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1/11 00:01:19
Name 한이연
File #1 mondayney.jpg (68.5 KB), Download : 22
Subject [질문] 국가직 9급 공무원은 돈 어떻게 모을까요? (수정됨)


급여 자료는 2017년 지방직 9급 교행이긴 하지만 급여체계는 국가직과 다르지 않다고 알고 있습니다.
최근에 친구가 국가직 공무원에 합격해서 연락하니 지방으로 떨어질 거라고 하더군요. 주거는 어떻게 할꺼냐 물어보니 관사 자리가 없어서 원룸을 알아봐야 하는데 근무지 근처는 수요가 많으니 세값이 비싸서 근무지와 떨어진 곳에 룸을 알아 봐야겠다고 하더라구요. 그렇게 되면 교통비도 발생하고..

국가직같은 경우는 전국구 발령 내지는 지방으로 발령도 잦으니 차도 거의 필수적일테고.. 식비 통신비 관리비 이것저것 내다보면 이 급여로 돈을 어떻게 모을 수 있을지 좀 의문이 드는데 현직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호봉이 찰때까지 기다리거나 성과금을 바라봐야 하는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강아지아빠
19/01/11 00:09
수정 아이콘
국가직 9급인 친구가 집은 무조건 전세로 구하고, 야근수당으로 생활비 열심히 충당하면 돈 모을수 있대요. 4천만원대 차 뽑고 모임도 꽤 많은데 짠돌이 소리 안듣고도 7년차에 5~6천 이상 모았다고 하네요. 다른 친구 둘도 10년차쯤엔 8천 이상 모았었는데 공통점이 연애기간이 거의 없었다는 것...;;
한이연
19/01/11 00:22
수정 아이콘
대출받아서 전세로 가는 방법이 있네요. 근데 국가직은 갑자기 타지역 발령이 날수도 있다고 알고 있는데 전세기간 끝나기 전에 발령나면 골치 아파지겠네요.
강아지아빠
19/01/11 01:32
수정 아이콘
네 3~4천짜리 원룸전세 얻어 살았는데 당시에 대출내면 다달이 원리금이 10~13만원쯤이었죠. 타지역 발령시점을 미리 알아도 전세기간 다 못채운 경우 세입자 구하느라 스트레스받아 하더군요.
이오니
19/01/11 00:12
수정 아이콘
사실 소급기여금 때문에 엄청 적어보이는거라서...;;;
초반에만 버티면 나중에는 어지간한 중소기업 다니는 사람보다 낫죠.
한이연
19/01/11 00:22
수정 아이콘
저게 일시금으로 납부하면 한 450정도 된다고 합니다.
19/01/11 00:24
수정 아이콘
캐바캐입니다. 교행은 낮은편입니다.
19/01/11 00:26
수정 아이콘
17년 3호봉이면 이것저것 다 합쳐서 세전 2500 정도 나왔을 겁니다. 부처나 직렬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고진감래
19/01/11 00:54
수정 아이콘
근데 교행은 좀 아닙니다 급여로는 전직렬 최하위일텐데요 애초에 다른 장점에 특화되있어서..
다른 직렬 급여는 교행보다는 훨 나아요
한이연
19/01/11 01:04
수정 아이콘
초과근무 수당 차이 정도로 보이는데 다른 수당도 차이가 있나 봐요?
고진감래
19/01/11 01:20
수정 아이콘
초과비중이 제일 크죠 그 외 특수수당도 교행은 붙는게 거의 없고..4:30퇴근에 업무량 최하보고 하는거죠
회색사과
19/01/11 01:04
수정 아이콘
사실 9급 공무원은 삶이 쉽지 않죠...
부모님이 좀 도와주시거나, 젊을 때 잘 버는 직업을 가진 배우자가 있어야 (나이먹고는 바톤터치 한다 치고..) 그나마 흔히 말하는 평범테크 탈 겁니다.

