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1/15 14:59:51
Name Specter
Subject [질문] 오버워치 같은 피지컬 게임은 몇살까지 할 수 있을까요? (수정됨)
안녕하세요.
20 후반 아재 게이머입니다.
요즘 들어 오버워치에 푹 빠졌는데 (제가 유행에 좀 느립니다;; 하하)

문득 드는 생각이,
오버워치 같은 fps 장르의 피지컬 게임은 몇살까지 할 수 있을지 궁금해지더라구요.

일단 전 뼛속까지 게이머라,
아마 죽을 때까지 여러 게임들을 할 것 같은데
fps 게임은 특히 에임/ 반응속도가 중요하잖아요?

아직까진 플래~다이아(며칠 전에 다이아 승급)에서 딜러 모스트(겐지, 맥크리) 하면서
상대방에 대리가 있지 않은 이상 크게 딸린다는 생각은 안 들던데
몇살부터 피지컬이 떨어지기 시작할까요?
(프로게이머 수준이 아닌 즐겜하는 일반인 기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스티
18/11/15 15:01
수정 아이콘
트위치에서 베그방송하던 할아버지 보면 몇살이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18/11/15 15:10
수정 아이콘
반응속도가 중요하고 그런건 최상급 경쟁을 하는 프로 이야기죠. 제가 보기엔 운전이 불가능한 나이 아니면 얼마든지 가능할걸로 예상합니다.
修人事待天命
18/11/15 15:17
수정 아이콘
다이아까지는 피지컬이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제가 아는 45살 형님께서...
Zoya Yaschenko
18/11/15 15:22
수정 아이콘
30은 아재가 아닙니다. 창창한 나이죠
18/11/15 15:25
수정 아이콘
피지컬이 떨어져도 즐길 수 있으면 되죠.
축구나 배드민턴하는 분들이 뭐 나이들면서 피지컬이 올라가서 그걸 하는 건 아니잖아요.
18/11/15 15:26
수정 아이콘
야구선수가 부상이 없을 경우 30대 후반까지도 정상적으로 활동하는 걸 볼때 40까지는 안전빵일 것 같습니다.
게임은 근력 체력이 아예 불필요하단 걸 생각하면 바둑기사처럼 5060까지 활동가능할수도 있구요
전성기는 20대겠지만요
18/11/15 15:31
수정 아이콘
그런데 fps는 나이나 피지컬까지 따지는 건 프로급 영역인 거 같고 그냥 즐기는데는 큰 무리 없지 않을까요.
일단 제 fps 인생은 대학 1학년때 친구들과 메달하면서 이미 끝났....;;
18/11/15 15:32
수정 아이콘
40대 격투게이머들도 잘하더군요..
손금불산입
18/11/15 15:39
수정 아이콘
오버워치는 다른 FPS보다 훨씬 괜찮을 것 같네요.
이사무
18/11/15 15:41
수정 아이콘
29이 무슨 아재에요;;;
트네르아
18/11/15 15:42
수정 아이콘
플래티넘 수준이라면 40대도 충분히..
18/11/15 15: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서른 중반의 fps를 주로 해 온 게이머입니다. 오버워치는 베타때부터 즐겨오고 있어요.
어릴 때 둠,울펜을 다른 고전겜보다 먼저 접했고 이후로 퀘이크를 좀 열심히 했고 카스시리즈, 팀포도 재밌게 했구요.
글옵은 양민컷 정도라고 불리는 공훈 정도였고,
옵치는 시즌 4때였나 준배치빨로 마스터 한번 찍고 그 이후론 다딱이에서 왔다갔다하는 신세입니다.
모스트는 디바 트레이서 젠야타였고, 요즘은 '그 영웅' 덕에 브리기테나 모이라도 자주하네요.

