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2/24 22:58:00
Name matthew
Subject [질문] 한 사람의 경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기는 몇 살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물론 직종이나 성별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가정하에...

개인적인 혹은 주변의 경험을 바탕으로 했을 때 이 시기가 가장 중요하다 혹은 이때 가장 터닝포인트 적인 결정들을 많이 한다(했다) 라고 여겨지는 시기가 있으신가요?

있다면 몇 살 쯤인거 같으신지 (예: 40-45세, 20-25세, 기타 등등) 그리고 그때로 돌아간다면/ 그때로 시간을 앞당길 수 있다면 자기 자신에게 어떤 말을 해주고 싶은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kinnerRules
19/02/24 23:07
수정 아이콘
대학 졸업하고 첫 2년이요. 돌아가고 싶네요.
선택의 연속인대 그 선택이 지나서 정말 중요했던 선택같이 느껴지네요.
노지선
19/02/24 23:13
수정 아이콘
대학 졸업하고 첫 직장을 신중하게 고를껄 지금도 아쉬워 하고 있습니다.
마제스티
19/02/24 23: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인마다 나이가 다르겠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첫취업을 하고 적응하는 몇달 입니다.
나이로는 28살이었네요
Eulbsyar
19/02/24 23:26
수정 아이콘
저는 거의 학벌이 커리어를 가르는 직종이라 중고등학교 때가 중요하지 않나 싶네요.

학벌이 딸려서 개고생중입니다.
19/02/24 23:39
수정 아이콘
이러니 저러니 해도 대학 들어가기 전이라고 봅니다..
다른 나라는 모르겠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그 시기에 왠만한 미래를 결정짓는다고 봐서...
19/02/24 23:48
수정 아이콘
정자일때요... 는 농담이고

전 대학생활을 어떻게보내느냐가 가장 크다고 봅니다
연어초밥
19/02/24 23:50
수정 아이콘
대학 진학전 >>> 대학 졸업 후(취업 혹은 사업 등 일하기 시작) = 결혼을 누구랑 하느냐 > 남자라면 전역즈음.
졸업 후 취업도 영향력이 정말 크긴한데.. 애초에 대학 진학 자체가 넘사로 영향력이 크지요.
생각해보니 결혼도 인생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람마다 좀 순위가 다를 순 있겠네요. 저는 이정도입니다.
칼라미티
19/02/24 23:55
수정 아이콘
졸업 후요. 좀 많이 잘못된 결정을 했다가 그만 크크...
솔로14년차
19/02/24 23:58
수정 아이콘
중3,고1,고2요. 막상 저는 그 당시보다 그 이후에 후회할만한 선택을 잔뜩 했지만, 일반적으로는 저 시기라고 봅니다.
19/02/25 00:11
수정 아이콘
모든 나이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특히 중요한 나이 같은 건 없어요.
속도는 제각기 다른 법이니까.
저는 매 순간 최선을 다했고, 느리지만 올바른 결정을 내렸기에 후회는 없네요.
시간을 앞당기고 싶지 않습니다. 지금이 제일 좋아요.
레필리아
19/02/25 00:21
수정 아이콘
어떤 소속을 가지는 시점이 항상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릴수록 그 중요성이 높아진다고 생각하구요.
즉, 고교입학 > 대학입학 > 입사 순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결혼은 좀 특별한데, 입사 후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이 결혼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그 이전 시점과의 비교는 좀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돈퍼니
19/02/25 01:05
수정 아이콘
1차전 대학입시 2차전 취업
저격수
19/02/25 01:21
수정 아이콘
초등학교 때요.
19/02/25 01:29
수정 아이콘
답변 모두 감사드립니다.
30대 40대 이후를 적어주시는 분이 적어서 솔직히 조금 놀랐습니다.
졸린주술사
19/02/25 01:44
수정 아이콘
사회적으로 아주 성공한 분들(예를 들면 대통령 등)을 제외하면 누구나 현실의 벽에 부딪쳐서 이상이 꺾이는 시기가 있고 각자 그 시기들을 다들 지적해 주신 것 같네요. 40대도 매우 중요하지만 그때까지 이상을 간직할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라 터닝포인트로 지적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19/02/25 02: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박사같이 학업을 오래하는 경우야 박사-포닥(30초중반) 시기가 가장 중요하지만 그 이전이라면 입시-대학생활(20대 초중반)이 가장 중요하겠죠. 한국 특성상 저기서 고착되면 빠져나오기가 너무 힘든지라...
