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1/21 13:13:34
Name 아스날
Subject [질문] 와이프 할머니가 돌아가셨는데요..
와이프 친할머니께서 오전에 돌아가셨는데요..

제가 어떻게 해야될지 잘모르겠어서 질문올립니다.

오늘은 칼퇴하고 저녁에 가는걸로 했는데요..

내일은 연차를 써서 장례식장가서 하루종일 도와줘야되는지 아니면 저녁에만 가면되는지 모르겠네요. (회사에서는 공식적인 연차는 안나오고 연차쓰려고 하면 개인연차를 써야됩니다.)

부의금은 얼마정도 내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주의할점 알려점도 알려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회색사과
19/01/21 13:24
수정 아이콘
저희집 사촌 여동생 남편은 나흘[발인날 비가 많이와서 나흘째 모셨스빈다.] 내내 와 있긴 했습니다!!
참고만 하십시오
정지연
19/01/21 13:28
수정 아이콘
외할아버지 돌아가셨을때 제 사촌동생의 남편은 저희랑 같이 끝까지 계속 같이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손녀가 장례식장에 안 와 있는건 생각하기 어렵기 때문에 남편도 같이 있는 경우가 많죠.. 단 어린 아기가 있는 경우는 제외하고요..
조의금은 하지 않습니다.. 조의금이란건 조문객이 내는건데 손녀, 손녀사위는 가족으로 보지 손님으로 보지 않으니까요 물론 조문객처럼 절도 하지 않고 발인하기 전에 제사 지낼때만 절했습니다.
아스날
19/01/21 13:45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사회생활하고 가족관련 장례식은 처음이라..
답변감사합니다.
제46대총리유시민
19/01/21 13:30
수정 아이콘
저같은 경우는 처할머니가 토요일 오전에 돌아가셨습니다.
연락받고 바로 장례식장으로 가서 발인까지 마치고 월요일 저녁에 집으로 왔습니다.
아이가 두돌정도였는데, 첫날은 장례식장과 처가가 근처라 아이때문에 처가에서 자고 새벽에 다시 장례식장으로 갔었고, 둘째날은 아이까지 모두 장례식장에서 잤습니다.
처할머니라고 생각마시고 할머니 장례식장이다 생각하시고 장례를 치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부모님께 연락드려서 부모님도 조문을 오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부의금은 처가쪽에 (사촌)형제들과 금액을 맞추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율곡이이
19/01/21 13: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보통 와이프분은 계속 계셔야 할테고 남편분은 잠깐 잠깐 들리고 발인때 계속 있어주는게 일반적이지 않을까 합니다.
남편분은 부의금은 안 하고 시부모분이나 남편분 형제쪽에서 오면 부의금 내시죠.
19/01/21 13:31
수정 아이콘
와이프와 협의 하세요 근데 손녀 사윈데.. 자리좀 지켜야 하지 않을까요.
더쿤더
19/01/21 13:33
수정 아이콘
저는 처 할머니 돌아가셨을 때 발인까지 계속 있었습니다. 급한일이 있는 경우에 자리 비우는 것은 괜찮은 것 같습니다. 저의 동서들을 보니 바쁜 사람들은 들렀다가 가기도 하고 시간되는 사람들은 발인까지 같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저의 경우는 조의금을 냈습니다. 이거는 윗분이랑 경우가 다른데 보통은 어떻게 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레필리아
19/01/21 13:36
수정 아이콘
일단은 자리 지킨다는 마인드로 가시고, 어른들께서 가보라고 하시면 오시면 되고 아니면 자리지키다 오시는게 현명할 듯 합니다.
그리고 정지연님 말씀처럼 손녀, 손녀사위는 가족이라 부의금 안냅니다.
19/01/21 13:36
수정 아이콘
글에서 잘 안 느껴져서 적는데 본인의 가족이라고 생각하고 행동하시면 됩니다.

본인의 조부모, 외조부모께서 돌아가셔도 손주, 손녀들이 100% 있는게 아니라 다들 자기 사정에 맞추는지라
장손 아니면 크게 뭐라하는 사람 없어서 편한대로 하면 됩니다.(집안마다 다르겠지만요...)
어쨌든 오늘 가셔서 와이프랑 장인어른에게 물어보고 하라는 대로 하는게 제일 순리겠죠.

