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9/20 10:56
캐파가 한정된 상황에서 최적이익이 되는 선으로 과점업체(삼성 하이닉스 마이크론)끼리 일종의 담합을 하는 상황이죠
점유율 늘릴려면 가격싸움 해야하는데 당연히 마진율 떨어질거고..이것때문에 맨날 독과점 조사하니마니 하는데 마이크론이 미국회사라 압박이 덜한느낌?
18/09/20 11:00
유일하게 중국시장에서만 해당 이슈가 있는 걸로 압니다. 다만 삼성이 의도적으로 마켓쉐어를 확대하지 않는다는건 처음 듣는데요. 애초에 반도체 공급물량이 최소시차 2년 이상인데다가 지금도 full capacity에서 크게 차이 안 납니다.
그리고 어차피 2019년부터는 중국시장에서도 삼성 하이닉스 점유율이 많이 떨어질 걸로 예상되기 때문에 딱히 삼성이 독과점 걱정할 일이 없을 겁니다
18/09/20 11:01
만약에 삼성이 인텔이나 엔비디아처럼 디램과 낸드를 80%이상 독과점 한다고 해도 반독점으로 미국정부에게 철퇴맞는 일은 없는건가요??
18/09/20 11:07
미국 시장에서 그정도 점유율을 단독으로 가져온다면 충분히 그럴 수 있어요. 특히 마이크론의 존재 때문에요. 다만 삼성 점유율이 거기까지 치고올라갈 일이 없을 겁니다. 내려가면 내려가지
18/09/20 15:20
어려운 쪽은 모르겠고, 요즘 조립컴퓨터 추천해줄때 삼성램에 선뜻 손이 안가네요.
삼성이 아닌 다른 브랜드 인기제품들 조립해주고 문제 발생한 적이 단 한번도 없어서.. 8G 기준 작게는 1~2만원 차이 나는데 굳이 왜 삼성껄 써야 하나 하는 어차피 또 하이엔드는 지스킬꺼만 쓰기 때문에 뽑기운 나쁘신분들이야 삼성꺼 쓰셔야 겠지만 25년간 컴조림 해오면서 AS가 극악하다는 회사의 제품들도 뽑기운 망으로 초기불량 제품을 단한번도 겪어본 적이 없기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