Summer Pockets
19/02/25 02:36
수정 아이콘
고2요.
어차피 이과쪽 일할꺼니까 이과 가라고 하고싶네요.
In The Long Run
19/02/25 04:49
수정 아이콘
출생 후 몇년간을 말씀하시는 분은 아무도 없네요. 돈 많고 화목한 가정에서 사랑을 듬뿍 주는 부모님을 만나는 운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봅니다.
EPerShare
19/02/25 07:40
수정 아이콘
출생 후 몇 년간은 기억을 못하다보니 크크
야크모
19/02/25 11:21
수정 아이콘
그건 저희가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니까요.
피카츄 뱃살
19/02/25 11:55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거에 한표합니다
페로몬아돌
19/02/25 07:47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 때 문 이과 선택이겠죠.
완성형폭풍저그
19/02/25 08:54
수정 아이콘
다른부분에서 큰 차이가 없다고 가정하면 대입(전공, 학부)과 첫 직장, 두번째 직장, 결혼까지 4가지가 가장 중요하고 그 외에는 크게 차이가 없다고 봅니다. 결혼은 당연히 우리의 현실에서 일어나는 일은 아니겠지만, 그냥 평범한 회사 평사원으로 일하다가 중소기업 사장 외동딸과 결혼해서 회사 물려받게 되던 친구를 보니 부러워서 넣어봤습니다.
열혈둥이
19/02/25 09:09
수정 아이콘
한사람의 인생이라면 인격이 형성되는 사춘기라고 보고 한 성인의 경력을 놓고보면 첫직장에서 첫이직하는 시점까지가 제일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이후부터는 진짜 엄청난 용기가 있는게 아닌이상은 변화보단 발전뿐이라고 보거든요.
야크모
19/02/25 11:19
수정 아이콘
선택할 수 있는 영역 내에서는 대입과 결혼이라고 봅니다.
안프로
19/02/25 11:53
수정 아이콘
경험입니다
인생 처음으로 3달 이상 경험한 노동의 질...
알바포함입니다
첫노동이 뇌리에 박히는 기간이 3개월정도라 봅니다
특별한 진로목표가 없다고 가정할 경우
앞으로의 진로선택에 상당한 바로미터로 작용하게 됩니다
천한 직업이 없다지만 개개인에게 맞는 수준의 직업은 분명 나뉘어져 있습니다
10만큼 할 수 있는 역량의 사람도 3정도 수준의 일에 적응해버리는 순간
더 나은 역량을 추후에 펼쳐내기 굉장히 어렵습니다
배운게 도둑질이라는 말이 그래서 나오는겁니다 익숙한일
제가 자식 있으면 절대 아무 알바나 하도록 두지 않을것 같습니다
물론 꿈이 명확히 있고 그것에 연관된 일이라 확신한다면 말리지 않겠지만요
피카츄 뱃살
19/02/25 11:56
수정 아이콘
어떤 알바 추천하시나요? 요새 알바자리 알아보는중인데..
피카츄 뱃살
19/02/25 11:56
수정 아이콘
저는 지금인 것 같네요.
쭈꾸미
19/02/25 14:08
수정 아이콘
대다수 노동자의 경우 첫 직장이 중요한데(가령 중소기업vs대기업이나 전문 법인, 하사관vs육해공 사관학교, 생산직vs연구원), 첫 직장은 대학(원)에, 대학은 고등학교 학력에, 고등학교 학력은 중학교 학력에, 중학교 학력은 초등학교 학력에, 초등학교 학력은 초등학교 입학 전 능력에, 초등학교 입학 전 능력은 부모 수준에, 그 부모 수준은 부모의 경력경로에, 부모의 경력경로에서 중요한 첫 직장은 부모의 대학에, ... 부모의 초등학교 입학 전 능력은 (외)조부모의 수준에 달려 있으니 결국 가족, 계급, 세습, 불평등 문제가 나오지 않을 수 없죠
19/02/25 14:20
수정 아이콘
이 댓글에 가장 공감을 하는데요.
