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0/26 13:34:05
Name 부처
Subject [질문] 경알못) 왜 금리를 못올리는건가요?_?


경제 알못입니다.
14년도부터 주식 위주로 하고 있고, 작년에는 코인했었습니다. 올해 1월에 전부 털고 나왔구요.
그것도 차트볼 줄 모르고 그냥 감으로 합니다.

다행히 아직까진 이득이고 현재는 전부 현금화 하고 대기중입니다.

고수들은 인버스한다던데 거기까지는 하고 싶진 않구요...


도대체 왜 금리를 못올리고 있는 건가요? 가계부채가 많아서 금리인상부담이 되는건가요?

정치적인 이유가 있는건가요?

주가가 전세계적으로 떨어지는데 남들 재채기하는데 우리만 피토하는 것 같아서요... 도대체 왜이런 상황이 온거죠...?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nddddna
18/10/26 13: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원론적인 이야기를 하면 경기가 안좋은데 금리를 올리면 경기가 더 안좋아지니까요.
F.Nietzsche
18/10/26 13:55
수정 아이콘
금리를 올리면 아닌가요?
anddddna
18/10/26 14:21
수정 아이콘
아아 네 잘못썼습니다
덴드로븀
18/10/26 13:54
수정 아이콘
전부다 연결되어 있으니까요.
금리 인상 -> 가계/기업대출 금리 상승 -> 기존대출자 이자 부담 + 신규대출규모 하락우려 -> 가계수입감소 + 기업투자감소 -> 시장에 돈이 안돌게됨 -> 시장위축 분위기 형성 -> 외국인의 주식매도 등 자산의 현금화 -> 주식 추가 하락 + 부동산 경기위축 + 가계소비 위축 + 현금부족한 기업위기 등등등....
긴 하루의 끝에서
18/10/26 14:23
수정 아이콘
금리 인상 시 기존 대출자에게도 인상된 금리가 일괄 소급 적용되나요?
덴드로븀
18/10/26 14:37
수정 아이콘
소급적용같은게 있는지는 모르겠고 변동금리 대출이면 무조건 영향을 받으니까요.
긴 하루의 끝에서
18/10/26 15:12
수정 아이콘
변동 금리면 그렇겠네요. 그런데 보통 이쪽이 비율이 높은가요?
덴드로븀
18/10/26 15:19
수정 아이콘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16/2018101600110.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은행권 대출 잔액 중 고정 금리 대출 비율은 지난해 8월 34.5%였지만, 지난 한 해 변동 금리 대출이 불어나며 올 8월 말엔 30.0%로 하락했다. 금융 당국의 집중 관리 대상이었던 주택 담보 대출의 고정 금리 대출 비율 역시 올해 상반기 44.2%로 지난해보다 소폭 내려갔다.

대출 전체로 보면 대충 7:3 정도? 로 보면 되지 않을까 싶긴 하네요
긴 하루의 끝에서
18/10/26 15:23
수정 아이콘
확실히 금리 인상 결정이 결코 쉽지 않은 상황이긴 하군요.
이밤이저물기전에
18/10/26 14: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단기 부채 사이클이라는게 있습니다. 대체로 주기는 5년에서 8년 사이 인데요.
상승기에는 중앙은행에서 저금리로 대출을 많이 해줘서 경제활성화를 도모 합니다. 이때 대출을 통한 소비가 활성화 되면서 경제 상승이 일어나는데 인플레이션 또한 일어나면서 자산 가격이 부풉니다. 그런데 계속 저금리로만 가면 인플레이션이 심해지고 버블이 터지면서 경제 전체가 주저앉을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하강기에는 중앙은행에서 금리를 올려 디플레이션을 유도 합니다. 한마디로 대출이라는 방법을 통해 (개개인과 국가가 빚을 떠앉아서) 경제활성화를 시켰으니 이제 그 부채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죠. 그래서 중앙은행은 이런식으로 주기적으로 금리인하/금리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율을 조절합니다.
뭐 그래도 부채는 시간이 지날수록 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장기 부채 사이클이 일어납니다. 이때 중앙은행이 올바른 정책을 펴서 최대한 안정적으로 디레버리징을 하는게 중요하죠. 일본 중앙은행이 이걸 제대로 못해서 소위 말하는 잃어버린 10년 (이라고 쓰고 잃어버린 30년이라고 읽지요) 이 일어났지요.

