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1/08 01:34:13
Name monkeyD
Subject [질문] 원룸 입주시 어떤 부분을 챙겨보시나요?
작은 원룸에 들어가 살려고 합니다.
평범한(?) 학생용 풀옵션을 알아보고 있는데
이럴 때 방 알아보거나 직접 보러갔을 때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살피는지, 또 그것을 확인하는 요령 같은게 있다면 말씀 좀 부탁드릴게요.
전세대출 받아서 2년 계약해서 살 예정인데
짧은 기간이 아니라서 꼼꼼히 살펴보고 싶어서요.
길든 짧든 답글 주시는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프 더 레코드
19/01/08 01:49
수정 아이콘
소음, 보일러, 수돗물이나 욕조 수압, 녹은 있는지, 단열, 채광, 출퇴근 용이성, 주위 편의시설
물리쟁이
19/01/08 02:06
수정 아이콘
정육점, 마트가 주위에 위치한지 주변에 술집이 있는지
보일러 및 버스 정류장정도,.
SkinnerRules
19/01/08 02:19
수정 아이콘
최근에 원룸은 아니지만 오래된 아파트 전세로 들어왔습니다.

1. 가장 기본적인 등기부등본 떼서 입대인 본인 소유인지 여부와 저당권 등이 잡혀있지 않은지 확인

2. 수압 보라는 말을 가장 많이 하는데 수압이 약하면 정말 스트레스입니다. 모든 부분에서 스트레스에요. 싱크대 틀어보고 화장실 틀어보고 세탁실 틀어보시고 화장실 물도 내려보시구요. 원룸이면 괜찮겠지만 세탁실에 온수배관이 안들어가는 집도 간혹 있습니다.

3. 전세계약은 자잘한 부분은 자가수리가 원칙이라 들어가기전에 최대한 집주인과 잘 협의하셔야합니다.

전 잘 잊어버리고 좀 둔한 편이라 미리 오래 생각해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갔는데도 나중에 집주인에게 아쉬운 소리 하게 되더라구요.

이전에 살던 세입자 분을 만날 수 있으면 꼭 따로 이것저것 물어보세요.
소음(밖에서 들리는 소음과 내부 층간소음 등)과 최근에 싱크대나 화장실이 막힌 적이 있는지
집 주인 어떤 스타일인지(자주 간섭을 하거나 성격적으로 뭔가 이상한 부분이 있다든가)

그밖에 생각나는 거라면
베란다나 세탁실, 싱크대 물은 잘 빠지는지(싱크대의 경우 물을 모았다가 한번에 빼보세요)
벽지나 콘크리트벽에 누수의 흔적은 없는지
콘트리트 깨진 부분은 없는지
샤시 문은 잘 열리고 닫히는 지
방충망은 잘 맞물려있고 찢어진 부분이 없는지
콘센트에 그을린 흔적이나 덜렁덜렁거리는 부분은 없는지
평소 난방비나 전기세는 얼마나 나오는지
배수구에서 악취가 올라오지는 않는 지
보일러, 에어컨 정상 작동 여부
전등은 내가 원하는 만큼의 밝기인지

써놓고보니 하루 종일 쓸 수도 있긴 한데 전세계약이라면 세입자가 해야할 몫도 섞여있을 겁니다. 그래도 이런 자잘한 부분까지 협의를 해야 나중에 스트레스를 덜 받더군요.
19/01/08 02:20
수정 아이콘
사실 기본시설만 있으면 어디서든 먹고자고 할 수 있어서 제 경우는 그런건 잘 안보고 나가면 뭐가 있는지에 대해 주로 봅니다.

만약 차량 있으시면 학생 원룸촌쪽에도 (학생들 차가 없다보니) 의외로 주차 원활하게 가능한 원룸이 많으니 발품팔아볼만 하구요.
19/01/08 02:24
수정 아이콘
수압 + 변기 잘 내려가는지
창틀 사이로 바람 들어오는지
근처에 편의점 있는지

예민하신 분이면 옆집 소음
19/01/08 03:39
수정 아이콘
단창이면 외풍때문에 겨울마다 손이 얼어서 승률이 낮아집니다.
꼭 이중창인지 확인해보세요.
헤나투
19/01/08 04:10
수정 아이콘
언급안된것중에는 햇빛이 정말 중요합니다.
그리고 혹시 2년 넘게 사실걸 대비한다면, 집지은지 1년정도는 지나서 집주인이 1번은 바뀐집으로 가시길 추천합니다. 갓지은 새집은 집이 팔리면 재계약할때 99% 방세가 오릅니다.
19/01/08 08:49
수정 아이콘
벌레 시체 있는지, 소음차단 잘 되는지도 챙겨보세요
19/01/08 09:19
수정 아이콘
제 개인적인 기준으로는 창 밖이요. 겨울에는 상관 없는데, 여름에는 창 활짝 열고 생활해야 하는 시간이 꽤 길어요. 원룸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보통 원룸들은 최대한 많이 꾸겨 놓다보니깐 창크기, 창방향을 제대로 신경 안쓴 곳들이 많아요.

