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8/24 12:38:00
Name 살려야한다
Subject [질문] 골프를 배우고 싶습니다.
운동신경 꽝인 30대 멸치 아재입니다.

테니스를 10년을 쳤으나 끝끝내 저주받은 신체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었습니다. ㅠㅠ

이 와중에 어차피 나이 들면 골프로 넘어갈텐데 이왕이면 일찍 시작하라는 친구의 꼬드김에 골프를 진지하게 생각중인데요.


1. 골프 재미있나요? 아직은 무슨 재미일지 상상이 안 가네요.

2. 어디가서 어떻게 배우면 될까요? 비용은 얼마나? 현직백수라서 시간은 충분한 편입니다.

3. 장비는 어디까지 필요한가요? 참고로 저주받은 왼손잡이입니다. ㅠㅠ


답변 주실 분들께 미리 감사 인사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arkmental
18/08/24 12:47
수정 아이콘
인도어 골프연습장에서 한달정도 맛보기로 레슨받아보시는게 좋고요 (7번 아이언 하나만 있어도 충분한시기)

스윙 개념 정도 챙겨 간다고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똑딱이 스윙에서 재미를 느끼는사람은 못본거 같습니다.

일반인 기준 필드를 1년에 10회 미만으로 나갈수 밖에 없기 때문에 친구들이랑 하시는거면

스크린 골프 치시면서 재미를 느끼시는게 좋아요. (스크린골프존에 있는 채로 치는 시기)

재미를 느끼셨다면 저렴한 입문용 세트 구매 (30~50)하시면 됩니다.

이후에 본격적으로 레슨을 받아야 꾸준히 오래 하실수 있습니다.
18/08/24 12:58
수정 아이콘
1, 골프는 좀 쳐보셔야 이게 본인과 맞는지 안맞는지 알수 있습니다. 대신 골프를 치는 큰 이유중 하나는 스포츠중 거의 유일하게 남녀노소가 같이 즐길수 있어 4-5시간 라운딩을 하며 대화도 나눌수 있어 일종의 사교 스포츠입니다.

2, 한국은 보통 주말에 골프장 가면 라운딩비 10-15만원, 캐디와 카트비 5만원, 밥값 및 안주나 간식 까지해서 평균 1회 라운딩시 20만원쯤 듭니다.

3, 채는 몇달동안은 7번아이언과 드라이버정도 하나 중고로 구입하시거나 저렴한 세트 사셔서 연습하시면서 서서히 바꾸시면 됩니다.
18/08/24 13:06
수정 아이콘
1. 개인적으로 스트레스 받는 운동입니다. 하지만 연습장이나 필드나가서 10개중에 한두개만 잘 맞아도 그 짜릿함은 굉장합니다. 한가지 확실한건 재밌게 치는데까지는 적어도 수개월에서 수년 걸립니다.

2. 연습장은 크게 스크린과 인도어(닭장)가 있는데 스크린은 계절 영향을 덜 받고 잘되어 있는 곳은 본인 스윙 영상과 연계하여 분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좀 답답하죠. 인도어는 공이 날아가는게 보이니까 상대적으로 통쾌하고 본인 공의 실제 괘적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름엔 덮고 겨울엔 춥죠. 개인적으로는 한겨울 빼고는 인도어 추천.

보통 골프 연습장에 상주하는 프로가 있습니다. 그분들에게 배우면 됩니다. 가격은 위치나 프로마다 다르지만 연습장 비용 10~20/월, 레슨비 20~30/월 정도입니다.

3. 왼손용 장비가 따로 있고 보통 처음에늠 7번 아이언으로 배우면 됩니다. 연습장에 아마 남는게 있을 거라서 처음부터 살 필요는 없습니다.

골프 배우다가 어느정도 실력 늘고 맛도 알아가면 필드 나가기 전 즈음해서 장비 구비하시면 됩니다. 드라이버, 우드, 유틸, 아이언셋, 웻지셋, 퍼터.... 그 외에 골프백, 골프화, 골프의류 등등은 필드 나갈때 구매하시면 되겠습니다.
밀크공장공장장
18/08/24 13:25
수정 아이콘
2. 연습장 같은데 가면 프로들있어서 그분들한테 보통 배워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독학하면 자세가 안좋아서 중요한 골프모임에서 무시 당할수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남극소년
18/08/24 14:33
수정 아이콘
가급적 처음배울때 오른손으로 먼저 연습해보세요. 왼손잡이 골퍼 장비부터 연습까지 고행길입니다
남극소년
18/08/24 14:46
수정 아이콘
골프 재미를 느끼는건 완전 case by case입니다. 미친듯이 빠져드는 사람도 있고 별로 자기랑 맞지 않아서 금방 그만두는 경우도 있고.. 에릭님이 말씀하신것처럼 남녀노소가 피지컬 능력과 상관없이 경쟁이 가능한 운동이라는 점, 4~5시간 대화를 많이 나눌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네요.

처음 배울때는 무조건 레슨은 받으시는게 좋습니다. 독학으로는 한계가 있고 처음에 아주 잘못된 습관이 드는것은 막을 수 있습니다.

