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9/22 20:57:20
Name 미스포츈
Subject [질문] 우리나라가 많은 아이돌을 소화할수 있나요?


아이돌에 대해서 무지하지만  몇년 사이에 수많은 오디션 프로그램이 경쟁하고 있고

수많은 아이돌들이 양산하고 있습니다 거기에다가 예전 아이도로가의 경합으로

이 시장이 포화  of 포화 상태가 된거 같은데 계속 오디션 프로그램이 제작되네요

방송사 시청률과 기획사의 지가 자랑 인거 같은데 우리나라가 이런 시장을 소화

가능한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진인환
18/09/22 21:03
수정 아이콘
소화는 당연히 못하는거고 소화못한다고 망하지도 않을겁니다.
18/09/22 21:0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엄청 망하고 있습니다 잘 되는 그룹은 정말 극소수구요.

또 뜬 그룹도 계속 사라지기 때문이죠.
18/09/22 21:06
수정 아이콘
현재도 소화불량 상태 같습니다.
그래도 계속 나오겠죠, 어떻게든 한번만 터지면 대박이거든요
에베레스트
18/09/22 21:07
수정 아이콘
그래서 성공하는 팀은 극히 소수입니다. 일년에 데뷔하는 걸그룹만 수십팀인데 정산까지 가는 팀은 두세팀정도입니다.
작년에 데뷔한 걸그룹중 이름이라도 좀 알려진 그룹이 드림캐쳐, 프리스틴, 위키미키정도인데 이 팀들도 성공했다고 보기에는 무리죠.
그래서 해외시장을 계속 노리고 있는 거구요.
하지만 앞으로도 계속 나올겁니다. 터지면 대박이니까요. 하고 싶어하는 아이들도 많고 대박치고 싶은 회사들도 많으니까요.
noname238
18/09/22 21:34
수정 아이콘
아이돌 뿐만 아니라 재능 팔아 먹고사는 직업은 다 마찬가지입니다. 음악, 문학, 학문, 게임, 체육.

