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1/14 11:14:38
Name 나가사끼 짬뽕
Subject [질문] 아파트 분양 - 옵션 선택 문제
지금 아파트 청약 당첨되어 계약 예정인데 옵션 선택이 어렵네요. 전용 128㎡으로 큰 평수에 무심코 넣었다가 되어버리는 바람에 고민입니다....ㅠ 생애 첫 아파트라서 고민이 크네요

- 방은 총 4개인데, 침실 2/3번 방을 가벽을 터서 하나로 합치냐 마냐의 문제
  : 방을 합쳐서 하나로 하면 시스템 에어컨이 하나가 덜 들어가서 가격은 좀 내려가는데, 나중에 매매 생각하면 방 4개로 유지하는게 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결정을 못하고 있습니다. 추후에 매매할 때를 생각한다면 방은 그대로 두는게 나을런지요?

- 침실 4에 붙박이장 추가 문제
   : 모델하우스에 시공된 붙박이장을 보면 2개가 들어가 있던데(여닫이 문으로된 붙박이 장 2개니 이걸 4자라 봐야하나요?) 가격은 130만원 정도 합니다. 가격이 비싼거 같아서 나중에 개인적으로 추가해도 130은 안들거 같은데 이걸 굳이 해야하나 고민 중이네요. 그래도 입주 전에 별도로 시간 내지 않아도 된다는 걸 감안하면 저 가격이 합리적인건지...

- 전기쿡탑 선택 여부
  : 가스레인지 대신 시그니처키친 전기레인지가 들어가면 190만원 추가되는데 가스레인지를 그냥 할지 고민입니다. 전기레인지(하이라이트)를 써본 적이 없어 가스레인지 대비 장점을 글로만 읽어봤는데, 직접 써보신 분들의 의견이 어떨지 궁금하네요.

정리하면,

1) 방을 4개로 하냐 아니면 합쳐서 총 3개로 하냐의 문제
2) 붙박이장을 하고 들어가냐 vs 나중에 따로 개인적으로 설치하냐
3) 전기레인지(하이라이트) vs 가스레인지

아파트 선배님들의 의견을 구합니다(_ _)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rwmania
19/01/14 11: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전용 128 이면 방 4개 가시는게 좋습니다. 평면도 봐야 알겠지만, 전용 128 은 4베이라도 방이 작지 않습니다. (확장하면 더 하고요)
저희 동네 아파트를 보면 방 3개와 방 4개는 선호도 및 가격 차이가 꽤 나더라고요.

2) 그냥 추가하시는게 속 편합니다. 역시 평면도 봐야 알겠지만요...

