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2/04 23:51:26
Name 조율의조유리
Subject [질문] 화학과와 신소재공학과 중에 어느 과가 학사취업이 더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방금전에도 글을 올렸는데

정말 중요한것 한가지를 못물어봐서 다시 글을 씁니다

다름이 아니라 화학공학과는 논외로 하고

화학과(공학X)와 신소재공학과 중에

어느 과가 더 학사 후 취업이 좋을지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여기서 좋다는 양과 질 모두를 아우르는 뜻으로 이해해주시길 바랍니다

둘 중에 어느 과가 더 학사취업이 좋을까요?

비슷한 내용을 반복해서 쓰는것 같아서 죄송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태권도7단이다
18/12/05 00:22
수정 아이콘
자연대인 화학과 보다는 공대인 신소재쪽이 훨씬 더 낫습니다
조율의조유리
18/12/05 18:51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감사합니다
저격수
18/12/05 00:29
수정 아이콘
어느대학이냐가 제일 중요해요
조율의조유리
18/12/05 18:51
수정 아이콘
20대면 충분히 들어봤을만한 곳입니다 너무 명문은 아니고요
저격수
18/12/05 19:13
수정 아이콘
연대부터는 화학과도 갈만하거나 또는 더 낫고, 그 아래는 화공이 낫습니다. 신소재는 상위 대학일수록 금속보다는 반도체나 화학 쪽 과목들이 강해서 화학과에 가까워집니다.
조율의조유리
18/12/05 19:27
수정 아이콘
그러면 결론은 인서울 대학이면 화학과랑 신소재랑 차이 없다는건가요???
저격수
18/12/05 19:32
수정 아이콘
학교 내에서 공부를 잘하실수록 화학과가 좋고, 그렇지 않으면 신소재가 좋습니다 크크
조율의조유리
18/12/05 19:34
수정 아이콘
균형의 수호자는 아무데나 가도 상관없겠군요?
저격수
18/12/05 19:38
수정 아이콘
네 아무래도요...? 취업이 비슷하다 치면 얼마나 재밌게 공부하냐가 이공계에선 중요하니, 주위 친구들 공부하던 거 보면 화학과는 사람바이사람, 신소재는 과목바이과목, 화공은 노잼이라 하더라고요
조율의조유리
18/12/05 19:40
수정 아이콘
얕고 넓게 배우는거 좋아하면 신소재로 가야할듯 싶네요
레필리아
18/12/05 01:06
수정 아이콘
취업은 무조건 공대입니다
조율의조유리
18/12/05 18:5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나성범
18/12/05 02:02
수정 아이콘
저도 대학 네임이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공학이 더 취업 잘 된다고 해도 화학과 졸업자로서 취업이 불리했다고 생각한 적 없습니다.
조율의조유리
18/12/05 18:52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음... 이름은 웬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곳이긴 합니다만 엄청 명문은 아닙니다..
18/12/05 02: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학교가 훨씬 중요합니다. 그 다음은, 사실 둘다 취업 되게 잘돼요. 더 학점을 잘 딸 수 있는 곳이 낫지 않을까.. 비슷하다면 산업관련 내용을 접하기 쉬운 공대입니다만, 화학과가 선택지가 더 넓을 수도 있습니다.
조율의조유리
18/12/05 18:53
수정 아이콘
오 비슷비슷하군요?
18/12/05 03:42
수정 아이콘
어차피 졸업하실때쯤이면 또 산업 판도가 바뀌기 때문에 아무런 보장은 없습니다. 저는 전자공학과나왔는데, 제가 대학갔던 2000년대 초반에는 전산이나 컴공에 비해서 하드웨어쪽이 전반적으로 수능컷도 높고 유망하다고 여겨졌지만 막상 제가 대학교 졸업할때쯤에는 소프트웨어쪽이 더 잘나가고 수능컷도 높아졌습니다. 전망만 놓고 봤을때 과보다는 대학간판이 훨씬 중요하죠.
조율의조유리
18/12/05 18:5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도요타 히토미
18/12/05 03:48
수정 아이콘
제 생각은 비슷한 계열 과는 특정 과목만 몇개 다를뿐 공학 기초라는 점에서는 같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비이과출신과는 달리 과와 다른 공과 대학원 진학을 해도 무리가 없는 거겠죠.
취업은 학교가 중요합니다.
조율의조유리
18/12/05 18:54
수정 아이콘
오오.... 감사합니다....
포프의대모험
18/12/05 10:08
수정 아이콘
신소재
조율의조유리
18/12/05 18:5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18/12/05 12:34
수정 아이콘
학교도 중요하고, 들어가서 어떻게 살았나가 더 중요합니다.

