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0/14 12:43:14
Name 태종
Subject [질문] 내년 국가직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려고 하는데요.. (수정됨)
완전 완전 초심자 입니다.
그냥 막연하게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자합니다.
인터넷에 많은 정보가 있지만 취사선택하거나 저에게 딱맞는 정보는 많지 않아서 질게에 올립니다.

정말 완전 초심자라서 직렬이 많다는건 대충 알겠는데 어떤 직렬을 선택해서 공부해야 할지 모르겠고 또 공부를 시작하면 무작정 인강듣고
문제집 사서 풀고 뭐 그래야 하는지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머리가 깨질것같아요 ㅠㅠ 하다못해 기출먼저 풀고 선택할까? 하고 사이버고시센터가보면 기출만 수십가지 직렬이 있으니
그것도 뭐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사정상 내년 국가직 꼭 쳐야겠는데 너무 초심자라 준비일정만 짜다가 머리가 너무 아파서 멘붕오고
때려치우는게 다반사입니다.

완전 초심자같은 저에게 가이드 해주실 수 없을까요? 직렬이나 공부일정이 정해지면 가속붙여서 공부해 나갈 수 있을것 같은데요...ㅠ

감사인사는 오후 늦게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0/14 13:50
수정 아이콘
국가직은 3월즈음이라 좀 무리수 같아요
18/10/15 22:0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그래도 해보게요 흐흐
18/10/14 14:10
수정 아이콘
특수직렬이 아닌이상 보통 국가직9급은 세무 많이 봅니다. 많이 뽑고 컷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고요. 선택과목은 남들 다하는 행정학 사회 고르시면 무난하고요.
올해 국가직9급기출을 시간 정확히 재서 풀어보셔서 현재 기본기 확인하신 후 칠십넘는 과목있으면 요약서로 압축강의만 한번 듣고 문제 많이 푸는 공부 방식도 시간도 절약하고 괜찮습니다. 하지만 보통은 기본서와 기본강의로 시작을 하는 편이고 저도 장기적으로는 그게 낫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18/10/15 22:10
수정 아이콘
진짜 가뭄에 단비같은 답변 ㅠㅠ 감사드려요 이런걸 원했습니다. 감사인사가 좀 늦었네요 ㅠㅠ
님말씀대로 세무직하려고 합니다. 님말씀 그대로 하면 될 것 같아요
그런데 선택과목말이죠. 어떤분들은 행정학이 범위가 무궁무진하고 행정법은 공부만 마스터해놓으면 딱딱 나올거만 나온다던데 행정학이 행정법보다 낫나요?
18/10/15 23:22
수정 아이콘
일단 행정법을 선택하면 세무는 못 봅니다. 다만 역시 꽤 뽑는 편이긴 하지만 세무보단 컷이 높은 고용노동부는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행정학 선택하면 세무와 고용노동부 다 볼 수 있습니다. 이게 가장 큰 이유예요.
그리고 행정법은 진입장벽이 행정학보다 공부시간량으로 따졌을때 2배정도 높다고 생각합니다. 행정학을 제대로 파려면 범위가 끝이 없어서 시험난도에 따라 점수가 복불복인 측면이 있지만 어차피 지엽적으로 나오면 다른 사람도 다 틀리기때문에 조정점수로 어느정도 커버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7급의 대부분의 직렬에서 행정법이 필수임을 감안할때 행정법선택자의 수준이 행정학선택자보다 더 높다고 보면 조정점수에서 행정법선택자가 손해보는 부분이 작게 나마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건 소소한 이유이고 그냥 맨위 첫째 이유때문에라도 9급 진입자에게 저는 무조건 행정법보다 행정학을 추천합니다.
18/10/16 00:41
수정 아이콘
진짜 어떻게 감사를 드려야 할지 ㅠㅠ
이번에 붙는다면 치킨이라도 쏘겠습니다 아니 떨어져도 쏘겠습니다 쪼꼬님 너무 감사드립니다 초심자라 이런 질문하면 직렬이나 정해라 이번엔 어자피 안된다 이런 답변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저는 님의 말씀같은걸 원했어요 망망대해에 표류한 조각배같은 느낌이었거든요 정말 감사하고 의욕이 막 치솟네요 열심히 조언해주신대로 해보겠습니다
