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2/02 15:41:48
Name Demi
Subject [질문] 결혼을 준비하려고 하는데 준비 튜토리얼 및 순서를 알고 싶습니다. (수정됨)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일단 결혼날짜는 내년 중하반기로

우선은 일단 날잡고 식장부터알아보고 집이랑 허니문 알아봐야한다는것만 알고있습니다.

대충알아보니 식장에서 계약을할때 '스드메'를 같이 세트로 하더라구요.

한복과 예복도 준비한다는데 입을일이 없으면 대여가 나은지

예단 예물의 개념이 뭔지도 궁금하구요.

처음이라 뭐가뭔지도 모르고 뭘 먼저 해야할지도 손에 안잡힐것 같습니다.

결혼 튜토리얼과 준비 순서에 대해서 선배님들께 조언을 부탁드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2/02 15:52
수정 아이콘
남자분이시죠?
그냥 하자는대로 따라만 가면 됩니다......
농담 아니고 진짜로...
18/12/02 15:57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전 남자인데 교제하는 친구도 저랑 마찬가지상태인것같아요 ^^;; 그래서 같이 알아보려구요
감사합니다!!
The HUSE
18/12/02 16:06
수정 아이콘
주변에 조언해주실 사람이 없거나 직장일로 바쁘시면, 웨딩플래너 이용해보세요.
전 만족했습니다
18/12/02 16:1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웨딩플래너 알아보니까 따로비용은 없는것같네요.

긍정적으로 생각해보겠습니다 선배님!!
비싼치킨
18/12/02 16:13
수정 아이콘
상견례가 제일 처음이고 그 후에는 집안 분위기에 따라서 많이 갈려요
어른들이 원하는 예식장 날짜 예단 예물이 있다면 맞춰드려야 하고
그게 아니면 신랑 신부가 알아서 잡아야 하는데 이것도 반반결혼인지 어떤지에 따라 다 달라지고...

상견례 이후에 결혼식장, 신혼집, 신혼여행을 동시에 알아보면서 진행하시면 될 듯 합니다
한복대여나 스드메같은 잔가지는 큰 틀을 먼저 잡은 후에 알아보세요
처음부터 작은 거에 매달리면 머리 터지니께......
18/12/02 16:1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상견례가 우선이 될것같네요. 쉽지않겠지만 잘해보겠습니다 ^^
18/12/02 16:16
수정 아이콘
상견례 하셨나요? 하시고 난뒤면 알아서 시키는 데로 하면 편합니다..상견례 하기 전이라면 고민하실 필요는 없을듯해요 어짜피 고민해도 부모님들끼리 만나는 자리에서 다시 결정을 하시더라구여 크크 그리고 세부계획은 1)웨딩플래너 이용하거나 2) 네이버나 다음 결혼준비카페? 등을 통해서 하시면 대충 아실거에요 화이팅하세요 !
18/12/02 16:2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선배님.. 양가부모님께서 결정하실부분도 아무래도 많겠죠!? 일단 결혼할 지역인 울산 결혼준비카페가입해놓고 도움받을 수 있는 부분은 충분히 받아보려고 합니다. 조언 고맙습니다!!
18/12/02 16:45
수정 아이콘
정신 차려보니 결혼식장에 서있더군요.
18/12/02 16:52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말씀인즉슨 별 무리없이 스무스하게 잘 준비하셨다는 말씀이겠죠^0^