문 열었을 때, 이웃과 인사 안해도 되는 집(?)을 가장 우선시 봅니다. 본인이 괜찮아도, 상대가 불편하거나 신경 쓰면 덩달아 귀찮아져요.
修人事待天命
19/01/08 09:19
수정 아이콘
1. 집에서 목표(?) 지점까지의 도달 시간 &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의 다양성(도보, 버스, 지하철, 택시 등등)
2. 나머지
김피곤씨
19/01/08 09:41
수정 아이콘
위에 다 말해주셨는데 때마침 겨울이니까 벽에 혹시 곰팡이 자국이 있는지, 물이 맺히는 부분이 있는지 확인해보시고 외벽을 손으로 한번 짚어 보세요.
추운 날씨에 벽이 싸늘하면 단열이 되지 않아서 결로가 생기고 곰팡이가 생길수 있습니다.
Lord Be Goja
19/01/08 10:48
수정 아이콘
소음이랑 통풍이요.바람 정말 하나도 안부는 자리도 있더라구요
지나가던개
19/01/08 10:57
수정 아이콘
다들 잘 적어주셨네요.
저는 해당건물 쓰레기 분리수거 상태도 확인해보면 좋더라구요.
도라귀염
19/01/08 11:06
수정 아이콘
원룸은 여름이랑 겨울이 문제죠 겨울에 따뜻한지 여름에 더운지 여름에 더우면 에어컨 냉매를 제대로 갈아놓은 원룸인지 잘 파악해야 합니다 에어컨성능이 여름 더위를 견딜만한지하고요
인생은서른부터
19/01/08 15:00
수정 아이콘
많이 옮겨다녀봤는데 솔직히 옮겨 다닐 때마다 보게 되는 옵션이 하나씩 추가되긴 합니다
저는 아래 순서였습니다
[년식] - [채광] - [통풍] - [편의시설&옵션 가전 상태 (에어컨/냉장고)] - [단열] - [소음]
좀 쾌적한 환경을 좋아하신다면 채광 통풍은 정말 필수입니다.. 둘중 하나만 없어도 참 칙칙해요
19/01/08 15:49
수정 아이콘
채광..
srwmania
19/01/08 16:05
수정 아이콘
경험이 많지 않으면 잠깐 둘러보는 시간에 저거 다 챙겨보기 쉽지 않습니다. 보통 직관적으로 캐치하는 부분이라서요.
잘 모르신다면 채광과 가전제품의 상태, 싱크대 물 한번 내려보시는 것 정도 체크하시고 (이 3가지는 다른 것과 연계가 됩니다)
건물 연식이나 주위 환경은 집보러가시기 전후로 체크해보시면 됩니다.

제일 추천하는 방법은 역시 부모님이나 이런쪽 경험이 많은 지인을 데리고 가는 거죠.
sgwansoo
19/01/09 18:12
수정 아이콘
채광이 정말정말 중요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9066 [질문] 헬스 초보입니다. 이틀 지나도 근육통이 있는데 운동을 해도 될까요? [8] Red Key13809 19/01/09 13809
129065 [질문] 혹시 롤파크 직관 하셧던분 계신가요? [3] 키토1996 19/01/09 1996
129064 [질문] [LOL] 라인별로 핫한 챔프 하나씩만 추천 부탁드립니다 [5] 修人事待天命2412 19/01/09 2412
129063 [질문] 연애) 연애 아이디어를 공유받고싶습니다 [3] 니이모를찾아서2103 19/01/09 2103
129062 [질문] 대기온도는 햇빛 있는 상태에서 측정을 할까요? [5] 하이킹베어1651 19/01/09 1651
129061 [질문] 저렴한 스캐너 추천 바랍니다. [2] 어제내린비2236 19/01/09 2236
129060 [질문] . [31] 삭제됨2545 19/01/09 2545
129059 [질문] 알뜰요금제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수정) [13] 건투를 빈다2231 19/01/09 2231
129058 [질문] 글에 괄호가 있을때 어떻게 쓰시나요? [11] 전직백수2521 19/01/09 2521
129057 [질문] 어벤져스 1,2,3편에서 각각 궁금한 장면이 있습니다. [9] CoMbI COLa4426 19/01/09 4426
129056 [질문] 영화 남자가 사랑할때 질문입니다 (스포유) [2] wish buRn2762 19/01/08 2762
129055 [질문] 아이가 의자에 올라가 노는것과 캔을 가지고 노는것중 무엇이 더 걱정되세요? [32] 열혈둥이3107 19/01/08 3107
129054 [질문] LCHF 하려고 하는데 치즈관련 질문드립니다. [18] 박정우3414 19/01/08 3414
129053 [질문] 강남역 월 주차장 [5] 트와이스 채영3866 19/01/08 3866
129052 [삭제예정] [결혼]홀대관료+스드메 비용 450이면 비싼건가요? [22] 프리템포9478 19/01/08 9478
129051 [질문] 롤을 엄청 간만에 복귀하려고합니다.. [5] 럼블2593 19/01/08 2593
129050 [질문] 잠수함 안이나 고래 뱃속에서 핸드폰이 터질까요? [10] 짱짱걸제시카2871 19/01/08 2871
129049 [질문] 통화전용 블루투스 제품추천해주세요. [5] mcu1560 19/01/08 1560
129048 [질문] slay the spire 비슷한 게임 다른거 없나요? [8] 라이츄백만볼트7188 19/01/08 7188
129047 [질문] 전세금 내주는 문제 [17] 삭제됨2826 19/01/08 2826
129046 [질문] 공기업이나 무기계약직이 하고싶은데 준비할 자격증 있나요?? [4] 조율의조유리3778 19/01/08 3778
129045 [질문] 플스4 게임 추천 부탁 드립니다! [14] 오삼불고기2878 19/01/08 2878
129044 [질문] 제습제 추천해주세요!! [5] 혜우-惠雨2045 19/01/08 204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