다만 스윙폼이나 디테일한 것에 집착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경험상 될놈될에 가까운 운동이어서 자세 신경쓰기 시작하면 스트레스 많이 받습니다. 노력은 하되 안되는것은 인정해야 마음이 편해요. 오히려 점수가 잘 나오려면 숏게임이나 게임 운영, 퍼팅등을 많이 연습하시면 됩니다.
양념반자르반
18/08/24 16:45
수정 아이콘
현재 3개월 차 초보 골린입니다....
저는 호기심에 무작정 스크린골프 연습장가서 레슨받고 배우는중인데, 제가 배우거나 해봤던 운동중에 제일 재밌는 거 같습니다 전...
물론 아직도 허우적 대곤있지만 가끔 잘 맞는 그 공에 희열때문에 하는거같애요 ㅠㅠ
한번 가서 상담이라도 받아보셔야 할거같네요~
생겼어요
18/08/24 19:49
수정 아이콘
원래 골프는 본인이 운동신경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더 잘칩니다. 그 이유는 프로가 가르쳐주는 방향을 따르려고 노력하기 때문이죠. 본인이 어느정도 운동신경이 있다고 자부하는 사람들은 처음에는 좀 따라하다가 본인 고집대로 가게 되고 결국에는 정체가 길어져서 포기하거나 다시 레슨을 하게 되는경우가 많은데 골프에서 한번 굳어버린 습관을 뜯어고치는건 어려운게 아니라 불가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폼도 좋고 다 좋지만 무엇보다 똑딱이 시작때부터 필드나가서까지 끝까지 공만보고 쳐야하는 간단하지만 매우 어려운 스포츠라고 생각합니다.

같이할 사람이 생기면 참 재밌는데 저는 주변 친구들이 아직 시작을 안해서 부모님과 치고 있는데 매번 듣는소리가 넌 폼만 그럴싸하지 공을 안보니 스코어가 아직도 그 모양이지 라는 말만 듣습니다. 즐겁게 입문하시고 너무 짧은시간에 포기하시기 보다는 좀 긴호흡으로 보시길 추천합니다.
생겼어요
18/08/24 19:55
수정 아이콘
덧붙여서 저도 왼손잡이입니다만 오른손으로 칩니다. 이유는 딴거 없이 입문할때 아버지로부터 왼손잡이가 오른손으로 치면 더 유리하다는 말을 들어서인데, 아직도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왼손잡이용으로 장비구하고 하다보면 좀 번거로워서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살려야한다
18/08/25 01:54
수정 아이콘
답변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집 근처 연습장에 일단 가봐야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3958 [질문] [프로듀스48] 몇시에 투표 리셋되나요? [3] 애플망고1846 18/08/25 1846
123957 [질문] 롤 음성채팅 질문입니다. 트리거4634 18/08/25 4634
123956 [질문] [하스스톤] 팩 터키 우회 구매 [2] I.O.I5339 18/08/25 5339
123955 [질문] [하스] 일퀘 질문입니다 [5] ...And justice1574 18/08/25 1574
123954 [질문] 블루투스 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6] 그느누늉3165 18/08/24 3165
123952 [질문] 비 오는 날 이사해보신 분 계신가요? [7] 바다코끼리5016 18/08/24 5016
123951 [질문] 24년 전쯤 고전 도스게임을 찾습니다. [11] 동네똥개3151 18/08/24 3151
123950 [질문] 레이저 마우스 조명 및 설정 관련 질문입니다. [1] 조이2946 18/08/24 2946
123949 [질문] 엑셀 특정 열만 고정하는 방법이 있나요? [6] 오토나시 쿄코2371 18/08/24 2371
123948 [질문] 몬헌 돈 많고 장비 풀로 다 채우면 무쌍 가능한가요 [11] WhiteBerry7648 18/08/24 7648
123947 [질문] 주택구입자금대출 무주택자 요건에 관한 질문 changeable2176 18/08/24 2176
123946 [질문] 지니어스 베스트 3편을 꼽으면 뭐뭐가 있었을까요? [29] Secundo3272 18/08/24 3272
123945 [질문] 전근대 중국수학이 서양 수학에 밀린 이유?? [6] 삭제됨2972 18/08/24 2972
123943 [질문] 더 지니어스 시즌 3,4 볼만한가요? [23] 리들4979 18/08/24 4979
123942 [질문] 취미로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래밍의 한계가 어딜까요? [17] 솔지2991 18/08/24 2991
123941 [질문] 아이콘 및 배너 구인 문의 드립니다. 그림속동화1237 18/08/24 1237
123940 [질문] SWOT분석같은 다른 기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요즘엔 어떤형태로 분석하나요? [6] Secundo4521 18/08/24 4521
123939 [질문] 새로 구매한 노트북에서 다중 디스플레이 설정이 안됩니다. FlyingBird4562 18/08/24 4562
123938 [질문] 아반떼 신차 vs 중고 중형가스차 뭐가나을까요? [16] 난나무가될꺼야3535 18/08/24 3535
123937 [질문] 비브람 신고 운동하기 어떤가요? [1] 카롱카롱1752 18/08/24 1752
123936 [질문] 세이코 시계 모델명이 궁금합니다. [4] 삭제됨2778 18/08/24 2778
123935 [질문] 정장 바지 수선 질문드려요 [5] 베르나르2394 18/08/24 2394
123934 [질문] 스위치 배터리 관련 질문입니다. [5] 도시의미학1829 18/08/24 18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