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8/24 17:06:21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전근대 중국수학이 서양 수학에 밀린 이유??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8/24 17:20
수정 아이콘
논리학이 수학의 아버지인데
수학의 할아버지인 아리스토텔레스가 중국인이 아니라서 그런것 같아요
3.141592
18/08/24 17:27
수정 아이콘
애초에 동아시아에 수학이 학문으로서 성립된 적이 있기나 했나 의문인데요. 그냥 단발성 이벤트 몇개 말고 실질적으로 근대수학이 유입되기 전에 체계를 갖춘 학문으로서 인정받을만큼 쌓인적 자체가 없는데 어느시대 어디에 비교해서 못 미쳤다는게 문제가 아니고 왜 수학이 없었는지를 따져봐야 할 문제일듯합니다.
18/08/24 17:40
수정 아이콘
근데 서양 수학은 이슬람권에서 배워온겁니다. 대수학(algebra)이란 말 자체가 아랍어죠. 우리가 쓰는 숫자는 인도에서 만들었는데 유럽놈들이 아랍을 통해 배웠기 때문에 아라비아 숫자라고 부릅니다.
18/08/24 17:43
수정 아이콘
고대 그리스 수준에도 못미쳤다면

거대한 궁전같은 건축물들을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18/08/24 18:00
수정 아이콘
서양의 수학은 실용적인 목적과는 별개로 고도의 엄밀성과 추상성을 기반으로 발전했고, 그러한 수학적 기법들이 실생활이나 과학에서도 쓸모가 있더라 그런 접근이라면, 중국에서 수학(산수)는 철학적인 목적이 아니라 실용적인 목적으로서 접근하다보니 계산, 건축같은 그 당시 필요했던 수준정도로는 발전했을지 몰라도 지금 수학처럼 발전할 수 있는 포텐은 낮았다고 봐야겠죠.
다크템플러
18/08/24 19:45
수정 아이콘
수학을 뭘로 보냐의 문제죠.
연역적 증명을 토대로 한 논리측면만 본다면 부재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대수학, 특히 고차방정식 쪽으론 엄청나게 발전했습니다.
과학사학자들 중에선 유클리드기하학과 공리연역체계에만 중심을 두고보는건 너무 그리스중심적 사고라고 보기도 하더라구요.
연역적 추론을 왜 안했냐.. 뭐 할이야기는 많지만 중국과학사학계 거두인 네이선 시빈의 견해에 따르면(물론 설은 많습니다)
그리스 철학은 철학자들끼리 서로 논쟁펼치면서 대중들에게 호응받아내는과정에서 상대의 약점을 집요하게 파고드는게 발전하다보니, 절대 반박할 수 없는 방법인 공리로부터 연역해내는 유클리드 체계가 나온 반면
중국에선 철학자들이 자신의 주장을 펼치는 대상은 황제죠. 결국 상대 주장의 약점보다는 자신의 주장의 강점, 특히 국가를 위해 얼마나 실용적이고 무엇을 위해 쓰일 수 있는지 강조하는 측면으로 발전했다고 합디다.

켐라라는 중국수학사학자의 경우 중국 수학, 특히 중국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텍스트 중 하나인 구장산술과 그에 대한 주석에서 주로 관심을 갖던 것은 서양 수학이 그랬듯 Abstraction(추상화)이 아니라 Generality(일반화)에 있었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현대적인 용어로 비교를 하자면, 서양수학에선 어떤 유제가 있을 때 그걸 증명하는 등 추상화시키면서 공리로부터 연역해내는걸 추구했고, 중국수학에선 마치 정석이나 개념원리처럼 예제에서 출발해 점점 넓고 다양한 문제에 적용될 수 있도록 일반화시키는 느낌.. 이라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3971 [질문] 2400g에 오래된 그래픽카드 달지말지 고민입니다. [7] azure.144367 18/08/25 4367
123970 [질문] 핸드폰 기기 변경후 카톡 대화가 날아갔습니다. [4] En Taro6043 18/08/25 6043
123969 [질문] 다량의 종이 없애는법 [3] 따루라라랑2463 18/08/25 2463
123968 [질문] 워드프레스 테마 관련 정보 얻을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3] 츤코레이더1203 18/08/25 1203
123967 [질문] 윈도우즈10 하드디스크 설치 방법 질문입니다. [4] 여명의설원1399 18/08/25 1399
123966 [질문] 해외여행 잘알러 분들에게 질문드립니다. [9] Mindow2443 18/08/25 2443
123965 [질문] 묘수풀이 연구소 초토화-3 드란 4/5 질문입니다 [3] 3.1415923043 18/08/25 3043
123964 [질문] [연애] 돌직구를 어떻게 던져요?? [24] 이명헌4941 18/08/25 4941
123963 [질문] 이런 경우는 주휴수당이 지급 되나요? [7] 플래너1868 18/08/25 1868
123962 [질문] 1050 중 그래픽카드 제조사 추천 부탁 드립니다 [6] 모나크모나크3436 18/08/25 3436
123961 [질문] 운동 루틴 및 식단 조언 부탁 드립니다. [4] deadbody1908 18/08/25 1908
123960 [질문] 컴바보가 컴퓨터 견적 짜봤습니다. [19] 다시만난세계2590 18/08/25 2590
123959 [질문] [프로듀스48] 마지막 생방송 컴퓨터로 볼 수 있는곳? [3] 플래시1673 18/08/25 1673
123958 [질문] [프로듀스48] 몇시에 투표 리셋되나요? [3] 애플망고1914 18/08/25 1914
123957 [질문] 롤 음성채팅 질문입니다. 트리거4668 18/08/25 4668
123956 [질문] [하스스톤] 팩 터키 우회 구매 [2] I.O.I5384 18/08/25 5384
123955 [질문] [하스] 일퀘 질문입니다 [5] ...And justice1602 18/08/25 1602
123954 [질문] 블루투스 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6] 그느누늉3192 18/08/24 3192
123952 [질문] 비 오는 날 이사해보신 분 계신가요? [7] 바다코끼리5050 18/08/24 5050
123951 [질문] 24년 전쯤 고전 도스게임을 찾습니다. [11] 동네똥개3198 18/08/24 3198
123950 [질문] 레이저 마우스 조명 및 설정 관련 질문입니다. [1] 조이2979 18/08/24 2979
123949 [질문] 엑셀 특정 열만 고정하는 방법이 있나요? [6] 오토나시 쿄코2392 18/08/24 2392
123948 [질문] 몬헌 돈 많고 장비 풀로 다 채우면 무쌍 가능한가요 [11] WhiteBerry7679 18/08/24 76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