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1/27 17:22:06
Name 새강이
Subject [질문] SKT가 e스포츠에 많이 투자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새강이입니다

먼저 e스포츠를 사랑하는 팬으로서 스타1 때부터 투자를 아끼지 않는 SKT 관계자분들 및 타 기업 분들께 감사하다는 말씀드립니다.

제가 하나 궁금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Lol이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끄는 게임인것은 확실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보면 내수 위주 기업인 SKT가 (통신업의 특성상) 이토록 e스포츠에 많이 투자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내수 시장으로만 놓고보면 확실히 시장지배적 위치를 갖고 있는 SKT가 굳이 많은 투자를 할 필요는 없어보이고..(대한민국에 Skt 모르는 사람 없으니)

삼성전자나 현대차처럼 수출이 중요한 기업도 아닌데 기업 홍보가 아무리 전세계에 된다고 해도 많이 투자하는 이유가 뭘까요?? SK그룹 홍보차원이라고 해도 하이닉스나 이노베이션은 B2B위주고...

투자한만큼 내수 시장에서도 충분히 홍보효과를 보기 때문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위르겐클롭
18/11/27 17:33
수정 아이콘
일단 투자해도 100억도 안되는 지출인지라(많지않긴해도 수익이랑 퉁치면 더 줄어들거고) 투자에 크게 부담이 없고 내수긴해도 주 타겟층은 10대 20대 남자들 대상으로 1등기업 이미지를 갖추면 장기적으로 이득이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또 미래에 혹시모를 글로벌 업종 진출 가능성도 염두에 둘지도...
새강이
18/11/27 19:00
수정 아이콘
1등기업 이미지가 중요하군요 감사합니다
샤르미에티미
18/11/27 17:44
수정 아이콘
국내에서라도 이미지 좋게 하는 것 나쁘지 않고 평생 내수 기업으로 살 생각도 없을 겁니다. 또 일단 이름 알려두면 나쁠 게 없죠.
새강이
18/11/27 19:01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홍보는 확실하니.. 감사합니다
18/11/27 17:46
수정 아이콘
뭐 이래저래 젊은 이미지 확보+홍보효과에 이만한 투자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는거 같습니다.
90년대 후반부터 sk의 젊은 이미지 구축 노력은 꾸준히 이어 왔다고 봅니다.
제 기억을 더듬어보면 90년대 중후반까지 sk텔레콤의 이미지는 가입자 많고 잘 터지는(?)통신사지만 다소 고루한 이미지의 기업이었어요. 뭐 상대적으로 가격대가 좀 쎄고 어른들이나 많이 쓰는 그런 통신사 느낌?? 그런데 90년대 후반 TTL을 필두로 젊은 시장 공략에 엄청나게 투자를 했었고 스타프로팀 창단도 그런 맥락에서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때마침 당시 임요환이라는 아이콘도 있었구요.
한창 스타판 조작건으로 위기에 몰렸을때도 발 안뺀거 보면 이스포츠 게임단의 효과에 대한 평가는 그룹내에서도 꽤나 좋은평가가 계속되고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스타판 아이콘이었던 임요환과 함께했던 경험이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지금 롤판의 아이콘인 페이커를 굳이 놓칠 이유도 없다고 생각하는 것 같고 이정도 투자는 충분히 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 하는것 같습니다.
새강이
18/11/27 19:01
수정 아이콘
제가 90년대생이라 미처 몰랐던 부분 자세히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부분이 크리티컬하네요
18/11/27 17:50
수정 아이콘
저는 홍보효과도 있겠지만 자존심? 자긍심 같은 게 아닐까 싶네요. skt는 이스포츠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라는 자부심 같은 거요. 이게 리그내 다른 스폰서나 다른 종목에는 잘 없는 거라서요.
새강이
18/11/27 19:02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아예 종목하나를 리드하는 기업..감사합니다
18/11/27 17:51
수정 아이콘
1등이미지를 얻기위해 돈을쓰는건 도박이지만, 이미있는 1등 이미지를 지키는건 그에 비하면 상수에 가까우니까..
의도했든 아니든 독보적인 이미지를 굳이 버릴 이유는 없다고 생각하겠죠. 내수파이를 더 잘 갈라먹기 위해서든 해외로 진출할 거리를 위해서든
새강이
18/11/27 19:02
수정 아이콘
변수를 줄이고 상수를 늘리는게 경영의 기본이군요 감사합니다
달달합니다
18/11/27 18:54
수정 아이콘
웃자고 하는 이야기로는 화웨이쪽 고위임원하고 만났는데 롤드컵 성적가지고 놀렸다는썰이 크크크크크크킄크크
새강이
18/11/27 19:03
수정 아이콘
크크크 고위임원들 사이에서 이야깃거리 될 정도면 충분하네요 감사합니다
수분크림
18/11/27 19:31
수정 아이콘
페이커 없었으면 이렇게 투자 안 했을걸요 스타판도 임요환이 있으니까 최고로 투자한거고
새강이
18/11/27 21:31
수정 아이콘
임요환 페이커 두 사람 알아보고 계속 투자한것도 대단하네요 감사합니다
솔로14년차
18/11/27 22:15
수정 아이콘
SK가 임요환에게 투자한거야 임요환이 정점찍고 꽤 지난 다음이었죠.
페이커의 경우 확실히 페이커를 보고 들어온 것이지만요.
새강이
18/11/28 13:12
수정 아이콘
흠 그러면 임요환 스타성 보고 한번 들어갔다가 꽤 괜찮으니 페이커로 이어진거군요
18/11/27 20:19
수정 아이콘
저도 스크트가 왜이렇게 이스포츠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주는지 항상 궁금합니다. 아주 옛날에 장충체육관에서 스타리그 결승할때도 스크트가 꽤 힘을 썼거든요.. 도대체 왜?
새강이
18/11/27 21:31
수정 아이콘
저희같은 범인은 일단 추측만 해야겠네요 흐흐
진인환
18/11/27 21:07
수정 아이콘
skt는 내수기업을 벗어나고싶어합니다. 해외진출한다고 해본것들이 다 망해서 내수기업일 뿐이죠..
새강이
18/11/27 21:32
수정 아이콘
오 그렇군요 한번 찾아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Supervenience
18/11/28 00:55
수정 아이콘
SKT 뿐만 아니라 그룹차원 해외 홍보효과가 있죠 얼마전 사고난 sk 건설 같은 곳도 있지만, 이젠 하이닉스까지 다 슼이죠
새강이
18/11/28 13:13
수정 아이콘
그나마 SK건설이나 워커힐 정도는 B2C 업종이라고 볼 수 있는데 SK그룹의 나머지 메인 업종은 다 B2B라서 의아했었는데 확실히 홍보효과가 있나보네요 감사합니다
펠릭스30세(무직)
18/11/28 02:32
수정 아이콘
싸니까. 모든기업이 홍보효과를 누리는 건 아니지만 투자대비 산출이 좋으니까요.