학점도 낮고 대외활동 경험도 없고 인턴도 없고 뭔가 내세울 게 없으면, 학교 좋고 과 좋아도 힘들더군요.

기업에서 저런 걸 두고 뭐 필요없는 스펙이다 뭐다 하는데 그래도 없는 거 보단 있는 게 무조건 낫습니다.

말은 저렇게 해도 있는 사람 없는 사람 중에는, 있는 사람 서류 통과 시키기도 하고 면접가서 말할 거리라도 많거든요.
조율의조유리
18/12/05 18:54
수정 아이콘
글쿤요!!!
김유라
18/12/05 13:42
수정 아이콘
신소재와 화학 정도면 본인 취향 보고 가면 됩니다. 취업률 크게 차이 안 날 듯.
조율의조유리
18/12/05 18:54
수정 아이콘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7802 [질문] 유선으로 게이밍 헤드셋 질문입니다. [4] wilen1997 18/12/06 1997
127801 [질문] 만화책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46] 잉차잉차2963 18/12/06 2963
127800 [질문] 조립피씨 견적한번 봐주실수있을까요 [9] 폭스헤어2521 18/12/06 2521
127798 [질문] [로아]프로키온의 장막. [5] 알콜성혼수3780 18/12/06 3780
127797 [질문] 이직시 출퇴근 차량을 지원해준다고 하는데 [15] Cand3172 18/12/06 3172
127796 [질문] 공기청정기 질문입니다.(미에어) [6] 아이시스 8.01918 18/12/06 1918
127795 [질문] 지방에서 수원 경희대로 가기 [5] zwickl2013 18/12/06 2013
127794 [질문] 강아지 분양 책임비가 궁금합니다 [6] 노예2707 18/12/06 2707
127793 [질문] 일본 여행지 추천 [10] 금모모2545 18/12/06 2545
127792 [질문] 거울자주 보시나요?? [4] 사진첩1501 18/12/06 1501
127791 [질문] 외장ssd(usb3.0)로 게임 설치해서 플레이 [12] 미야자키 사쿠라3393 18/12/05 3393
127790 [질문] 자동차 명의이전 비용 질문입니다 [2] 벼둘기4486 18/12/05 4486
127789 [질문] 종이로 그린걸 스캔해서 컴퓨터 디자인처럼 해야하는데요... [3] 진솔사랑1946 18/12/05 1946
127788 [질문] 일본 초밥집에 아이들 데리고 갈 수 있나요?+1월에 후쿠에서 할 만한 것? [17] 이상한화요일2994 18/12/05 2994
127787 [질문] 블루투스 이어폰 질문드립니다. [7] 쪼율2166 18/12/05 2166
127786 [질문] 서울 부부클리닉 좋은곳 있나요 연필깍이1793 18/12/05 1793
127785 [질문] 중고 그래픽카드는 어디서 사는게 좋을까요? [4] Ellesar_Aragorn2345 18/12/05 2345
127784 [질문] 서울역과 시청역 사이 혹은 근처에 혼밥할만한 식당은? [6] 서쪽으로가자3449 18/12/05 3449
127783 [질문] 드래곤볼 질문입니다. [6] 타키쿤1720 18/12/05 1720
127782 [질문] 토요일 아침, 청주->강릉갑니다. [4] 삭제됨1515 18/12/05 1515
127781 [질문] MP4파일을 업로드하고 공유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나요? (1~2분, 6mb정도) [4] 인생의낭비4713 18/12/05 4713
127780 [질문] 구글 플레이에서 구매한 게임 아이템 환불 관련 도움 좀 부탁드립니다. [4] 귀여운호랑이3164 18/12/05 3164
127779 [질문] 스미싱 앱 설치해버리면 조치를 어떻게해야할까요? [1] 조지아캔커피1218 18/12/05 12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