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1/05 18:57:17
Name nexon
Subject [질문] 실무경험 없는 사람이 전략과 기획을 훌륭하게 짜는 비결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예전 춘추전국시대나 삼국시대 등에 활약한 전략전술가들을 보면

실무경험은 전혀 없이 오직 책으로만 공부한 손자, 오자, 장량, 범증, 제갈량, 사마의 등등이 훌륭한 전략과 기획을 세워 승리하는 모습들이 나오는데요

이런 사람들은 자기 손으로는 칼 한 번 휘둘러본 적 없고 전쟁터에서 공포심 한 번 느껴본 적이 없는 사람인데

어떻게 해서 목숨을 건 승부를 승리로 이끌고 허를 찌르는 전략을 세울 수 있었던 것일까요...?


한신, 나폴레옹, 구데리안, 롬멜 같은 사람들은 기획력뿐만 아니라 자기가 직접 현장에 서서 실제 전투를 해본 경험도 갖춘 사람들이었지만

꼭 그들처럼 직접 실무를 해봐야만 훌륭한 전략가가 되는 것은 아니더라도 실무 경험 여부가 실행가능성과 성공가능성을 판단하는 전략전술을 세울 때 굉장히 중요한 자질이 될 텐데

그런 과정 없이 오직 책만 보고 연구해서 판단하고 결정하고 실행하는 백면서생이 성과를 얻어내는 능력은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요...?

부실한 계획이라도 실무하는 사람을 쥐어짜면 결국 성과는 나오게 마련인 것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1/05 19:19
수정 아이콘
근데 성공한사람의 계획을 보면 실무자가 정말 폐급아닌이상 성공할만한 기획과 변수차단력들이 있죠 물론 기발함도있었지만요
백면서생이라곤 하지만 저 전략가들은 동시에 1군지휘관이거나 준하는 자격으로 전장에 다 나섰던사람들입니다
물론 저들중에서도 중간실패들은 많이 있었겠죠 드러나지 않아서 그렇지 보고가 올라오면 즉각 방안마련해서 대처하고 큰줄기와 시운을 잡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봅니다 막연하게 당연히 구도상 막연히 천하삼분이 될수밖에 없겠지..라는것과 천하삼분지계의 세세한 방안과 줄기 해당정보를 취합해서
전략을 짜는것은 다르겠죠

제가 제일 좋아하는 카이사르만 하더라도 일기토대장이었다 헤라클레스같은 체력이었다 절대 안나옵니다 정신력은 그에 준했지만..
정신력, 언변과 전략, 통찰력, 결정력, 시행력, 적절하고 탁월한 인사 등이 결합되서 높은고점에 오른사람들이 업적을 남겼다봅니다
그리고 계획이 진짜 머저리같은경우 실무자를 아무리 쥐어짠들 일본의 무타구치 렌야 처럼 되는거죠
유유히
18/11/05 19:38
수정 아이콘
우리가 모를 뿐이지 최소한의 실무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삼국지로 예를 들자면, "금일 승상이 모 부대 아무개를 불러 사정과 전황을 듣다" 같은 것까지 진수가 알지는 못했을 테니까요. 촉한에 승정원일기가 있었다면 더 알 수 있었겠지만요.

최소한 각 병종별 진격속도(예:기병, 보병, 공성기, 보급부대 등등)나 일인당 평균 보급필요수량 같은 것은 알아야지 조조의 종심타격계획을 세우겠지요. 하지만 반대로 얘기하면 그런 정보만 경험적으로 파악한 실무자들에게 파악한다면 의사결정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제가 아직 실무자에 가까운 관리자라 그런지 모르겠지만, 보다 상급 관리자로 갈수록 무엇보다 요구되는 능력은 실무지식이 아니라, 의사결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구조화시키는 일이더군요. 재무회계와 인사, 세무, 테크니컬 이슈에 모두 능한 팔각형 인재이라면 좀 다를지 모르겠습니다만..

그리고 역사에 안 남아서 그렇지 조언 잘못했다가 목 날아가는 참모가 수두룩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제갈량이나 한신은 꽤나 운도 좋고 노력하는 참모가 아니었을지..
티모대위
18/11/05 21:03
수정 아이콘
사마의는 전략에 강했지 전쟁 현장에서의 전술과 지휘 측면에서 뛰어난 사람은 아니었다고 생각하고요, 제갈량도 유비에게 등용된 직후의 활약은 연의에서 과장된 측면이 많았던 것 같고, 군사로서 많은 경험을 쌓으면서 점차 완성된 책략가라고 생각합니다.
18/11/09 22:3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6711 [질문] 스타크래프트2 유즈맵이 흥행하지 못한 이유가 있나요? [17] 천사9828 18/11/06 9828
126710 [질문] [LOL] 폭풍의 결집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4] 발틴4206 18/11/06 4206
126709 [질문] 냉장고 만 다른 집으로 옮기고 싶은데 방법이 없을까요? [6] 요슈아2748 18/11/06 2748
126708 [질문] 재미있는 영미권 드라마 추천해주세요. [16] 도축하는 개장수2086 18/11/06 2086
126707 [질문] 딥러닝 기초 질문입니다 [6] Crash1828 18/11/06 1828
126706 [질문] 듀얼모니터 연결시 질문입니다.(렉현상) [4] 격멸1708 18/11/06 1708
126705 [질문] 취업시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보는 곳? [7] 사이시옷6822 18/11/06 6822
126704 [질문] 교육 공학 공부하기 좋은 책 추천 부탁드려요 [2] 바밥밥바1443 18/11/06 1443
126703 [질문] 1년묵힐 삼성바이오로직스vs현대차 추천부탁드려요 [24] 삭제됨2905 18/11/06 2905
126702 [질문] 어제 냉부에서 휘성이 말한 19금 발언이 무슨 내용이었을까요? [10] 비싼치킨6193 18/11/06 6193
126701 [질문] 로스트아크 어떤서버에서 하시나요? [11] 랑비3731 18/11/06 3731
126700 [질문] 이거 인터넷 사기인가요? [2] 송해나2172 18/11/06 2172
126699 [질문] 사회복지사 1급만으로 취업 가능할까요? [4] monkeyD3912 18/11/06 3912
126697 [질문] 애플워치4 vs 애플워치3 [6] 아타락시아12687 18/11/06 2687
126696 [질문] 이하넥시 배대지로 직구시 가장 안전하게 받는 포장방법? [4] 김철(34세,무좀)4649 18/11/06 4649
126695 [질문] (CPU) 레이븐릿지 관련 질문입니다. [5] StondColdSaidSo2450 18/11/06 2450
126694 [질문] [LOL] '선택하신 친구의 획득 가능 스킨 수가 부족해 수수께끼 선물을 보내실 수 없습니다.'는 무슨 의미인가요? [2] 修人事待天命11861 18/11/06 11861
126693 [질문] 부부간 개인정보공유 어디선까지.. [56] iliket5716 18/11/06 5716
126692 [질문] 컴퓨터 두대에 연결 가능한 키보드가 있을까요? [8] 후왕3503 18/11/05 3503
126691 [질문] 유튜브영상 다운 시 납치되는 경험을 하였습니다. [10] 계란말이7501 18/11/05 7501
126689 [질문] 주간지도 헌책방에 팔 수 있나요? [1] Liberation2310 18/11/05 2310
126688 [질문] 비행기 화장실 앞자리 괜찮나요? [10] 샨티11394 18/11/05 11394
126687 [질문] 트와이스 예능인 것 같은데 알려주세요~ [4] 삭제됨1655 18/11/05 165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