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1/03 22:06:34
Name 도방
Subject [질문] 금수저 기준을 어떻게 보시는 지 궁금합니다.
골목식당 피자집이 건물주 아들이라고 금수저라는 글을 많이 봤는데, 건물이 메인거리에 있는 것도 아니고 크기가 크지 않아서 한 10억 전후로 보거든요.

서울 아파트 평균가가 7억이 넘는데..10억이 물론 큰 돈이고 피자집 사장님도 넉넉하게 산 거 같긴 한데 금수저라는 단어에는 맞는 것 같지 않아서요.  

피자집 사장님이 금수저처럼 느껴지는지, 그리고 금수저라 하면 백분율로 몇 퍼센트 정도로 생각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차원관문
19/01/03 22:12
수정 아이콘
제 기준에선 평생 일 안해도 놀고 먹는게 가능하면 금수저....
19/01/03 22:12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천차만별이겠죠.

제 기준엔, 일 안해도 먹고 살 걱정 없으며 약간의 취미생활이 가능하면(가끔 맛있는 거 먹고, 가끔 책도 사고 게임도 사고 등등) 금수저 입니다.
19/01/03 22:14
수정 아이콘
결혼 할 때 부모님한테 집 지원 받을 수 있으면 은수저
그 이상으로 일 하지 않고 부모지원만으로 먹고 살 수 있으면 금수저
쑤이에
19/01/03 22:20
수정 아이콘
돈쓰면서 돈 걱정 안하면 금수저 봅니다.
19/01/03 22:24
수정 아이콘
사람들이 말하는 금수저라함은 커트라인이 꽤 높을겁니다. 피자집 같은 경우 그냥 돌려까고싶으니까 금수저네!! 이보시오 사람들 이것좀보소 하는 느낌이 강하구요.
19/01/03 22:31
수정 아이콘
그 건물 하나로 금수저라고 보진 않죠. 건물이 그거 하나인지 여러개인지는 모르는거구요.
거기에 유학 2차례, 가게를 거의 취미로 하고있음 등 보고 판단하는거죠.

제 기준 금수저 맞습니다.
19/01/03 22:34
수정 아이콘
건물로 생각하면 연4%, 30억 정도짜리 건물이 있으면 불로소득이 1년에 1억정도 되니 이 정도면 금수저라고 봅니다.
19/01/03 22:46
수정 아이콘
제 기준에선 최소 수십억, 백억대 이상 보유중인 '부자'측에 들어야 금수저.
십억대 내외 정도로 자산을 보유중이고 자식들 가게 좀 내주고 여유있게 사는 정도는 은수저.

...그리고 재산이 1억에도 못 미쳐서 자식에게 빚이나 물려주지 않으면 다행인 정도는 흙수저.
뒹구르르
19/01/03 22:51
수정 아이콘
경험해본바로 무언가를 할 때, 할지 말지에 대한 고민의 근거에 돈 관련된 사항이 없는 사람 쯤 되면 금수저인 듯.
예시 1) 지나가던 이쁜 차를 보고, 사려면 살 수 있지만 저걸 2억 들여서 사도 될까 상황을 고민을 하면 은수저.
저거 사면 차 둘데가 없는데, 저거때메 이사하려면 귀찮은데 이런 이유면 금수저.
예시 2) 여자친구랑 세이셸 얘기하다가 불현듯 가고 싶어졌는데, 비행기표 구할 수 있을까, 내일 회사가야 되는데, 고민 하면 은수저.
내일 아버지가 밥 먹자 했는데 어쩌지 하면 금수저.
19/01/03 23:02
수정 아이콘
사업 2번 말아먹어도 크게 지장없으면 금수저라고 봅니다.
플래너
19/01/04 00:25
수정 아이콘
금수저라는 말이 그냥 어느정도 잘살면 붙는 고유명사 같아진 느낌이 있더라구요. 그래서 기준이라는게 애매해져서 어? 쟤 좀 잘사네? = 금수저네 이렇게 되더라구요.
Placentapede
19/01/04 01:28
수정 아이콘
승마로 애 인서울 명문대 집어넣을 수 있으면 금수저로 봅니다.
유정연
19/01/04 02:26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 그냥 나 일 안해도 부모님 집에 빌붙어서 평생 살수있다 = 금수저
cadenza79
19/01/04 04:39
수정 아이콘
노는데만 월 천만원 쓸 수 있으면 금수저라는 말을 어디서 본 거 같은데...
19/01/04 04:43
수정 아이콘
소비 형태는 다 달라서..
개인적으로는
알바 안하고 전장 없이 사립대학 나오면 은수저.
부모 연봉 합이 안정적으로 1억이 넘거나 총 자산이 20억쯤 넘으면 금수저.
19/01/04 10:15
수정 아이콘
기준이 너무 낮은거 같은데요....
제가 둘다 해당되었지만 흙수저와 동수저의 중간인데 동쪽에 좀 더 가깝지 않을까 생각하고 살았어요
19/01/04 06:46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기준이 많이 다르겠죠. 보통 자기를 금수저라고 생각 하는 사람은 거의 없어서 본인 집안 재산, 소득보다 꽤 높아야 금수저라고 생각할테니깐요. 저는 일 안해도 살 수 있으면 금수저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아마 이 기준에 충족 되는 사람들은 금수저를 명품 꽤나 살 수 있고 건물 몇 채나 큰 사업체 가진 부모 정도 되야 금수저라고 생각하겠죠?
19/01/04 09:46
수정 아이콘
나보다 잘살면 금수저임 암튼 금수저임 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결혼할 때 부모님이 강남3구에 집 한 채 해주실 정도면 은수저, 건물을 한 채 해주실 정도면 금수저 아닐까 싶습니다.
그 닉네임
19/01/04 11:39
수정 아이콘
롤 잘하는 기준, 천상계 기준이 어디일까요? 라는 질문이랑 비슷하다고 봅니다.