3) 써 본 소감으로는 가스레인지 >= 인덕션 >>>>>>> 하이라이트 입니다. (와이프는 인덕션이 가스레인지보다 좀 더 낫다고 합니다)
가스레인지가 몸에 해롭다고 하는데, 한국 가스 공급 체계에서 해로운게 맞는지도 의문이고 -_-
차라리 인덕션 + 가스레인지 조합의 하이브리드 제품을 별도 구매하시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doberman
19/01/14 11:26
수정 아이콘
옵션은 개인취향이라서 정답이 없습니다.
제 경우엔 가변벽체를 살려놨어요. 정 안쓰면 방 하나는 창고방이나 옷방으로 활용할수도 있으니까요.
붙박이장이나 전기레인지는 옵션으로 하면 깔끔하게 빼긴 하는데, 시중가보다 제법 비싼 편입니다.
전 살아보면서 필요하면 설치하는 쪽을 선택했습니다.
여자친구
19/01/14 11:27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방이 좁은게아니라면 그냥 4개하시는게 살면서도그렇고 나중 팔때도 그렇고 매매하기가 낫구요.
붙박이장은 팬트리라던가 드레스룸같은 기본 수납공간이많으면 역시나 안하시는쪽을 추천드려요. 수납공간이 부족하다면 하셔야겠지만...
마지막은 하이라이트가 맞나요?
요새아파트들은 인덕션이나 인덕션+하이라이트일텐데.. 온리 하이라이트라면 가스렌지 추천드립니다.
가격생각하면 사실 그냥 가스렌지하시고 나중 엘지인덕션달아도 그쪽이더쌀거같긴하네요.
19/01/14 11:28
수정 아이콘
1. 구조 봐야 알 것 같습니다. 몇 인 가족인지도. 36평형에 방 4개면 방 1개는 좀 작을텐데, 합쳐서 나쁠 건 없죠. 추후 매매 생각하는건 너무 길게 보시는것 같습니다. 살 사람이 알아서 인테리어 또 하겠지요... 참고로 시스템은 한 번 설치하면 추가 설치 못합니다. 하려면 지붕 다 까야해서... 처음 할때 최대한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2. 저는 붙박이 추천, 따로 할거하면 나중에 말고 들어가기 전에... 수납 공간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음...
3. 전기 몇 번 안써봤는데.. 저는 가스가 좋아요..
19/01/14 11:33
수정 아이콘
1) 방 4개
2) 붙방이장
3) 가스레인지
로즈마리
19/01/14 11:34
수정 아이콘
1번은 개취의 영역이라 패스할게요.
2.붙박이 추천해요. 붙박이장이 엄청나게 못생기지 않는이상 ...수납공간은 필요해서 어차피 장은 필요하거든요. 나중에 내돈주고 짜 넣는일도 있으니...
3. 가스렌지요. 인덕션이면 몰라도 전기렌지는 비추에요.
덴드로븀
19/01/14 11:39
수정 아이콘
1) 방4개 : 쭉 사는게 아니고 매매 생각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방많은게 좋습니다
2) 붙방이장 : 역시 매매 생각이 있는 상태라면 하는게 무조건 좋습니다
3) 가스레인지 : 요리 엄청 많이/좋아하는 사람이 가족중에 있는게 아니라면 가스레인지 쓰다 나중에 여유되면 인덕션 맘에 드는걸로 교체하면 되죠.
완성형폭풍저그
19/01/14 11:40
수정 아이콘
이번에 전용 91에 들어가는데 방이 3개에 알파룸이 하나더라고요.
2인 가구인데도 방이 3개인게 아쉬웠습니다.
전용 128이면 최소 3인이상 가구일텐데 방 3개보다는 4개가 나을 것 같습니다.

제가 이사가는 곳은 안방에 드레스룸이 있고, 방1에 붙박이 방2에는 붙박이가 없습니다.
결국 방1에 딸려 있는 알파룸을 2번째 드레스룸으로 개조하였습니다.
4인 가정이라고 한다면 방마다 붙박이는 있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 거주하는 집은 하이라이트이고 이사가는 곳은 가스레인지 입니다.
하이라이트는 웍질이 안되서 개인적으로 가스레인지를 선호합니다.
나가사끼 짬뽕
19/01/14 11:42
수정 아이콘
답변들 감사합니다.

의견 주신 부분들 참고해서 결정해야겠네요.
방은 가벽 살려놓는 방향으로,
붙박이는 하고 싶은데 아내가 굳이 할 필요있냐라는 의견이라 아무래도 더 고민해야겠습니다ㅠ
전기쿡탑은 가스레인지 쪽으로 더 기울기는 하네요.
19/01/14 12:09
수정 아이콘
4개가 나중을위해 좋을꺼에요
하는게 좋다고봅니다 이유는 위와 같습니다
별거없는데 그래도 고급진 이미지때문에 하시는겅 추천드려요
강아랑
19/01/14 12:12
수정 아이콘
붙박이장은 나중에 하세요. 너무 비싸네요. 바가지 느낌.
하이라이트 보다 인덕션이 대세입니다. 하실필요 없어보이네요. 그리고 하이라이트를 190에 하면 호구입니다. 개호구

