에 실거주 목적으로 대출받아 하시면 되지 않을까 싶어요.
동훈쌤
19/02/26 20:43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확인한번 해봐야겠네요 그리고 예금보다는 적금이 끌리는게 왠지 적금은 퀘스트를 깨는 느낌이 들어서요 기다리는맛도 있고 크크
부동산은 말씀하신대로 대출받아서 실거주할거 사려고합니다 이렇게 말씀해주시니까 뭔가 좀 뻥 뚫리는 느낌이네요 감사합니다
아스날
19/02/26 20:05
수정 아이콘
결혼계획 있으시면 연금저축, 장기저축 비중이 넘 높은것같네요..
동훈쌤
19/02/26 20:07
수정 아이콘
저도 좀 과하지 않나?라고 생각하는데 이미 1년이상 되어버려서 되돌릴수가 없게되었네요...
아스날
19/02/26 20:37
수정 아이콘
납입금액을 줄일수는 없나요?
저도 결혼하면서 해지한적이 있어서요.
보통 대출금리>저축상품이기 때문에 연금이나 장기성 저축을 비추합니다.
동훈쌤
19/02/26 20:44
수정 아이콘
납입금액 줄일 수 있다고 들었던거같아요 그런데 연말정산혜택때문에 34로 넣는거였거든요 한도가 초과가 되는지 확인한번 해봐야겠습니다 초과되면 줄이는거로 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19/02/26 20: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연금저축 30 연 360 연말정산용일듯 하네요

안정적인 직장인이고 기혼자이면 추천감이지만, 미혼이라면 글쎄요.

270에서 200적금 이렇게해서 결혼자금!!!을 추천드립니다.


장기저축은 보험인가요?
장기저축보험이면 이또한 사업비떼고, 본전되려면 십년넘을텐데요(본전이요)

1년 단기적금으로 종자돈을 모으시는게 나아보입니다
종자돈 3천 5천 1억 이런식으로요.
동훈쌤
19/02/26 20:47
수정 아이콘
장기저축은 보험은 아니구요 연금공단에서 뭔가 있던데 그냥 그거 빼기 귀찮아서 20씩 넣는거 신청해놓고 잊어버리고 있었거든요
그리고 200적금은 제가 먹는걸 좋아해서 힘들.... 읍읍...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0777 [질문] 게임 회사 경력직 면접 복장 질문 좀 하겠습니다. [9] whatisfoolycooly4437 19/02/27 4437
130776 [질문] 신용카드 어디껄 많이 쓰시나요? [25] SuperBros4920 19/02/27 4920
130775 [질문] 스위치용 2d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8] 귀여운호랑이4167 19/02/27 4167
130774 [질문] 휴대폰 공기계 개통 질문입니다. [1] 그린티미스트2507 19/02/27 2507
130773 [질문] 일본어 질문입니다 [6] 키류3307 19/02/27 3307
130772 [질문] 헬스장에서 신을 신발 질문입니다. [8] 드워프는뚜벅뚜벅3693 19/02/27 3693
130771 [질문] 한쪽귀만 쓰는 믈루투스 이어폰 추천부탁드립니다. [2] 할부지상어2538 19/02/27 2538
130770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 드림미다 [9] 신전부수기2636 19/02/27 2636
130768 [질문] 안드로이드 앱을 만들고 싶은데 공부할만한 책이있나요? [5] 들깨수제비3037 19/02/27 3037
130767 [질문] 레이저제모 기기 차이가 큰가요? [2] 쪼율4951 19/02/27 4951
130766 [질문] 이태원 남자 5ㅡ7명 모임장소질문입니다 [2] 교자만두2589 19/02/27 2589
130765 [질문] 피지알에서 러블리즈 인기가 많은 이유는 뭘까요? [32] 제이홉5860 19/02/27 5860
130764 [질문] 흡연이 음주보다 안좋은건가요? [21] 빵떡유나5109 19/02/27 5109
130763 [질문] 노래를 찾습니다 Everlas2492 19/02/26 2492
130762 [질문] 기차표를 구하려고 하는데요 [4] Serapium2928 19/02/26 2928
130761 [질문] 0.9땡 = 1 질문입니다. [4] 삭제됨3348 19/02/26 3348
130760 [질문] 제주도 이스타항공 자리좀 봐주시겠어요? [11] 유니꽃3100 19/02/26 3100
130759 [질문] 이력서 쓸때 자격증에 운전면허, 단증 씁니까? [13] pk22057 19/02/26 22057
130758 [질문] 지금다니고있는 중소~중견 회사인데 이정도면 어떤가요? [5] 달달합니다3113 19/02/26 3113
130757 [질문] 길고양이가 로드킬이나 사고를 당했다면 해야할 조치 질문 [1] 냉면과열무2897 19/02/26 2897
130756 [질문] 로봇악당이 사용하는 기술 [5] 따루라라랑2187 19/02/26 2187
130755 [삭제예정] 아이 둘 이상 키우려면 수입이 어느 정도 되야 할까요? [25] 비싼치킨5403 19/02/26 5403
130754 [질문] 괜찮은 북디자인 업체 있을까요? [3] 마리아 호아키나2095 19/02/26 20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