근데 보편적으로는 불로소득이 대한민국 평균 연봉정도인게 금수저라고 생각해요.
signature
19/01/04 12:51
수정 아이콘
자기 밥벌이가 달린 문제인데 별 고민이 없어보이죠?
그럼 금수저
19/01/04 13:43
수정 아이콘
100억전후 금수저 10억~50억 은수저 10억 내외 동수저 1억~5억 철수저 1억내외 플라스틱 수저 빚 흙수저
훌게이
19/01/04 14:08
수정 아이콘
방송을 안봐서 전후사정은 모르겠고 10억짜리 건물하나물려받은거면 금수저는 금수전데 미묘한듯요.

제 기준으론 주변에서 친구들이 '넌 금수저잖아' 드립치고 놀정도는 되는데 당사자 본인이 '난 금수저지' 라고 하면 짜치는 정도의 느낌.
19/01/04 14:17
수정 아이콘
건물을 물려받은 건 아니고 부모님 소유라고 합니다.
19/01/04 14:18
수정 아이콘
답변 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8919 [질문] 꼬막으로 파스타 해먹을 생각인데 레시피가.. [8] 키토2061 19/01/05 2061
128918 [질문] 자동차키 고장났을 때 [3] 우메보시2128 19/01/05 2128
128917 [질문] 스타 컨트롤 유즈맵은 어디서 구하나요? 탕웨이1523 19/01/05 1523
128916 [질문] 혹시 이 폰트가 뭔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1] Ilulissat1891 19/01/05 1891
128914 [질문] 중국산 낚시대 브랜드 좋은게 뭐가 있나요 [4] 지바고3476 19/01/05 3476
128913 [질문] 외국->외국 비행기 딜레이도 보상 가능한가요? [1] RookieKid2044 19/01/05 2044
128912 [질문] 해커스 토익 0원 인강 들어보신분 계신가요? [3] monkeyD2616 19/01/05 2616
128911 [질문] 게임기기 구입 질문/게임 추천 부탁드려요(vita) [12] 그대에게2712 19/01/05 2712
128910 [질문] 광단자로 스피커 물리면 음질이 조금 열화되는 듯합니다. [2] 트와이스정연1655 19/01/05 1655
128909 [질문] 넷북으로 크롬 실행시 가끔 화면이 깨집니다. [2] monkeyD1824 19/01/04 1824
128908 [질문] 플레시 게임 질문이요 [2] GGMT1359 19/01/04 1359
128907 [질문] 통계 질문. 집단의 균일성 판단.. [6] moqq3311 19/01/04 3311
128906 [질문] 부모님과의 오사카 2일 일정 좀 봐주세요ㅠㅜ [5] 사이시옷1918 19/01/04 1918
128905 [질문] 친구 어머니가 아프셔서 조만간 돌아가실거 같네요 [6] 옛설3368 19/01/04 3368
128903 [질문] IT 관련 자격증 중 가성비 갑은? [10] grrrill2495 19/01/04 2495
128902 [질문] 걸으면서 뭐 마시는 거 못하는 사람 많지 않나요? [24] 비싼치킨3473 19/01/04 3473
128901 [질문] 반품 할때 사진찍어두는게 나으려나요? [2] 키토1280 19/01/04 1280
128900 [질문] macOS에서 어플의 비밀번호가 저장이 되지 않습니다 [2] SaiNT1234 19/01/04 1234
128899 [질문] 서울 3차병원 종양 조직검사 병원에 대해 문의합니다 [10] SlaSh.2296 19/01/04 2296
128898 [질문] (뻘질문)여행 싫어하시는 분 계신가요? [74] 프리템포7611 19/01/04 7611
128897 [질문] 세면대 파손 다시질문드립니다 [4] 개떵이다1630 19/01/04 1630
128896 [질문] 고양이들이 맥북 전원케이블을 물었습니다. [14] 현금이 왕이다3054 19/01/04 3054
128895 [질문] 중국어 문법책 추천 부탁드립니다(꾸벅) [3] 물리쟁이2965 19/01/04 29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