저도 문제없이 잘 해나갔으면 합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Zakk WyldE
18/12/02 17:25
수정 아이콘
상견례 전에 세운 계획은 상견례 후에 쓸모가 없어집니다. 크크
완성형폭풍저그
18/12/02 17: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결혼준비의 첫단계는 상견례입니다.
부모님께 결혼준비에대해 본인 전결로 가능한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확인하시고 부모님께 결재받아야 할 것은 무엇인지 확인한 후 진행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부모님께 말씀드릴때 예신이가 이렇게 저렇게 하자고 그래. 라던가
예신이에게 말할때 부모님이 이렇게 저렇게 하라고 하시네. 같은 대화법은 최악입니다. 양쪽의 이야기를 옮길 때는 언제나 내생각은 이래. 예신이하고도 또는 부모님하고도 이야기 된거야. 같이 하셔야해요.
있는 그대로 말 옮기다가는 지옥을 맛보실거에요.
이혜리
18/12/02 20:47
수정 아이콘
윗 분들 다 틀렸습니다.
결혼식의 시작은 박람회의 방문입니다.
결혼 박람회 방문해서 전문가의 리드 하에 한 땀 한 땀 미션을 클리어 해나가면 되는 것입니다.
ChloeCreative
18/12/02 20:53
수정 아이콘
부모님께 물어보세요 흐흐
아스날
18/12/02 21:20
수정 아이콘
그냥 프로포즈부터 먼저하세요..
저도 프로포즈 나중에 했지만 우리나라는 결혼준비 다 해놓고 프로포즈는 결혼식 몇일전에 하는 이상한 문화가 있다고봐요.
jjohny=쿠마
18/12/02 21:37
수정 아이콘
사실 대부분의 경우는 결혼식 및 전후절차에 대해 잘 모르는 상태에서 결혼을 준비하게 되기 때문에,
웨딩플래너의 서비스가 실질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딱히 본인들이 꿈꾸는 특별한 방식이 있는 게 아니라면 더욱더요.

플래너급 지식을 가지고 있는 친구가 없다면 그냥 플래너 끼고 하시되, 결혼한 친구들한테 플래너 소개해달라고 하는 것 정도가 팁이라면 팁...

A부터 Z까지 궁금한 건 다 설명해주실 겁니다.
18/12/03 05:26
수정 아이콘
내년 5월 결혼이라 준비중입니다..
결혼박람회 구경갔다가 어물쩡하게 플래너랑 계약하게 되었는데 막상 해보니 웨딩플래너 생각보다 별 도움 안되는거 같습니다
왠만한 예식장에서도 패키지로 스드메 세트 포함해서 할인이 되는데가 많은데 굳이 플래너 도움 받을 이유가 있나 싶네요.

선택의 폭이 대단히 넓지도 않습니다..
플래너한테 직접적인 비용이 추가로 지출되는건 아니지만 영업이란게 다 그렇듯이 플래너 본인 회사와 계약된 곳으로 자꾸 밀어넣으려는 경향이 커서..
자꾸 행사한답시고 이쪽저쪽 부르긴 하는데 예물도 신혼여행도 행사들이 영 허접하더라구요. 할인, 당일계약시 할인만 엄청 강조하고..
결국은 저희는 예물도 따로 알아보고 신혼여행도 따로 알아보고 있읍니다 약간 눈치도 보이고 좀 그렇긴 해요