아파트가격이 얼마인지 모르겠는데, 옵션이 대체로 호구잡는 느낌입니다.
나중에 하심 좋을 것 같네요.
이혜리
19/01/14 12:20
수정 아이콘
1. 4개가 낫습니다. 나중에 매매 할 때 분명 영향을 미쳐요.
2. 붙박이는 하는 게 좋습니다. 일단 방이 좀 넓어지기도 하고 이쁩니다.
3. 하이라이트 좋기는 한데, 순수하게 하이라이트만 190 일리는 없어요.
19/01/14 13:06
수정 아이콘
합쳐놓으면 나중에 팔게 될때 많이 후회하실겁니다.
붙박이랑 인덕션은 그냥 개취입니다.
샤르트뢰즈
19/01/14 13:20
수정 아이콘
1. 4개 하세요
2. 붙박이 하세요. 따로 해도 그정도는 듭니다.
3. lg 시그니처 하이라이트면 190할것 같긴 한데요, 이 돈이면 차라리 아에게 인덕션을 하세요.
네랴님
19/01/14 14:10
수정 아이콘
저라면 1/2번 넣고 3번은 직접!
나가사끼 짬뽕
19/01/14 14:23
수정 아이콘
거의 결정했습니다!!

1. 방 4개로 안트고 그냥 가는걸로
2. 붙박이는 하는걸로
3. 그냥 가스렌지로

답변 해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아침밥스팸
19/01/14 15:25
수정 아이콘
1) 방 4개
2) 붙박이장
3) 인덕션!

붙박이장 은 진짜 편리하고
방은 구조를 바꾸면 뭔가 추워지기 시작합니다 결로도 생기구요
집이 좁지 않은 이상 트지 마세요.
그리고 인덕션은 사랑입니다.
19/01/14 17:18
수정 아이콘
축하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9288 [질문] 판타지 소설 질문드립니다. [3] 또옹2718 19/01/15 2718
129287 [질문] 경찰관련 질문입니다 [8] 블리츠크랭크2277 19/01/15 2277
129286 [질문] 네스프레소 호환캡슐 추천 부탁 드립니다. [6] 모나크모나크4187 19/01/15 4187
129285 [질문] 아기 있는집에 시댁 식구들 방문 횟수... [36] 비싼치킨6115 19/01/15 6115
129284 [질문] 공기청정기 필터 등급 문의 [4] 꿀멀티3257 19/01/15 3257
129283 [질문] 요새 HDD 가격이 많이 내려온 편인가요? [5] 손금불산입2275 19/01/15 2275
129282 [질문] 연말정산 관련 질문입니다(의료비, 집세, 자료제공동의, 이직) [4] 코시엔2817 19/01/15 2817
129281 [질문] 자동차 옵션 관련 질문입니다. [2] 콩탕망탕2112 19/01/15 2112
129280 [질문] 컴퓨터 견적 검토 부탁드립니다. [7] Finding Joe2912 19/01/15 2912
129279 [질문] 자동차 전면 유리에 금이 갔는데 [6] 치카치카2924 19/01/15 2924
129278 [질문] 블루투스 헤드셋 질문이요 흩어져버린기억2097 19/01/15 2097
129277 [질문] 채굴용 개조된 라데온 그래픽카드 사용 질문입니다. [5] 4442 19/01/15 4442
129276 [질문] 온라인 몰에 상세페이지 처럼 페이지 자체를 그림으로 만드는 사이트가있나요? [4] 일정1979 19/01/15 1979
129275 [질문] 윈10 업뎃 이후 스트리밍 버퍼링?문제 [1] Haru1939 19/01/15 1939
129274 [질문] x 정학한 뜻이 뭔가요? 유래도 알고싶어요 [19] 곽철용3590 19/01/15 3590
129273 [질문] 컴퓨터 업그레이드 질문 드립니다. [6] Mikopap3567 19/01/15 3567
129272 [질문] 요거 이름이 뭘까요? [3] Part.32485 19/01/15 2485
129271 [질문] 오래된 방진 마스크 써도 될까요? [5] 홍승식4067 19/01/15 4067
129270 [질문] 연말정산 월세공제 질문입니다. [6] HALU2591 19/01/15 2591
129269 [질문] 森高 千里란 일본 연예인은 어느정도 급인가요? [5] Judith Laverne Hopps6205 19/01/15 6205
129268 [질문] 내일 에버랜드 가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5] 미카엘2276 19/01/15 2276
129267 [질문] 스타 팀플 2 vs 3일 때 2가 이기기 위한 최적의 조합은 뭘까요 [18] 한화이글스3047 19/01/14 3047
129266 [질문] 중고차를 파려고하는데 얼마 정도받을수있을까요? [1] 편입준비생2220 19/01/14 22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