오히려 이해가 안가는게 LG와 삼성입니다.
새강이
18/11/28 13:15
수정 아이콘
저도 확실히 투자 대비 산출은 좋다고 생각하는데 내수 위주 기업인 SKT가 많이 후원하는게 궁금했습니다. 수출 위주 기업 특히 B2C 위주 기업들의 후원이 더 늘어났으면 좋겠네요 LG는 수출 내수 둘 다 잡을 수 있어서 좋네요
바카스
18/11/28 11:21
수정 아이콘
롤드컵 결승 시청자 수가 억 단위입니다.

국내 야구 100억이면 a급 선수 한명 살까말까고 5천만이 보는데

롤 100억이면 드림팀 구성이 가능하고 수억이 시청하죠.

그리고 스타1부터 이어져 온 e스포츠의 강자는 skt t1이다라는 걸 유지하고픈 국내 1등 기업의 자존심까지, 그로 인한 이미지 구축. sk에선 노 놓은 홍보죠 이건.
새강이
18/11/28 13:15
수정 아이콘
큰 그림으로 보면 좋은 홍보 맞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티모대위
18/11/28 18:52
수정 아이콘
약간은 유치(?)한 T1 팀 로고를 그대로 유지하는것도 비슷한 맥락이라 봐요.
SK 기업 로고랑 비슷한 색감을 유지해서 그룹홍보효과를 갖추는 거겠죠. 다들 팀로고 좀 바꾸자 하면서도 SKT가 숨쉬듯이 롤드컵 들어올릴적엔 위엄의 상징이었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7544 [질문] (후기추가)노트북에 추가 하드 hdd 장착시 케이블?가이드킷? [13] 안프로5059 18/11/28 5059
127543 [질문] 여자친구 100일 선물 추천 부탁드려요 [6] 나이스4017 18/11/28 4017
127542 [질문] 롤 1년 반만에 복귀 - 아주 크게 바뀐 점이 있나요? [5] 레이오네1956 18/11/28 1956
127541 [질문] 수능 31번 문제 논란이 뭔가요? [5] 홀리워터2168 18/11/28 2168
127537 [질문] 친척간의 호칭이 참 어렵네요 [12] 삭제됨3403 18/11/28 3403
127536 [질문] 폭행 고소에서 (증인관련) [2] 소와소나무1494 18/11/28 1494
127535 [질문] 앱을 찾을수가 없어요ㅠㅠ 하율아범934 18/11/28 934
127534 [질문] 중국분들 은수저 쓰시나요? [4] 밀물썰물1625 18/11/28 1625
127533 [질문] pc에서 안드로이드폰으로 파일과 메모 전송 가능한 프로그램 추천 부탁드립니다 [9] SlaSh.1326 18/11/28 1326
127532 [질문] SSD를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해도 되나요? [1] delaffe2155 18/11/28 2155
127531 [질문] 아마존페이 결제시 질문입니다. [3] NewDIctionary1561 18/11/28 1561
127530 [질문] 저작권 문제인데 되게 애매하네요... [7] bhsdp2235 18/11/28 2235
127529 [질문] 발 지압도구 추천 부탁드려요. [2] monkeyD1407 18/11/28 1407
127528 [질문] 원서구매시 아마존 직배 or 배대지이용? [18] phoe菲5488 18/11/28 5488
127527 [질문] 컴퓨터 견적 이륙허가 부탁드립니다. [14] 2787 18/11/27 2787
127526 [질문] 남성 로퍼 질문이요 [6] 파핀폐인2896 18/11/27 2896
127525 [질문] 그래픽카드 어떤걸 사는게 좋을까요?? [18] 李昇玗3384 18/11/27 3384
127524 [질문] 무한도전 형돈이-데프콘-지디 꽁트질문 [13] 분당선5710 18/11/27 5710
127523 [질문] 보딩패스를 대체할 탑승 증빙서류가 없을까요 [6] 블리츠크랭크8592 18/11/27 8592
127521 [질문] 남자가 여자를 볼때의 외모와, 여자가 남자를 볼때의 능력은... [22] 마르키아르6528 18/11/27 6528
127520 [질문] 하드 복사를 가장 쉽고 빠르게 하는 법? [4] 미야자키 사쿠라2152 18/11/27 2152
127519 [질문] 자전거에 이상한 부품이 있는데, 용도가 뭘까요? [4] 모데나1953 18/11/27 1953
127518 [질문] ssd256기가 사용중인데 용량이 부족합니다.hdd로 빼도 되는 게임이 있을까요? [6] 세오유즈키2302 18/11/27 23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