암튼 그래서 금리를 올리긴 올려야 되는데 위에 분들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금리를 올리면 소비심리가 위축이 되면서 자산거품도 꺼지고 투자도 줄고 악순환으로 경제가 잘 돌지 않습니다. 그래서 올리기가 어렵죠. 근데 올리지 않고 계속 가면 큰일이 납니다...
김뮤즈
18/10/26 14:22
수정 아이콘
자세한건 윗분들이 얘기해주셨고 그냥 경제학원론수준에서 간단히 얘기하면
금리올림 -> 부채가지고있던사람들의 이자비용 증가 -> 소비심리 악화 -> 경기침체
금리올림 -> 기업의 대출시장에서의 자금조달비용(돈빌리는비용)증가 -> 투자심리 악화 -> 경기침체
18/10/26 14:3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6310 [질문] 라우터에 대한 질문입니다. 좋은마음1156 18/10/26 1156
126309 [질문] vga hd7770을 쓰고 있는데 사망한듯 싶어요.. [8] Siestar1763 18/10/26 1763
126308 [질문] lck팀들 연습과정중 내부스크림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나요? [6] 삭제됨2272 18/10/26 2272
126307 [질문] 요즘 플스 구입 어떻게 하면 잘 살까요?? [1] 삭제됨1787 18/10/26 1787
126306 [질문] 모니터를 블랙 프라이데이때 사는게 좋을까요? [4] 기억의파편3778 18/10/26 3778
126305 [질문]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스크린x로 보는게 좋을까요? [3] ooWniM2122 18/10/26 2122
126304 [질문] 요새 워3 방송/대회 채널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2] 안초비1671 18/10/26 1671
126303 [질문] 편안한 블로퍼 있을까요? [1] WraPPin1359 18/10/26 1359
126302 [질문] 스타1 옛날 리플레이 볼 수 있나요? [2] 갓뽀식2151 18/10/26 2151
126301 [질문] 김치가 짜서 못먹을 정도에요 [20] oh!2930 18/10/26 2930
126300 [질문] 미용실 목뒤 잔털정리만도?? [13] iliket3288 18/10/26 3288
126299 [질문] 수원에서 가장 가까운 샤넬 매장이 어디인가요? [5] 윤이나6572 18/10/26 6572
126298 [질문] sk 데이터 선물 제한이 있나요? [4] 그냥가끔3838 18/10/26 3838
126297 [질문] 60만원대 노트북 추천 좀 해주세요. 타디스2301 18/10/26 2301
126296 [질문] 여친 어머님과의 식사자리에서의 계산...어떤게 예의일까요? [24] 양념반자르반7570 18/10/26 7570
126295 [질문] 예비군 질문 드립니다. [6] WSID2242 18/10/26 2242
126294 [질문] 현자타임에 관련된 웹툰을 찾습니다 [5] 손금불산입2142 18/10/26 2142
126292 [질문] 기준금리가 기준금리로서 역할하게 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무엇인가요? [3] 긴 하루의 끝에서1266 18/10/26 1266
126291 [질문] 여권 발급일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12] 카버3695 18/10/26 3695
126290 [질문] 서울에 델 노트북 볼 수 있는 곳 있을까요? [1] v.Serum2090 18/10/26 2090
126289 [질문] 빌라 수리문제+관리비 문제 때문에 질문입니다. [6] 키류1892 18/10/26 1892
126288 [질문] 이번 아이폰 XS 애플 공식매장에서 구입 가능한가요? [3] BK_Zju2375 18/10/26 2375
126287 [질문] 서피스 고 vs 서피스 프로 [4] 최초의인간7357 18/10/26 73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