송파구청에서 공익할 때... 학자금 대출 남은 채로 서울 공무원 되서 잠실에서 자취하는 누나 계셨는데, 솔직히 공익인 저보다 QOL은 낮아보였어요...
강미나
19/01/12 17:41
수정 아이콘
다른 곳도 아니고 강서송이면 공익이 공무원보다 삶의 질이 높은 게 당연하죠 크크크크
제발조용히하세요
19/01/11 07:47
수정 아이콘
눈물 나는 월급이네요.
연금도 줄었다던데
srwmania
19/01/11 08:01
수정 아이콘
9급 공무원은 사실 괜찮은 중소기업보다도 못합니다. 안정적인거 빼고는 장점이 없죠.
흘레바람
19/01/11 10:36
수정 아이콘
공무원은 50 넘어서 빛을 보는 직업이라 생각합니다
어랏노군
19/01/11 11:38
수정 아이콘
지인 말로는 7급 정도 되야 살만하다 싶다고 하더군요.
바스데바
19/01/11 13:47
수정 아이콘
7급 3~4년차 정도 되면 그럭저럭 빚져가면서 살만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9201 [삭제예정] 알레르기가 갑자기 생길 수 도 있나요? [25] CastorPollux3839 19/01/13 3839
129199 [질문] 트와이스 앨범 추천 부탁 드립니다. [6] WhiteBerry2455 19/01/13 2455
129198 [질문] 방이랑 거실을 다 냉방시키고 싶습니다. [6] 강미나8260 19/01/13 8260
129197 [질문] 이사를 가는데 실내 인테리어 질문입니다. [6] 완성형폭풍저그2383 19/01/12 2383
129196 [질문] 패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5] Grundia2253 19/01/12 2253
129194 [질문] 수냉 쿨러는 반드시 터지나요? [6] 김승남23657 19/01/12 23657
129193 [질문] 개 장난감 추천해주세요. [1] 삭제됨1484 19/01/12 1484
129192 [질문] 영어 리스닝 엄청 잘하는 분들 [10] F.Nietzsche3048 19/01/12 3048
129191 [질문] 뜨는 직업? 공부말고 밥벌이 하기 괜찮은 직업있나요? [2] 사진첩3267 19/01/12 3267
129190 [질문] 작년 10월에 직장을 관뒀는데 연말정산 어떻게 하나요? [5] 삭제됨2329 19/01/12 2329
129189 [질문] 마우스피스형 전동칫솔 써보신 분 계신가요? [5] bhsdp2231 19/01/12 2231
129188 [질문] 강아지도 나이가 들면 점잖(?)아 지나요? [6] 로즈마리3004 19/01/12 3004
129187 [질문] 캠핑용품 중에 뜨거운 물 만들어 주는 게 있나요??? [2] bifrost3738 19/01/12 3738
129186 [질문] 블루투스 스피커를 하나 구매하려고 합니다. [2] 탄이2176 19/01/12 2176
129185 [질문] 하네다 공항에서 대기시간이 12시간입니다. [4] 高橋 朱里2638 19/01/12 2638
129184 [질문] 윈도우10 정품사용자. 새로운 pc 구입시 인증방법? [4] 까우까우으르렁2850 19/01/12 2850
129183 [질문] 비전공자도 읽을 수 있는 인문/사회학회지(간행물) 있나요? 요조1771 19/01/12 1771
129182 [질문] 자드(zard)는 전성기때 어느정도의 가수였나요? [13] 김첼시4355 19/01/12 4355
129181 [질문] 테트리스를 잘해야 합니다....... [38] 예나3765 19/01/12 3765
129180 [질문] 말을 재미있고 실감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6] nexon2690 19/01/12 2690
129179 [질문] 지금 카페왔는데.. 이규칙 이상하다vs 정당하다 [50] 짱짱걸제시카4466 19/01/12 4466
129178 [질문] 경영 경제 금융 관련 책 추천해주실수 있으신가요?? [3] 조율의조유리1807 19/01/12 1807
129177 [질문] 종로나 동대문쪽에 소개팅하기 좋은 장소가 추천 부탁드립니다. [5] kogang20013167 19/01/12 316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