꿈 찾다 청춘 날리는 친구들 1000명이면 그럭저럭 그바닥에서 밥 벌어먹고 사는 친구들 100명, 잘 나가는 친구들 10명, 역사에 남을 만한 천재 1명... 뭐
사람 갈아넣는 산업은 항상 그런 식이죠. 역으로 이정도로 갈아넣지 않으면 역사에 남을 만한 천재는 구경도 못 할 겁니다.
솔로13년차
18/09/22 21:37
수정 아이콘
당연히 소화를 못하고, 우리나라 시장이 아니라 아시아 시장 전체로 확대한 상황에서도 진작에 포화였죠.
프로듀스는 '이미 포화가 된 시장'이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봅니다. 애초에 각 기획사의 연습생, 데뷔는 했지만 성적이 부진한 아이돌들을 대상으로 한 거니까요. 재취업프로젝트죠.
걸그룹은 트여레마블로 구성됐는데, 3개팀이 대형기획사고, 여자친구와 마마무가 각각 군무와 보컬에서 높은 수준을 인정받았다는 걸 생각하면 대형기획사 외엔 힘들다는 결론이라고 봅니다. 특히, 여레마트라 불리다가 블랙핑크가 데뷔와 거의 동시에 저 안으로 낀 걸 보면 대형기획사의 파워가 압도적이죠.
아이오아이의 어마어마한 활약으로 이 열풍이 시작됐다고 보는데, 아이오아이는 처음이란 것과 기간이 짧았다는 것이 맞물려서 전설적인 활약을 보였다고 생각하고요. 아이오아이 출신의 이후 활약을 생각하면, 활동이 나쁜 건 아니지만 아이오아이 때의 어마어마함을 기준으로 삼으면 아무래도 초라하니까요.
이제 아이돌 프로그램을 통한 대박은 어렵다고 봅니다.
강배코
18/09/22 21:38
수정 아이콘
국내만으로는 소화 당연히 안되고요. 그래서 요즘 해외시장도 적극적으로 진출하는거죠. 물론 그래도 많이 만들어졌다가 망하고 사라지기도 하지만 국내에서 당장 주목 못받아도 해외에서 먼저 인기를 얻고 역으로 한국에서 주목받는 경우도 드물지만 나오죠. 해외에서 먼저 주목받고 엄청난 대박이 난 경우가 바로 방탄소년단이고, 방탄 이외에도 이런 패턴의 성공작도 몇 있긴합니다.
독수리의습격
18/09/22 21: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뭐 아이돌만 그런게 아니라 연예계도 그렇고 운동선수도 그렇고 평균으로 치면 오히려 암울한 직업이죠. 외국도 크게 다르지 않아요. 성공하는 한 명의 발 밑에는 100명의 눈물이 있다고 봐도 됩니다. 오히려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상황이 좋은 편이예요. 전 세계를 돌아봐도 영미권을 제외하고 자국 가수들을 다른나라에 '수출'하는 경우는 생각보다 별로 없습니다. 유럽도 진작에 영미팝에 잠식된지 오래고. 한국은 연예계조차 진작에 내수시장의 협소를 절감하고 수출에 목숨을 걸었고 그 대박의 결과가 현재 K-POP의 위상이니까요.
18/09/22 21:5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사람도 적은데 연예계에서 받아들일수 있는 시장도 적어서 주로 아이돌 관련해서 나오는 리플들 보면 지금 한국 아이돌 시장은 지옥이라고 말하죠.. 그만큼 뜨기 너무나도 어려우니까..
18/09/22 22: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들어오는 사람들 다 소화 가능한 시장이 몇 있을까요
Maiev Shadowsong
18/09/22 23:32
수정 아이콘
과포화된지 오래됐죠...
곰그릇
18/09/22 23:52
수정 아이콘
지금 한국의 아이돌 시장이 이렇게까지 커진 건 다 해외시장에서 수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윗분들이 많이 적어주셨지만 세상에 들어오는대로 다 소화할 수 있는 시장 따위는 없습니다
그 닉네임
18/09/23 03:34
수정 아이콘
다른나라에 비해서 아이돌 시장이 큰 편이긴 한 것 같아요. 젊은 연예인들보면 아이돌 아닌 사람 비율이 더 적을거 같음.
만년실버
18/09/23 10:09
수정 아이콘
연습생이 백만단위라던데...그상황이 지속된다면 아마 지금상황도 계속되겟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5087 [질문] 우분투/윈도우간 파일공유 도와주세요. [2] 윤정3784 18/09/25 3784
125086 [질문] 미국영화 제목 좀 도와주세요 [3] 히야시2314 18/09/25 2314
125084 [질문] 성악 배우신분들 있으신가요?? [11] 다미2324 18/09/25 2324
125083 [질문] 공적연금연계 이거 어떤가요? [4] 나를연애하게하라2235 18/09/24 2235
125081 [질문] 오사카,교토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워라밸2242 18/09/24 2242
125080 [질문] LOL 진 스킨 추천 부탁 드립니다. [20] 아크4197 18/09/24 4197
125079 [질문] 발치후 봉합부 실밥 푸는 기간이 보통 며칠정도인가요? [3] 거참귀찮네4230 18/09/24 4230
125078 [질문] 하이패스 없이 하이패스 전용으로 지나갔습니다. [3] Liberation2929 18/09/24 2929
125077 [질문] 유부남들의 인생목표는 자식 잘 키우는 건가요? [15] 메티스3418 18/09/24 3418
125076 [질문] 중고나라 거래 판매 처음해보려고 하는데 팁좀 주실 수 있을까요? [7] 삭제됨2226 18/09/24 2226
125075 [질문] (부동산초보) 전월세만기전 이사갈때 보증금 못받고 가도 되나요?? [5] Gra4778 18/09/24 4778
125074 [질문] 인터넷 전화를 해외에서 사용 가능 할까요? [2] 라캉~1636 18/09/24 1636
125073 [질문] 하스웰 리프레시? 4690에 이 메인보드 호환되나요? [3] 마스쿼레이드2482 18/09/24 2482
125072 [질문] 원룸 책상 위치 애매할까요? [6] 그냥가끔2327 18/09/24 2327
125071 [질문] 류현진 FA 얼마정도 받을까요? [11] 삭제됨3881 18/09/24 3881
125070 [질문] i5-8400을 아마존재팬에서 대강 23정도에 샀습니다 [6] 조말론2667 18/09/24 2667
125069 [질문] 동남아 풀빌라 가족여행지 추천부탁드립니다. [9] peongun3094 18/09/24 3094
125068 [질문] 모바일 cpu랑 데스트탑 cpu랑 공정하게 비교하는 방법 뭐 있을까요? [8] 트와이스정연1716 18/09/24 1716
125067 [질문] 플스4프로 용 모니터를 구입하려 하는데.. 감이 안옵니다. [5] JJakjin4944 18/09/24 4944
125066 [질문] 추석 직장상사 연락은 전화가 맞을까요? 문자(카톡)가 맞을까요? [5] 화이트데이5716 18/09/24 5716
125065 [질문] 타이어 업체에서 추석에 문을 여나요? [3] 카스가 아유무1595 18/09/24 1595
125064 [질문] 무협 단체 용어 질문입니다. [8] 잔인한팩트폭력3626 18/09/24 3626
125063 [질문] 어떤게 맞는걸까요 발그레 아이네꼬1640 18/09/24 16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