개인적으로 계속 장례식장에 있을거 아니면 발인날 가는게 본인이 타인에게 비쳐지는 부분에서 제일 나은거 같습니다.
섹시곰팅이
19/01/21 13:38
수정 아이콘
본인 할머니 돌아가셨다고 생각하시고 가세요 이것저것 재지 마시구 마음에서 우러나오는대로 하시면 됩니다.
조지아캔커피
19/01/21 13:3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급한일 없으시면 연차를 쓰더라도 모든일정 다 같이하시는게 좋겠습니다만
못해도 하루정도는 꼬박 있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아스날
19/01/21 13: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단 와이프랑 얘기해보고 가급적이면 연차를 쓰던지해서 계속 있어야겠네요..
그리고 글에는 안적어놨는데 15개월 아기가있고 와이프가 현재 임신중입니다.
곧미남
19/01/21 13:46
수정 아이콘
이건 와이프께서 원하시는대로 하는게 가장 맞을듯 싶네요..
RedDragon
19/01/21 13:48
수정 아이콘
이게 집 by 집 이라... 분위기 보면서 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장례식 손님이 아스날님이나 아스날님 아내분의 지인이 방문할 때만 맞춰 맞이만 해 주시면 되고 하루종일 있을 필요까진 없을듯 합니다.
Blooming
19/01/21 13:53
수정 아이콘
15개월 아이가 있으면 아스날님이 애도 봐야할텐데 장례식장에 계속 있을 필요는 없을것 같구요. 임신중에는 장례식장에 못 앉아있게 하는 풍습이 있어요. 미신이라고는 하지만 혹시라도 임신 중에 전염성 질환 등에 노출될까봐 그러는 것도 있는데, 임신한 와이프분이 계속 장례식장에 계시는것도 그닥 권하고 싶지는 않고, 잠시 앉아 있다 집에 가서 쉬는 식으로 하시는게 나을것 같네요.
사악군
19/01/21 14:17
수정 아이콘
일단 빈소 지키고 있는다 라고 마음먹고 가셔서
그 자리에서 처가댁 어르신들 시키는대로 하시면 됩니다.
네파리안
19/01/21 14:27
수정 아이콘
저희 할머니 돌아가셨을때 사촌형제들 매형이나 형수님이 발인까지 오신분이 없었내요.
근데 케바케라고도 보는게 제친구가 할머니를 정말 좋아했었는데 할머니 장례식 발인을 와이프가 오지 않은걸 아직까지 속에 두고있는걸 봐서
저도 위의 의견과 같이 장례식장에 가서 눈치봐야 할거같고 와이프님이 어떤걸 원할지 들어보시는게 좋을듯
홍다희
19/01/21 14:32
수정 아이콘
저는 끝까지 있었네요. 근데 와이프님이 임신중에 15개월 아기도 있다면 일단 와이프 의견에 따라가는게 옳습니다. 와이프님이 어머니와 통화해서 조율을 하면 될거 같네요.
에릭라멜라
19/01/21 14:39
수정 아이콘
똑같은 상황에서 와이프가 임신 8개월차라 늦게까진 못있었고 저는 계속 있었어요.
장인어른 장모님 모시고 납골당까지 갔었습니다.
이쥴레이
19/01/21 15:27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때 아내는 임신 6개월차인가 그랬고요.

결혼하고, 1년정도때 처 할머니가 돌아가시고 아내가 임신 6개월차였습니다.
회사에 이야기 해서 3일 연차 내고, 장례식장 3일내내 지켰습니다.

아내는 도중에 몸이 무거우니 처가댁 집에 가서 쉬라고 하고요.
발인까지 다하고 했던 기억이 나네요. 저희집 식구들은 오지 말라고 했습니다.

결혼 이후 장인어른이나 장모님, 처형등은 다들 친하나 그외 친척분들은 하나도 제가 모르는 상태라
뻘줌하기는 했지만, 그때 많이 친해진거 같네요. 아내 사촌들이랑도 안면을 트고요.

잠을 못잡고 술을 좀 많이 먹은게 힘들었지만.. 3일 지키는게 나중을 위해서 좋더군요.
19/01/22 02:11
수정 아이콘
협의는 와이프와 장인장모님이 해야합니다. 의견내지마시고 그냥 따르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9185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2076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1516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4506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6354
180565 [질문] 선게 댓글 모바일 질문 [4] 제논1172 25/05/10 1172
180564 [질문] 디딤돌대출 한 달 이상 걸리신 분 계실까요? [10] Aiurr2346 25/05/09 2346
180563 [질문] 바둑을 배울 때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요?? [36] 완성형폭풍저그2840 25/05/09 2840
180562 [질문] 선결제 후 폐업 (휴업?) 대처법 [8] 양상군자3548 25/05/09 3548
180561 [질문] 목포, 야간에 갈 만한 횟집 추천드립니다 [6] 고래가새우를2383 25/05/09 2383
180560 [질문] cpu 쿨러 추천 가능하실까요? [9] 월터화이트1632 25/05/09 1632
180559 [질문] 방송통신대학교 3학년 편입을 해보려합니다 [3] BlueSKY--1944 25/05/09 1944
180558 [질문] 33원정대 pc로 하는데 패드로 하려면 뭐사면 될까요?? [13] 본좌1991 25/05/08 1991
180557 [삭제예정] 카네이션 밤 늦게라도 파는곳이 있을까요 [1] 삭제됨1500 25/05/08 1500
180556 [삭제예정] 원룸 전세보증금을 못받고 있습니다 [1] 카드영수증1821 25/05/08 1821
180555 [질문] 마카오와 홍콩 여행갑니다. 어디를 가서 무엇을 먹으면 좋을까요. [8] 사다드1425 25/05/08 1425
180554 [질문] 현역 병사 대선 투표는 신분증 외에 딱히 준비할 건 없을까요? [11] No.99 AaronJudge1256 25/05/08 1256
180553 [질문] 여기가 클릭이 안됩니다 (해결) [3] brpfebjfi905 25/05/08 905
180552 [질문] 캘린더+노트형으로 여행일정표를 만들고 공유하고 싶습니다. [5] 705 25/05/08 705
180551 [질문] GPT 특유의 말투를 좀 바꿀 수 없을까요? [14] 장마의이름1104 25/05/08 1104
180550 [질문] 신차 구입 견적 평가 부탁드립니다.(패밀리카, 세단, 소나타) [27] 잘생김용현901 25/05/08 901
180549 [삭제예정] (코스트 온라인 판매중인) 아동 자전거 구매 질문 드립니다. [11] ED563 25/05/08 563
180548 [질문] 사업자등록 간이과세vs일반과세 질문입니다. [12] 대고926 25/05/08 9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