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1/10 18:17
그냥 2010년인가에 방송법이 개정되면서 합법화 되고 ppl이 많아진거죠.
예전엔 이것때문에 상표에 테이프 붙이고 난리쳤죠. 상표 나오면 경고 먹고 했었구요. ppl이 허용되고 돈이 들어오니까 제작비를 더 쓸수 있게 된것이라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18/11/10 20:00
예전에는 공중파 셋이서 시청률 90% 이상은 먹었고 최대 광고 센터였으니까 필요가 없었고 케이블 채널이야 중간 광고 되고 길게 광고 내면서 충당하면 되고 자체 제작이 거의 없으니까 운영이 됐죠. 인터넷이 발달하고 케이블 채널의 입지가 상승하면서 광고비를 나눠갖게 되자 모든 채널이 PPL 없이는 전처럼 제작비가 충당이 안 되는 환경이 됐으니 PPL이 필수가 된 겁니다. 물론 규제가 풀어져서도 맞는데 규제가 풀어진 이유가 있죠.
여담으로 PPL 개념 자체는 트루먼쇼라는 영화에서 아마 한국 사람들은 (국내 거주) 처음 접한 개념이 아닐까 싶고요. 또 미국/일본은 20분짜리 방송에도 광고를 수시로 넣고 PPL도 하고 있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