첫 직장이 일단 제일 중요합니다. 대다수의 사람의 인생 대부분의 기간이 첫직장 선택에 따라 달려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근데 그 첫 직장의 선택의 폭이란 것이 그 전에 쌓아놨던 발판으로 픽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전 과정 역시 뭐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그래도 제가 사회에 나온지 10년이 넘어서 과거를 돌이켜 보면,
제 인생에 앞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앞으로도 미칠 선택은 첫 직장 선택이었고, (제 전문분야를 정하게 된 선택)
남은 인생도 그 선택의 발판 위에서 제 역량을 계발하고 살아갈 것 같기에 첫 직장 한표입니다.
배주현
19/02/25 15:56
수정 아이콘
첫 직장이라고 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3학년 끝나고 했던 인턴이겠네요. 전문분야 선택부터 졸업후 바로 그 곳으로 취직까지 했으니...
19/02/25 16:45
수정 아이콘
고1 고2 대학을 잘들어가야 한다는거
수타군
19/02/25 16:52
수정 아이콘
대학교 입시와 첫 직장...
첫직장 진짜 중요 합니다.
기록가
19/02/25 17:32
수정 아이콘
저는 첫 직장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0706 [질문] 요코하마,나고야는 볼 게 없나요? [18] 프리템포3194 19/02/25 3194
130705 [질문] 뮤직비디오 중간에 가수 누군지 질문 [2] 공고리1879 19/02/25 1879
130704 [질문] 제품 환불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3] 제이홉1533 19/02/25 1533
130703 [질문] KIRA 키보드 구매해서 사용해보신분 계실까요? [4] 삭제됨2240 19/02/25 2240
130702 [질문] 지구에 구멍을 뚫어서 공을 떨어뜨리면 어떻게 되나요? [21] 고양이맛다시다4672 19/02/25 4672
130701 [질문] 속초를 처음 갑니다. 먹거리 및 여행지 추천? 할만한 곳 있으신가요?? [7] 꿈꾸는사나이3559 19/02/25 3559
130700 [질문] 윈도우10 마우스 클릭 안되는 문제 겪어보신분 계신가요? Rexpieta2814 19/02/25 2814
130699 [질문] 영화 사바하 보신 분들 어떠셨습니까? (댓글 스포) [17] 복슬이남친동동이3613 19/02/25 3613
130698 [질문] 혹시 이런 모델의 게임기획은 된적이 있었나요? [6] AKbizs2679 19/02/25 2679
130697 [질문] 전자렌지에 스테인리스 넣고 돌리는거 위험한가요? [6] will68909 19/02/25 68909
130696 [질문] 장시간 앉아있을 사무실 의자 추천 부탁합니다. [9] 신불해6890 19/02/25 6890
130695 [질문] 1960~70년대 한국과 일본 생활에 대한 서적 추천부탁드립니다. [2] rebel122996 19/02/25 2996
130694 [질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사운드 출력기기 고르는 메뉴가 사라졌나요? 포프의대모험2126 19/02/25 2126
130693 [질문] 박정석 선수는 이제, 아프리카 방송만 하는 건가요? [3] LG의심장박용택3893 19/02/25 3893
130692 [질문] 소개팅녀에게 제 가정상황 오픈을 해야할것같은데.. 고민입니다. [56] 깐따삐야8284 19/02/25 8284
130691 [질문] [롤] 서렌은 룰적으로 금지된건가요? [10] 이호철16670 19/02/25 16670
130690 [질문] 친구 결혼식이있는데 축의금 문제로 고민중입니다 [34] 황제의마린4719 19/02/25 4719
130687 [질문] 액셀 관련 두 가지 질문드립니다. [4] 츠라빈스카야2018 19/02/25 2018
130686 [질문] 콘크리트 철근 피복두께 질문입니다 [5] 회전목마3822 19/02/25 3822
130685 [질문] 연예 게시판 음중 야외무대 글에 대한 질문입니다 [11] Cand2814 19/02/25 2814
130684 [질문] 자동차 과태료 질문.. [7] janyel3081 19/02/25 3081
130683 [질문] [lol] 피지컬이 필요없는 챔프 추천부탁드립니다 [38] 피카츄 뱃살9240 19/02/25 9240
130682 [질문] 갑자기 공인인증서 창이 뜨는데 이유가 뭘까요.. APONO2579 19/02/25 25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