저도 엄청 나이를 먹은 건 아니지만 제가 느끼기엔, 반속이라던가 에이밍 능력이 급격히 떨어진다기 보다는
그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고도의 집중력이 유지되는 시간이 좀 짧아지는 느낌이에요.
한창 때는 긴장되는 구간이 길어지거나 너무 급박한 상황이 생겨도 크게 심호흡 한번 하거나
탄산 하나 까서 마시면 리프레쉬되면서 쭉 몇시간이고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그게 힘들어요 흑흑..
진 빠지는 판 두어번 만나면 이후 판들에선 약간 막? 하게되는 경향이 좀 생기더라구요.
그래서 큐를 멈추거나 겜을 끄고 짧게는 유튜브나 트위치를 본다거나
길게는 상대적으로 편안한 다른겜 (와우라거나 돌겜이라거나..)을 하면서 쉬어줘야 집중력 회복이 되는 것 같아요.

굳이 비유하자면, 날을 예리하게 세우는 건 가능한데 금방 무뎌져서 갈아줘야 하는 횟수나 시간이 느는 듯한 느낌?
진짜 첨예하게 날을 세우고 싸워야하고, 한 시즌에도 팔팔한 경쟁자들이 쏟아지는 프로판이면 모르겠지만
일반인 급에서의 중고수? fps의 에이밍 능력엔 반속도 중요하지만,
꾸준히 마우스를 써오면서 축적해 온 반복숙달도 큰 부분이라고 생각하거든요.
특히나 오버워치 같은 게임은 궁 게이지 판단이나 조합에 대한 이해도 같은 지식과 경험들도 중요하구요.

이상하게 글이 좀 길어졌네요.. 결론은 진짜 높은 곳을 바라보는 것 아니면 신경 쓰일 정도가 아니다.
체감적으로 느껴지는건 동체시력이나 반속같은 부분보다 체력적인 부분이다 정도네요.
제가 아는 마흔 중반 형님 중에 철권 좋아라 하시는 분 있는데, 최근작도 빨강단 찍으시더라구요.
(주황단이었는데 이번에 물어보니 빨강단 찍었다고 노발대발하셔서 수정합니다 크크크)
그런 거 보면 아마 피지컬이 떨어지는 것 보다는 오버워치를 대체할 다른 게임을 만나는게 빠를 것 같아유 크크크
18/11/15 15:58
수정 아이콘
여기서 29살이 아재얘기를 하시면..
18/11/15 16:13
수정 아이콘
인공지능 하는 사람도 있는데요

뭐 마우스 움직일 수 있으면 하는거죠
중학교일학년
18/11/15 16:17
수정 아이콘
피지컬이 떨어진다기 보다는 예전보다는 게임 할 시간이 줄다보니 게임을 잘 하기가 힘드네요.
아무리 FPS가 샷발이 중요하다지만, 맵에 대한 이해도 동선, 각폭, 팀합 등을 공부할 시간이 없어요.
오버워치는 캐릭에 대한 이해, 스킬, 카운터 조합, 영웅, 맵 이해, 팀합 등등요
게다가 프로게이머 같은 경우 손푸는 연습으로 시간을 투자하는데 손풀다가 지쳐서 게임을 못하죠. 크크
김동욱
18/11/15 16:45
수정 아이콘
33살이고 현시즌 3700점대 마딱이입니다. 옵치는 2시즌부터 했고 4시즌부터 마스터 유지중입니다.
그마를 찍으려면 지금보다 게임시간을 2배는 늘려야 할거 같은데 불가능합니다.ㅠㅠ
딜러는 반응속도가 확실히 중요한거 같습니다. 하지만 탱커나 힐러는 상황판단 능력(맵 이해도, 궁극기 타이밍 및 카운터, 케어능력 등)이
훨씬 중요해서 피지컬을 그렇게 요하지 않는거 같습니다. 저만해도 피곤하고 저녁 부실하게 먹고 게임하면 그날 게임 잘 안풀립니다.
18/11/15 16:47
수정 아이콘
39살인데 솔직히 딜러는 못하겠네요 원래도 피지컬이 좋은편은 아니긴 합니다. 탱 힐 위주로 즐기고 있습니다.
제일 힘든거는 윗분들 말씀처럼 계속 공부하고 연습하고 해야하는데 신규 영웅 나올때마다 점점 더 힘들어요.
18/11/15 16: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인생걸고 게임하는게 아니니까 중요하지않을뿐이지 20대후반부터 피지컬은 전성기 지나간거죠.
재능러는 아니다보니 그래도 티안나던 이십대중반까지는 적성맞는 게임이면 랭커도 찍어보고했었는데 30대초반인 지금은 전혀 자신없네요.
18/11/15 18:03
수정 아이콘
분명 동체시력 반응속도 멀티태스킹 이런 피지컬은 분명 10대~20대가 전성기겠죠.