결혼일정 대단히 어려운것도 별로 없는거 같은데 진짜 시간이 얼마 안남아서 급한상황 아니면 플래너 굳이 안써도 될 것 같아요
어차피 식장만 결정하면 어지간한건 예식장 자체에서 거의 해결이 됩니다
스드메 한복 폐백음식 정도까지는 전부 되는거같고 신혼여행도 연계된 여행사 추천해주고요
따로 해야될건 예물하고 청첩장정도밖에는 없는듯 합니다
18/12/03 09:55
수정 아이콘
상견례 하고 플래너 계약하셔서 진행하시다 보면 자연스레 배우게 됩니다.
원래 결혼은 대부분 다 초짜들이라 서툴고 준비를 시작해야지만 알게 되는 게 많아요
그리고 결혼한다 하면 주변에서도 알아서 오지랖 많이 부려줄 거기 때문에 정보는 많이 들어옵니다
수타군
18/12/03 10:26
수정 아이콘
상견례 후 혼수 등 집안 분위기에 따라 꾸밈비 등 양가 집안 돈들 것 정리
누가 무엇을 하고 얼마나 쓸것인가에 대한것이 먼저 최소 가이드라도 잡혀 있어야 나중에 서운하거나 싸우는게 덜 합니다.
그 뒤로 식장이니 스드메니 신혼여행이니 이런건 여자쪽이 고르는 데로 하시면 됩니다.
절대 남자 입장에서 이성적으로 접근 하시면 안대고 결혼만큼은 여자쪽에서 원하는 대로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돈 드는 것에 대한 최소한의 가이드 라인에 대한 양쪽의 협의가 가장 중요합니다.
(예 : 집은 누가 얼마나 낼 것인가 혼수는 얼마 선에서 할 것인가 식장 이나 신혼여행은 누가 얼마나 낼 것인가 꾸밈비나 예단 함비 같은걸 할 것인가 등)
하드코어
18/12/03 12:00
수정 아이콘
프로포즈 꼭.. 하시고요
저희는 플래너를 와이프가 원하는 샵과 계약이 되어있는 플래너로 골랐습니다.
특정 샵에서 스드메를 하고 싶은데 그 샵과 계약이 되어있어야 해서 샵 리스트를 정하고 그 안에서 몇개 이상을 소개시켜줄수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샵도 한군데만 가는게 아니라 여러곳을 보면서 구경할수 있으니 사실 이런 부분은 여자분 측 지인들이 알아서 소개 해줄테니 잘 따라다니시면 됩니다.
여자분이시키는대로 하시고
가장 중요한건 준비 하는 과정안에서의 의견조율입니다.
어머니의 의견을 싹다 전달하지마시고 알아서 쳐내세요.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그대로 전달하면 농담안하고 지옥맛을 보게 됩니다.)
양보해줄꺼라면 그냥 싹 양보하세요.
어머니는 우리엄마지 와이프 엄마가 아니라는점도....명심하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7716 [질문] 가사로 노래 제목 찾아주실..분들? [6] 살다보니별일이1414 18/12/03 1414
127715 [질문] 제 블박 메모리카드 사진인데 [1] 짱짱걸제시카1950 18/12/03 1950
127714 [질문] 15명 정도가 해외여행을 갈 때 항공권/숙박은 어떻게 하는 것이 제일 저렴할까요? [7] Dreamlike2131 18/12/03 2131
127713 [질문] 해외숙박예약은 어디사이트가 좋은가요? [8] 쥬갈치2091 18/12/03 2091
127712 [질문] 학교 축제 무대.. 어떤 곡이 좋을까요? [17] 삭제됨1752 18/12/03 1752
127710 [질문] 생애최초 특별공급은 청약신청을 1번만 할 수 있는건가요? [4] 부폰2320 18/12/03 2320
127709 [질문] 20대 남자 다섯명 정도가 세부 여행 가면 비용 얼마나 드나요? [4] 신불해2785 18/12/03 2785
127708 [질문] 현대자동차 임원 면접을 보게 되었습니다. [7] 나이스데이4354 18/12/03 4354
127707 [질문] 30대중반 아이동반 부부모임 질문입니다. [9] 李昇玗3666 18/12/03 3666
127706 [질문] 요즘도 통신사별 인터넷 속도 차이 심한가요? [9] 미야와키 사쿠라3139 18/12/03 3139
127705 [질문] [로아] 생활장비 및 생활스킬 질문드립니다 [7] 블루태그4934 18/12/03 4934
127704 [질문] 가게 내부 공사로 인한 휴무 질문 입니다 [2] 터키쉬겟업1683 18/12/03 1683
127703 [질문] 차량 브레이크 수리 질문 드립니다. [4] MayLee1821 18/12/03 1821
127702 [질문] 부모님 댁에 컴퓨터를 바꿔드리려고 하는데.. [13] 안유진2292 18/12/03 2292
127701 [질문] 워크래프트 스토리가 알고싶습니다. [8] AminG2613 18/12/03 2613
127700 [질문] 삼성 LG 스마트폰의 DAC 성능이 차이가 많이 나나요? [14] 츄지Heart6203 18/12/03 6203
127699 [질문] 일본어 공부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7] 빅게임피처2158 18/12/03 2158
127698 [질문] 블랙박스 메모리카드 질문입니다 [5] 짱짱걸제시카1517 18/12/03 1517
127697 [질문] 온수매트 사용 질문 [2] WHIPLASH1570 18/12/03 1570
127695 [질문]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게 나왔습니다. [4] 서쪽으로가자2573 18/12/03 2573
127694 [질문] 항생제 부작용 고지 책임은 누구한테 있는건가요? [16] monkeyD2328 18/12/03 2328
127693 [질문] 사진+동영상 저장 어디서 하세요? [6] 1525 18/12/03 1525
127692 [질문] 번들거리지 않는 선크림 추천부탁드립니다. [8] Asterflos2509 18/12/03 25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