기본서는 해커스꺼가 있는데 영어부터 빠르게 떼고 기출위주로죽도록 파려구요 영어는 완전 기본기가 없는건 아니기때문에 힘들지만 가능하도록 노력할 생각이고 한국사는 제가 국사를 워낙 좋아하기도 하지만 한국사 1급도 있거든요 모자란 시간이지만 한번 해볼게요 희망을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다들 안된다해서 솔까 접어야하나 갈팡질팡했었거든요
꼭 좋은 소식 들려드릴수 있도록 열심히 해볼게요 좋은밤 되세요(__)
18/10/14 14:13
수정 아이콘
우선 사이버고시센터 들어가셔서 통계 탭 누르시고 직렬별로 올해 뽑은 인원과 커트라인점수 확인해보세요.
18/10/14 14:49
수정 아이콘
영어 기초 없다면 내년 시험은 좀 힘들거에요. 내후년 바라보고 준비하세요.
18/10/15 22:13
수정 아이콘
네 감사합니다. 일단은 내년시험에 최선을 다해보고 또 바라봐야죠
진주삼촌
18/10/15 18:27
수정 아이콘
하루 10시간 최소 2년~3년은 보셔야 될것 같은데...
18/10/15 22:10
수정 아이콘
그이상 해보게요 흐흐 야튼 한번 해보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5848 [질문] 가족간 소규모 돌잔치 식당 추천 부탁 드립니다. [5] FallingInLuV2324 18/10/15 2324
125847 [질문] 1평 정도 사무실에서 쓸만한 공기청정기 있을까요. [2] 마법사9년차1846 18/10/15 1846
125845 [질문] 텔래그램(앱) 이용하시는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로즈 티코1408 18/10/15 1408
125844 [질문] 미드, 영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포도주스3409 18/10/15 3409
125843 [질문] 직구 TV 설치와 인터넷/ip tv 설치, 뭘 먼저 해야될까요? [5] NWBI1947 18/10/15 1947
125842 [질문] 미련이나 아쉬움이 많은 사람의 멘탈관리법 [8] 나타3593 18/10/15 3593
125841 [질문] 봉천역주변 맛집이 있을까요?? [6] kogang20012264 18/10/15 2264
125840 [질문] 롤드컵 진행 상황 간단히 알려주실 분 계신가요? [4] 손연재2083 18/10/15 2083
125839 [질문] 조립PC 견적 질문입니다. 이 가성비 아직도 유효할까요? [3] 라울2503 18/10/15 2503
125838 [질문] 의미없는 글 올리는 네이버카페... [1] 하나2397 18/10/15 2397
125837 [질문] CAD에서 선 따기 질문드립니다. [2] 따루라라랑8074 18/10/14 8074
125836 [질문] 여권 영문이름 변경! [12] 손나이쁜손나은4865 18/10/14 4865
125835 [질문] 주식 옵션에 대해 배우고 싶은데 좋은 책이 있을지요...? [9] nexon2484 18/10/14 2484
125834 [질문] 영화 추천 받습니다. [장르 설명 있음] [4] 탈리스만3583 18/10/14 3583
125833 [질문] 커세어 K63 wireless 무선 키보드 쓰시는 분 계신가요? [2] 삭제됨4973 18/10/14 4973
125832 [질문] 울산 울주군 시내는 어디로 나가면 좋나요? [6] EPerShare1960 18/10/14 1960
125831 [질문] 내일 강릉에 가는데요 [9] 방방2874 18/10/14 2874
125830 [질문] 안면 비대칭으로 치료받은신 분 있으신가요?? [2] 덴나우1555 18/10/14 1555
125829 [질문] 양재 시민의숲 근처 맛집 추천부탁드립니다. [5] kaerans2848 18/10/14 2848
125828 [질문] 하스스톤 복귀유저가 질문합니다. [8] 언니네 이발관1447 18/10/14 1447
125827 [질문] 맛집을 어떻게 찾으시나요? [5] cs1702 18/10/14 1702
125826 [질문] 5가지 후보군 중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메존일각2512 18/10/14 2512
125825 [질문] 스마트폰 카메라 동영상 촬영 중 [3] iambori1476 18/10/14 147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