근데 제가 30대 들어와보니 이런 피지컬에 의한 기량하락도 있지만,

사회생활 하면서 게임에 들이는 시간이 줄어든 점, 게임에 집중하기 힘든 환경이 기량하락에 더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빈다.
레너블
18/11/15 18:50
수정 아이콘
29살이면 어느회사를 가도 막내수준도 아닌 애기 수준일걸요
피지알만봐도 30중반이 평균 나이대일거에요.
게임 전혀 문제없죠
이호철
18/11/15 19:43
수정 아이콘
30살로 '게임용' 아재 피지컬 이야기하는건 의미가 없죠. 한 60대는 되면 몰라도.
18/11/16 00:43
수정 아이콘
피지컬 하락은 20초반 넘으면 서서히 감소하지만 30중반부터는 급격하게 확 느껴집니다.

리듬게임 잘하는 편이였는데 30중반되서 해보고 토할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7091 [질문] 컴퓨터 견적 이륙확인좀 부탁드립니다 [3] 로트리버1974 18/11/17 1974
127090 [질문] 메날두를 제외한 2000년 이후 최고의 스트라이커를 꼽는다면? [24] swear2941 18/11/17 2941
127089 [질문] 레츠고 피카츄 포켓볼 꼭 사야하나요? + 2인용으로도 할만한가요? [4] 호연3264 18/11/17 3264
127088 [질문] 직장에서 엿같을때 무슨 생각 하면서 버티세요? [32] Song13542 18/11/17 3542
127087 [질문] 프듀 아이엠 조는 왜 이채연을 방출했을까요? [15] 공발업나코템플러4344 18/11/17 4344
127086 [질문] 중고 가전 구매로 고민입니다. (냉장고, 세탁기) [6] BEREADY42953 18/11/17 2953
127085 [질문] 로스트아크 메모리부족 팅김현상 [7] 김첼시9438 18/11/17 9438
127084 [질문] 홍대 곱창집 추천부탁드립니다 [1] 마제스티1585 18/11/17 1585
127083 [질문] lpl에서 폰이 루키 상대로 우위였나요? [16] 삭제됨2886 18/11/17 2886
127082 [질문] 연말정산할 때 공제 잘 되는 적금은 어떤 게 좋은지요...? [5] nexon5066 18/11/17 5066
127080 [질문] . [2] 삭제됨1594 18/11/17 1594
127079 [질문] [급질문] 안녕하세요 흉부 통증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7] 인생은서른부터1511 18/11/17 1511
127078 [질문] KT샵에서 아이폰 사려는데 괜찮나요? [2] 코우사카 호노카2006 18/11/17 2006
127077 [질문] 스노우보드 용품 오프라인으로 구입 어디서 하는게 좋을까요?? [9] 치맥사랑2457 18/11/17 2457
127076 [질문] 중고 노트북 싸고 괜찮은거 살 수 있는 곳 알 수 있을까요? [5] 한글날1329 18/11/17 1329
127075 [질문] 속눈썹이 새치마냥 하얗게 변하네요 [2] Lord Be Goja4011 18/11/17 4011
127074 [질문] 혹시 타블렛(그래픽 태블릿)으로 사인도 가능한가요? [3] 테네브리움1588 18/11/17 1588
127073 [질문] 컴린이 드래곤볼 모으려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12] 삭제됨2183 18/11/17 2183
127072 [질문] 레데리2 CD와 DL중 어떤걸로 사는게 낫나여?? [12] 낫아웃양PD1908 18/11/16 1908
127071 [질문] 갤럭시s9 동영상 10분이상 찍을수있는방법 [7] 돼지도살자7562 18/11/16 7562
127070 [질문] 구슬굴리는 장난감에 대해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xx레일 시리즈) 희열1194 18/11/16 1194
127069 [질문] 은둔형 외톨이와 현대 문명이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7] 사진첩2242 18/11/16 2242
127068 [질문] cpu만 업글하고 싶습니다. [6] 호로1748 18/11/16 17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